• 제목/요약/키워드: Hypoxanthine (HX)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7초

$\cdot$가을 멸치액젓의 숙성 중 성분변화의 차이 (Difference of Component Changes in Salt-Fermented Spring and Autumn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auce during Fermentation)

  • 임영선;박희열;최영준;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12
    • /
    • 2001
  • 재래식 방법으로 봄$\cdot$가을 멸치액젓의 숙성 중의 성분변화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동부산수협의 숙성탱크로부터 $1.5\~3$개월 간격으로 액젓 원액만을 직접 채취하여 성분변화를 조사하였다. 봄$\cdot$가을 멸치액젓 모두 총질소 및 아미노산성질소 함량이 숙성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봄 멸치액젓이 가을 멸치액젓 보다 각각 숙성 15.7개월과 17.4개월 전까지는 함량이 높았다가 그 이후에는 함량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ATP 관련물질총량도 숙성초기에 봄 멸치액젓이 가을 멸치액젓보다 높았으며, 숙성기간중에 일정하게 증가하였다. HxR+Hx 함량과 요산량의 교차지점 (봄 멸치액젓 숙성 10.6개월, 가을멸치액젓 숙성 11.5개월)은 가용화율이 $77.0\%$$74.7\%$로 높은 분해율을 보이는 지점이었고, 관능적인 맛과 냄새면에서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봄 멸치액젓의 교차지점이 가을 멸치액젓보다 약 1개월 정도 빠른 것은 숙성온도의 차이 때문으로 판단된다. 원료육의 총 아미노산함량은 봄 멸치가 22,238mg/100g로 가을 멸치의 23,330mg/100g보다 약간 적은 반면, 18개월간 숙성시킨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9,983.3mg/100mL로 가을 멸치액젓의 9,070.2mg/100mL보다 약간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중 glutamic acid는 숙성기간에 따라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여 18개월 후에는 봄 멸치액젓에서 2,100.3 mg/100mL ($21.0\%$), 가을 멸치액젓에서 1,857.8mg/100mL ($20.5\%$)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봄 멸치액젓에서는 alanine ($12.6\%$), aspartic acid ($11.9\%$), valine ($6.3\%$), lysine ($6.2\%$) 순이었고, 가을 멸치액젓에서는 leucine ($14.2\%$), alanine ($14.0\%$), lysine ($12.2\%$), isoleucine ($8.0\%$)등의 순으로 주요 아미노산의 종류와 조성비가 달랐다. 그리고, 봄$\cdot$가을 멸치액젓 모두 숙성기간에 따라서 색도는 일정하치 증가하였으며, 봄 멸치액젓이 가을 멸치액젓보다 숙성기간을 통하여 그 값이 높았다.

  • PDF

An Antisense Oligodeoxynucleotide to the LH Receptor Attenuates FSH-induced Oocyte Maturation in Mice

  • Yang, Jiange;Fu, Maoyong;Wang, Songbo;Chen, Xiufen;Ning, Gang;Xu, Baoshan;Ma, Yuzhen;Zhang, Meijia;Xia, Guoli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7호
    • /
    • pp.972-979
    • /
    • 2008
  • It has been recently shown that expression of the LH receptor (LHR) in cumulus cells is related with FSH-induced meiotic resumption of mouse cumulus enclosed oocytes (CEOs). However, to date, it is still unclear whether LHR expression in cumulus cells plays a key role during FSH-induced oocyte matu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functional role of LHRs in cumulus cells. CEOs were isolated from eCG-primed preovulatory follicles and cultured in hypoxanthine (HX) arrested medium. LHR protein expression in cumulus cells was time-dependent increasing during the process of FSH-induced oocyte maturation. While the sense oligodeoxynucleotide (ODN) had no effect, antisense ODN inhibited FSH-induced LHR expression and meiotic resumption. Moreover, this antisense ODN against LHR could inhibit FSH-induce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phosphoryl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LHR expression in cumulus cells is involved in FSH-induced oocyte meiotic resumption, which process is possibly regulated by MAPK cascade.

Changes in Nucleotide Compounds, and 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Duck Meat during Aging at 0℃

  • Kim, Young-Boong;Ku, Su-Kyung;Joo, Bum-Jin;Lee, Nam-Hyuck;Jang, Ae-R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28-433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ppropriate aging conditions, changes in nucleotide-related compounds, chemical changes, and a sensory evaluation of duck meat during aging at $0^{\circ}C$ for 7 d. Twenty one 45-day-old Pekin white ducks samples were separated into breast and leg meat. ATP was not detected for almost the entire aging period because ATP was depleted immediately after slaughter. Inosine monophosphate (IMP) was highest on day 1 ($26.69{\mu}mol/g$), and then it rapidly decreased to $7.11{\mu}mol/g$ on day 7. However, this level was not different between breast and leg meat. Hypoxanthine (Hx) content of breast meat was $14.88{\mu}mol/g$, whereas that of leg meat was $16.41{\mu}mol/g$. Inosine content of breast meat was double than that of leg meat. The pH values of breast and leg meat were 5.90-6.05 and 6.23-6.73, respectively, during the aging perio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of breast and leg meat increased during aging. Breast meat had good sensory evaluation scores for flavor (7.4), juiciness (6.8), tenderness (7.2), and overall acceptance (7.4) on day 3. Similar to breast meat, leg meat also had good sensory evaluation scores.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appropriate aging period is 3 d for duck breast meat and 1 day for leg meat at $0^{\circ}C$.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젓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and Sandlance Sauce)

  • 오광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2-255
    • /
    • 1999
  • 우리나라 전통수산식품의 성분 특성에 관한 일련의 연구로서 재래식 및 공장산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cdot$비교하였다. 재래식 멸치액젓 및 까나리액의 조단백질함량은 멸치액젓이 까나리액젓에 비해 다소 높았으며, pH은 재래식의 경우 멸치액젓이 6.78, 까나리액젓이 5.46이었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낮은 5.06$\~$5.68이었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아미노질소함량은 각각 $888.9mg\%$ (w/v) 및 $813.5mg\%$ (w/v)이었고 산도는 각각 $17.6ml\%$ (v/v) 및 $27.7ml\%$ (v/v)였고 시판품은 양자 모두 이보다 약간씩 많았다. 액젓의 색조 비교에서, L값과 b값은 멸치액젓이 약간 높은 반면, a값과 ${\Delta}E$값은 까나리액젓이 높았다. 재래식 멸치액젓과 까나리액젓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각각 $12.40g\%$ (w/v) 및 $9.549g\%$ (w/v)로서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멸치 액젓의 경우 alanine, glutamic acid, leucine, isoleucine, valine 및 Iysine 등이었으며, 까나리액젓에는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lanine 및 valine의 함량이 많았다. IMP 함량은 재래식 멸치액젓 $12.1 mg\%$ (w/v), 까나리액젓 $67.8mg\%$ (w/v)로 서로 비슷하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HxR의 함량은 각각 $103.7mg\%$ (w/v) 와 $172.4mg\%$ (w/v)로 까나리액젓 쪽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다. 양시료 액젓의 TMAO, TMA의 함량은 각각 $108.8mg\%$ (w/v), $60.5 mg\%$ (w/v) 및 $60.1 mg\%$ (w/v), $24.1 mg\%$ (w/v)로서 멸치액젓 쪽의 함량이 많았으며, 크레아틴의 함량은 $62.4\~67.6mg\%$ (w/v)로 양자가 서로 비슷하였다.

  • PDF

가열 한우육 및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서 심부온도에 따른 glucose, lactate 및 핵산 분해 물질 함량 비교 (Comparison of glucose, lactate, and nucleotide degradation products content of cooked Hanwoo and Australian beef steaks by internal temperature)

  • 강선문;강근호;성필남;김영춘;김진형;;장선식;조수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69-374
    • /
    • 2015
  • 본 연구는 가열 한우육 및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서 심부온도에 따른 glucose, lactate 및 핵산 분해 물질 함량을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시료로 한우육(거세우, 1등급) 및 호주산우육(Bos indicus, 100일 곡류 비육)의 등심(M. longissimus dorsi)과 우둔(M. semimembranosus)를 약 2 cm 두께로 절단하여 각각 세 그룹으로 나누고, $180^{\circ}C$ 오븐에서 심부온도가 각각 50, 70 및 $90^{\circ}C$가 되도록 가열하였다. Glucose 함량은 심부온도에 관계없이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P<0.05). 이와 반대로 lactate 함량은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낮았다(P<0.05). 핵산 분해 물질 중 Hx 함량은 모든 심부온도에서 한우육 스테이크가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낮았던 반면(P<0.05), GMP, IMP 및 inosine 함량은 한우육 스테이크가 높았다(P<0.05). 심부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쇠고기 스테이크의 glucose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lactate 함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핵산 분해 물질 함량은 심부온도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가열 한우육 스테이크의 단맛 및 감칠맛 관련 풍미 전구물질 함량이 호주산우육 스테이크보다 높았다.

Effect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on Streptozocin-Induced Diabetic C57BL/6 Mice

  • Deung Young-Kun;Park Seung-Kyu;Jin Dan;Yang Eun-Ju;Lim Soo-Jung;Kwon Ki-Rok;Kim Dong-Heui;Lee Kyu-J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43-347
    • /
    • 2005
  • Bambusae caulis in Liquamen is one of the important herbal medicine produced by heating bamboo indirectly and is used for treatment of stroke, hypertension, and diabetes etc. Recently the mechanism of clinical effects on Bambusae caulis in Liquamen has been studie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linical effects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on type 1 diabetes and its related mechanism. We divided C57BL/6 mice into 3 groups and induced them to be type 1 diabetes by injection of streptozocin into peritoneum. The dosage of each group was 150 mg/kg once only, 140 mg/kg once only and 40 mg/kg for 5 days respectively. The two groups injected streptozocin for once took orally Bambusae caulis in Liquamen after the induction of diabetes, and the other one group was given Bambusae caulis in Liquamen during the diabetes inducing period. As the result, the two diabetes-induced groups showed blood glucose decreasing effect by Bambusae caulis in Liquamen on an average, but they didn't show the signift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But Bambusae caulis in Liquamen showed the anti-diabetic effect suppressing blood sugar rising trend during the diabetes inducing peried (P<0.05). The anti-oxidative effect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was measured with the hypoxanthine/xanthine oxidase (HX/XOD) system. The quantity of ROS was measured using DCFDA reagent indirectly. As the result, $10\%$ solution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showed anti-oxidative effect by scavenging $93.4\%$ superoxide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t is suspected that the anti-oxidative effect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suppressed the increase of blood glucose in the diabetes-inducing group.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data to understand the effect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on type 1 diabetes and type 1 diabetes developing because RO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induction and complications of diabetes.

  • PDF

교배 조합 토종닭의 지방산, 아미노산 및 핵산 관련 물질 함량 (Fatty Acid, Amino Acid and Nucleotide-related Compounds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 박미나;홍의철;강보석;김학규;허강녕;한재용;조철훈;이준헌;추효준;서옥석;황보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37-144
    • /
    • 2011
  •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계육의 지방산과 아미노산 및 핵산 관련 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4개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3원 교잡종을 이용하였다. 시험 설계는 A(CS${\times}$B), B(CH${\times}$S), C(RS${\times}$H), D(백세미)로 하였으며, 4처리구에 따라 암수 각각 9반복, 반복당 10수씩($4{\times}2{\times}9{\times}10$) 총 720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사료는 제시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준육용계 사료를 자체 제작하여 이용하였다. 5주령 계육의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C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A처리구가 가장 높았다(p<0.05). 10주령 계육의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5주령 계육과 마찬가지로 C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A처리구가 가장 높았다(p<0.05). 계육의 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계육의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lysine, leucine, arginine, phenylalanine 등의 순이었고, 비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등의 순이었다. 5주령에서는 필수 아미노산 중 valine, leucine, phenylalanine 및 lysine은 A계통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henylalanine과 lysine 함량은 B계통에서 가장 높았다(p<0.05). 비필수 아미노산 중 cystine,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및 proline은 A계통에서 가장 낮았고(p<0.05), 다른 계통들 사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10주령 계육의 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계육의 핵산 관련 물질 중 hypoxanthine(Hx)은 5주령에서 C처리구가 1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10주령에서는 B처리구가 9.2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처리구간 계육의 Inosine monophosphate(IMP)는 각각 131.4 mg/100 g, 187.7 mg/100 g, 250.2 mg/100 g 및 214.0 mg/100 g으로 A, B, C처리구 사이에 유의차가 있었다(p<0.05). 10주령의 IMP는 C처리구가 258.6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p<0.05), A, B, D처리구 사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주령의 adenosine mono phosphate(AMP)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10주령에서는 5.46 mg/100 g, 5.96 mg/100 g, 5.45 mg/100 g 및 5.47 mg/100 g으로 B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대왕오징어의 가공방법에 따른 맛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Taste Components of Giant Squid Architenthis dux via Processing Methods)

  • 박희연;장주리;남기호;이두석;윤호동;장미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08-5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왕오징어를 가공식품의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건조 및 자숙공정을 이용하여 쓴맛 및 신맛을 내는 염화암모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자 하였으며, 무처리 한 대왕오징어(RGS, Raw giant squid)와 건조과정을 거친 대왕오징어(DGS, Dried giant squid) 및 자숙과정을 거친 대왕오징어(BGS, Boiled giant squid)의 이화학적 성분 비교를 통한 맛성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각 공정별 오징어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RGS, DGS 및 BGS의 수분함량은 각각 75.65, 39.75 및 41.12%로 건조과정을 거친 대왕오징어에 비해 자숙공정을 거친 대왕오징어의 수분함량이 다소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RGS, DGS 및 BGS의 조단백질 함량은 각각 20.10, 56.25 및 49.58%로 자숙공정을 거친 대왕오징어에 비해 건조과정을 거친 대왕오징어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RGS, DGS 및 BGS의 조지방 함량은 각각 0.15, 0.57 및 1.35%로 자숙공정을 거친 대왕오징어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조회분 함량 역시 공정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어 RGS, DGS, BGS가 각각 1.68, 4.50 6.77%로 자숙처리한 대왕오징어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핵산관련물질의 총 함량은 RGS, DGS, BGS에서 각각 17.62, 45.31, 17.50 mg/100 g로 건조처리한 대왕오징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Hypoxanthine (Hx)함량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관능평가 결과에서 DGS와 BGS는 RGS보다 쓴맛, 신맛 및 짠맛의 강도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얻는 것으로 볼 때, 건조 및 자숙공정 처리에 의해 쓴맛 및 신맛이 효율적으로 제거됨을 알 수 있었다. 대왕오징어 시료에서 총 17개의 구성아미노산이 분석되었고, 주요 구성 아미노산으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proline 및 arginine 등이 확인되었고, histidine, tyrosine, methionine 등의 함량은 낮았다. 또한,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hydroxyproline, alanine, arginine 등으로 확인되었으며, taurine의 함량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