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lipidemi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Fermented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Effects on Hypolipidemia and Hepatoprotection in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 Cha, Jae-Young;Jun, Bang-Sil;Yoo, Ki-Soo;Hahm, Jong-Ryeal;Cho, Young-S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1호
    • /
    • pp.122-127
    • /
    • 2006
  • The effects of fermented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powder on the lipid concentrations and the activities of liver marker enzymes of serum in genetically diabetic Otsuka Long-Evans Tokushima fatty (OLETF) rats were investigated. Rats were fed a semisynthetic diet supplemented with 50 g/kg chaga mushroom powder (CM) or 50 g/kg fermented chaga mushroom powder (FCM) for 8 weeks (26 to 34 weeks of age). Nondiabetic Long-Evans Toknshima Otsuka (LETO) rats were used as age-matched nondiabetic control animals. Water consump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LETF control than the LETO rats. Water consumption in the FCM-fed OLETF rats tended to be less than in both the OLETF control and CM-fed OLETF rats. Serum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LETF control rats than in the LETO rats while within the OLETF rat groups, the consumption of FCM resulted in a significantly lower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and slightly lowered serum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hen compared to the OLETF control and CM-fed rats. The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LETF control than in the LETO rats, but this difference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M-fed rats and essentially no difference in the ALT levels was observed between the LETO and OLETF-FCM rats. This observation suggests an adaptive effect of the fermented chaga mushroom in liver function. Livers of the LETO rats showed no histopathological changes, whereas those of the OLETF control rats were characterized by many fat depositions in the central zone of the hepatocytes. The livers of the OLETF CM-fed rats showed less fatty changes compared to the OLETF control rats and fat deposition in the hepatocytes was nearly abs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ally ingested fermented chaga mushroom has a potential beneficial effect on the complications known to occur in the obesity-related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NlDDM) OLETF rat.

추출조건을 달리한 마늘 추출물이 Triton WR-1339 유발 고지혈증 흰주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Garlic Extracts on Hyperlipidemia Rats Induced by Triton WR-1339)

  • 정명수;김혜자;조화은;최윤희;한중호;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9-80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arlic(Allium sativum L.) extracts with extraction conditions on hyperlipidemia prevention. The extracts prepared for garlic by hot temperature extraction(HG), low temperature extraction(LG), UMPM extraction(UG), fermentation(FG) and black garlic hot temperature(BG) method. To evaluate of hypolipidemia effect in vivo, we examined serum and liver lipid profiles of Triton WR-1339 induced hyperlipidemia rats.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in U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Liver total cholesterol content in LG group and liver triglyceride in UG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control group.

  • PDF

Effects of Functional Extracts Made from Fermented Plants on Serum Glucose and Lipids Level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Lee, Soo-Jung;Sung, Duk-Mo;Shin, Jung-Hye;Sung, Nak-Ju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3호
    • /
    • pp.167-175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fermented functional extracts (FE) on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s in diabetes. FE were created by mixing 9 kinds of plants with sea water and then allowing the mixture to ferment for 1 year. FE were supplemented in the feed of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at 1%, 3% and 5%. The 1% feeding group showed the lowest weight loss of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The blood glucose and glycosylated hemoglobin leve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E fed rats compared to the diabetic control (DMC) group. The lipid levels in serum were decreased in 1% and 3% FE fed rats in comparison to the DMC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riglyceride levels due to the FE concentration. The HDL-C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ats with FE supplemented diets, compared to the DMC group. The levels of lipid peroxides in liver tissu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FE fed diabetic rats, and the hepatic glycogen content was increased in rats receiving supplements. As a result of these studies, we believe 1% FE may be the optimum level for controlling blood glucose and alleviating hyperlipidemia in STZ-induced diabetic rats.

식단에 따르는 페노피브레이트 서방성 캡슐의 1회 경구 투여 후 약물동태학 및 약물동력학의 평가 (Effect of Food on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Fenofibric Acid after a Single Oral Dose of Fenofibrate Sustained-Release Capsule)

  • 윤휘열;김정현;이은주;정수연;최선옥;김형기;권준택;강원구;권광일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4-40
    • /
    • 2005
  • We examined the effects of food on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properties of fenofibrate released from sustained-release(SR) capsule as therapy for hypolipidemia. Twenty-four healthy volunteers were used in $3{\times}3$ crossover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study; Additional six volunteers were used as a control group (i.e., no fenofibrate administration). A single dose of fenofibrate (SR capsule, 250 mg) was administered on three occasions: after overnight fasting, after consumption of a standard breakfast, and after a high-fat breakfast. Seri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the next 72 hours. Plasma fenofibric acid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calculated using ADAPT II program. Plsama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blood chemistry analyzer (CH-100).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food intake. The high-fat breakfast affected the rate of absorption of fenofibrate more than did the standard breakfast and fasted conditions. Plasma concentrations of triglyceride at 24 hours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fenofibrate compared with the concentration at 0 hours(P<0.05). In healthy volunteers, the bioavailability of fenofibrate was greater when administered via sustained-release capsules immediately after the consumption of food than after fasting condition.

  • PDF

In Vitro Propagation Through Nodal Explants in Helicteres isora L., a Medicinally Important Plant

  • Shriram, Varsha;Kumar, Vinay;Shitole, M.G.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189-195
    • /
    • 2007
  • Helicteres isora is medicinally important plant effective against asthma, diabetes, hypolipidemia, HIV, besides a good source of diosgenin. Seed dormancy and low rate of natural fruit production make this plant a perfect candidate for developing an in vitro method useful for its clonal propagation and further biotechnological developments. This is the first report on in vitro production of this plant. Nodal explants obtained from aseptically germinated seedlings were cultured on MS medium (Murashige and Skoog 1962) fortified with indole-3-acetic acid (IAA) ($0.57-22.83\;{\mu}M$), indole-3-butyric acid (IBA) ($0.41-16.58\;{\mu}M$), 6-benzylaminopurine (BA) ($0.44-17.75\;{\mu}M$) and kinetin (Kin) ($0.46-13.94\;{\mu}M$) either singly or in combinations of IAA + BA, IAA + Kin and BA + Kin. Combinations of cytokinins (BA and Kin) were most suitable for multiple shoot induction and $13.94\;{\mu}M\;Kin\;+\;13.31\;{\mu}M\;BA$ was optimum (79% frequency) associated with high number of microshoots (7.1 shoots per explant) after 20 days of culture. Maximum shoot elongation and proliferation (10 shoots per explant with 4.8 cm average height) was achieved on MS media containing $2.32\;{\mu}M\;Kin\;+\;2.22\;{\mu}M\;BA\;+\;2.85\;{\mu}M\;IAA$. High rooting frequency (70%) was achieved on MS medium (1/2 basal strength) fortified with $4.14\;{\mu}M$ IBA, while activated charcoal showed inhibitory effects on rooting. Hardening was done with 76% survival rate and these plants were growing without any visual defects and morphologically mimicking the naturally growing plants.

Effect of Phellinus baumii -Biotransformed Soybean Powde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 Kim, Dae Ik;Kim, Kil Soo;Kang, Ji Hyuk;Kim, Hye Jeo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98-103
    • /
    • 2013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hypolipidem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biotransformed soybean powder (BTS; Phellinus baumii-fermented soybea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Sprague-Dawley (SD) male rats were divided into basal diet group (BA), high fat diet group (HF), high fat diet containing 10% BTS group (10 BTS), and high fat diet containing 20% BTS group (20 BTS). Changes in the content of various isoflavones, including daidzein and genistein, within the soybean after fermentation to BTS were investigated. The levels of daidzein and genistein were $149.28{\mu}g/g$ and $364.31{\mu}g/g$, respectively. After six weeks experimental period, Food efficiency ratio in the 10 and 20 BT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 group (P<0.05). Total serum levels of cholesterol, triglycerides,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ratio in the 10 or 20 BTS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 group. The level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s that received 10% and 20% BTS than the HF. The activities of SOD and CAT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10 and 20 BTS group than the HF group. The activity of XO in the 10 and 20 BTS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HF group by 20% and 23%,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se data suggest that BTS is an effective agent in improving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enzyme system.

고콜레스테롤 식이의 급여에 의해 고지혈증이 유도된 흰쥐의 신령버섯 자실체의 항고지혈증 효과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Agaricus brasiliensis fruiting bodies in rats fed with high cholesterol diet)

  • 진가헌;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8-124
    • /
    • 2018
  • 신령버섯의 자실체가 고콜레스테롤을 급여한 Sprague Dawley계 암컷 흰쥐의 지질대사와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생후 5주령의 흰쥐에 표준식이를 급여한 정상 식이군(NC), 정상 식이에 10%의 대두유와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여 급여한 고콜레스테롤 식이군(HC),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신령버섯 자실체 분말을 5% 첨가하여 급여한 군(HC+AB) 등 3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와 식이효율은 HC에 비해 HC+AB가 유의하게 감소하여 NC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식이섭취량은 NC에 비해 HC와 HC+AB가 유의하게 낮았다. 혈청의 총콜레스테롤(TC), LDL-콜레스테롤(LDL-C), 중성지방(TG)의 농도는 HC에 비해 NC와 HC+AB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동맥경화지수(AI)와 LDL-C/HDL-C의 비율도 HC에 비해 NC와 HC+AB가 유의하게 낮았다. 혈청의 알부민, 크레아티닌, 요산 및 총단백질의 농도도 NC와 HC+AB가 HC에 비해 조금 낮았다. 간기능의 척도를 나타내는 혈청의 GOT와 GPT 효소의 활성은 NC와 HC+AB가 HC에 비해 낮았지만 유의성을 없었고, ALP의 농도는 HC에 비해 NC와 HC+AB가 유의하게 낮아서 신령버섯 자실체 분말의 급여가 흰쥐의 ALP 농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실험 5-6주 사이에 배출된 변을 채취하여 분석한 총지질과 총콜레스테롤의 양은 HC+AB가 NC와 HC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 식이로 섭취한 일부의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변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신령버섯의 자실체 분말을 5% 수준으로 첨가하여 6주간 급여한 흰쥐의 체중, 혈청의 TC, LDL-C 및 TG의 농도와 동맥경화 수치(AI)가 정상 수준을 유지하고 지방간의 발생도 억제되는 효과가 현저히 나타나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의 섭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개선에 신령버섯의 자실체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마늘 효소분해물과 천연색소 소재의 복합물이 고지방 식이성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Enzymatic Hydrolysates and Natural Color Resource Composites on Lipid Metabolism in Rat Fed a High Fat Diet)

  • 황초롱;강재란;심혜진;강민정;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63-672
    • /
    • 2015
  • 마늘 효소분해물과 포도과피, 감 및 아선약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물이 고지방 식이를 급이한 흰쥐의 혈청 및 간 조직 내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늘 효소분해물과 포도과피, 감 및 아선약 추출물을 9.5:0.5, 9:1, 8:2(w/w)의 비율로 혼합한 복합물을 제조하여 in vitro에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8:2(w/w)로 혼합한 아선약 복합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8:2(w/w)의 비율로 조정된 마늘 효소분해 복합물을 2.5 g/kg/day의 농도로 5주간 흰쥐에게 경구 투여한 결과, 총 지질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아선약 복합물을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중성지방 함량은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54.29 mg/dl로 가장 낮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감 및 아선약 복합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천연색소 복합물 투여군에 비해 마늘 효소분해물을 투여한 군에서 더 낮았으며, VLDL-콜레스테롤 함량은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가장 낮았다. GOT, GPT 및 ALP 활성은 천연색소 복할물 중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간 조직 중 총 지질,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감 및 아선약 복합물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항산화 활성은 혈청에서는 아선약 복합물 투여군에서 50.86%로 가장 높았고, 간 조직에서는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가장 높았다. 혈청 및 간 조직의 TBARS 함량은 감 복합물 투여군에서 각각 18.24 mmol/dl 및 60.72 mmol/dl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고지방 식이성 흰쥐에서 마늘 효소분해물에 감 추출물을 혼합한 복합물의 급이는 체내 지질 함량을 낮추고 항산화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고지혈증 및 항비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늘종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의 지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rlic Shoot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Hyperlipidemic Rats Fed a High-fat Diet)

  • 황초롱;강재란;강민정;심혜진;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6-284
    • /
    • 2015
  •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흰쥐에 마늘종 50% 및 75%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200 및 400 mg/kg B.W./day 농도로 투여하여 혈중 및 간 조직의 지질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혈청 총 지질 및 중성지방 함량은 GSB-2군에서 가장 낮았고,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GSA-2와 GSB-2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 중 GSB-2군이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을 보였고, LDL- 및 VLDL-콜레스테롤 함량은 GSB-1군 및 GSB-2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AI 및 CRF 지수는 GSB-2군에서 각각 0.58 및 1.57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혈청 AST, ALT 및 ALP 활성은 GSA-2 및 GSB-2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 조직 중 총 지질 함량은 모든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함량이었으나 실험군간에 유의차는 없었다. 간 조직 중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함량은 GSB-2군에서 가장 낮았다. 혈청 및 간 조직의 항산화 활성은 GSB-2군에서 각각 40.16% 및 47.41%로 가장 높았다. 혈청 및 간 조직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실험군 중 GSB-2군에서 가장 낮았다.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에 의해 고지혈증이 유도된 흰쥐에서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항고지혈증과 항비만 효과 (Anti-hyperlipidemic and anti-obesity effects of Sparassis latifolia fruiting bodies in high-fat and cholesterol-diet-induced hyperlipidemic rats)

  • 임경환;백승아;최재혁;이태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3-32
    • /
    • 2021
  • 꽃송이버섯의 자실체가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을 급여한 Sprague-Dawley계 암컷 흰쥐의 지질대사와 비만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생후 6주령의 흰쥐에 정상 식이를 급여한 군(ND), 정상 식이에 20%의 돈지(Lard)와 1%의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 HFD 식이에 꽃송이버섯 자실체 분말을 5%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SL), HFD 식이에 simvastatin을 0.3% 수준으로 첨가하여 급여한 군(HFD+SS) 등 4개의 실험군으로 나누어 6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간 체중의 증가율은 HFD+SL군과 HFD+SS군이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ND군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 HFD 식이에 꽃송이버섯을 첨가하여 급여한 HFD+SL군의 비만이 억제되었다. ND군의 식이섭취량은 HFD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HFD+SL군과 HFD+SS군에 비해서는 고도로 유의하게 높았다. 혈청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지단백질 콜레스테롤(LDL-C) 및 중성지방(TG)의 농도는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았다.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도를 나타내는 동맥경화지수(AI)와 LDL-C/HDL-C 비율도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 자실체의 급여가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도를 낮출 수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부민, 크레아티닌, 요산 및 총단백질의 농도는 모든 실험군 간 정상적인 수치를 나타냈으나 혈당 농도는 HFD군에 비해 ND군, HFD+SL군, HFD+SS군 모두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이 혈당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간 기능 손상의 척도를 나타내는 AST와 ALT 효소의 활성은 모든 실험군 간 유의성은 없었으나 ALP 효소의 농도는 HFD에 비해 ND군와 HFD+SL군 및 HFD+SS군이 유의하게 낮아 꽃송이버섯을 첨가한 식이의 급여가 흰쥐의 ALP 농도를 유의하게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실험 5주와 6주 사이에 배출된 분변의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양을 측정한 결과 HFD+SL군이 배출한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의 양이 HFD군과 HFD+SS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HFD식이에 함유된 일부의 지질과 콜레스테롤이 꽃송이버섯에 의해 장내로 흡수되지 않고 분변으로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실험군의 간 조직을 적출하여 oil red O로 염색하고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HFD군에서는 심한 지방간이 관찰되었으나 HFD+SS군은 ND군과 같이 지방간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고 HFD+SL군의 간 조직에서는 소량의 지방 방울이 관찰되어 꽃송이버섯의 자실체에는 비알코올성지방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꽃송이버섯 자실체는 고지방과 고콜레스테롤 식이 섭취로 인해 발생하는 체중증가, 혈청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농도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에 효과가 있어 심혈관계 질환과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