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hoderma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1초

한국산부후균의 기재(I) (Notes on the Korean Rotten Wood Fungi(I))

  • 조덕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7-104
    • /
    • 1996
  • 많은 고등균류를 1995년 4월부터 10월까지 모악산 도립공원, 만덕산(전라 북도)과 변산반도 국립공원에서 채칩하여 동정하였다. 그 결과 속껍질버섯 속(Hyphoderma), 탈모껍질버섯속(Piloderma), 날원통담자버섯속(Cylidrobasidium)은 한국 미기록 속이었고, 결절벌집버섯(Polyporus tuberaster), 붉은 진흙버섯(Phellinus ferruginosus), 누에고약버섯(Corticium bomycinum), 붉은가는주름버섯(Phlebia rufa), 털속껍질버섯(Hyphoderma puberum), 삼베탈모껍질버섯(Piloderma byssinum), 날원통담자 버섯(Cylindrobasidium evolens) 그리고 솔휜구멍버섯(Peniophora pini)은 한국산 미기록 종으로 확인되었다.

  • PDF

울릉도의 근류상 (I) - 수 종 고약균류에 관하여 - (Fungal Flora of Ullung Island (I) - on Some Corticioid Fungi -)

  • 정학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77-90
    • /
    • 1991
  • 1989년 10월 12일부터 일주일간 실시한 답사과정에서 발견한 107점의 표본과 1990년 8월 6일부터 닷새간 실시한 답사과정에서 발견한 68점의 균류표본을 포함하여 도합 175점의 표본이 울릉도에서 채집되었다. 이들 주에서 62점이 주로 평탄한 자실층 주조를 갖는 배착성 균류들이었으며, 그 중 일부 고약버섯류가 최종적으로 동정되어 11종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10종은 국내 미기록종으로서 우리나라의 균류분포목록에 새로이 추가되었다. 이들 균류들은 모두 고약버섯과에 속하는 종류들로서 이들의 이름을 나열하면 Athelia epiphylla(부호고약버섯, 신칭), Grandinia alutaria(둥근돌기고약버섯, 신칭), G. breviseta(흰돌기고약버섯), G. granulosa(돌기고약버섯, 신칭), G. stenospora(털돌기고약버섯, 신칭), Cylindrobasidium evolvens (담자고약버섯, 신칭), Hyphoderma radula(줄목재고약버섯, 신칭), H. setigerum(목재고약버섯, 신칭), Hypochnicium eichleri(흰후막고약버섯, 신칭), Trechispora albo-ochracea(황미세고약버섯, 신칭), 및 T. farinacea(분미세고약버섯, 신칭)이다. 울릉도의 고약버섯류의 육지에 비교하여 제한된 종류의 균류상을 보이고 있으며, 침염수의 제한된 분포로 침엽수에 서식하는 종류가 매우 적었으며, 반면에 활엽수의 죽은나무, 나무가지, 낙엽 등지에서 다양한 종류의 고약버섯들이 다수 발견된 점이 특이하였다. 울릉도의 지형은 지면의 경사가 심하고 배수가 빠르며, 산림의 조성이 다양하며 계곡과 등산로를 따라 그늘과 습기가 유지된 낙엽과 부식토양에서 딱총나무속(Sambucus)과 오리나무속(Alnus)의 나무를 중심으로 다수의 균류들이 채집되었으며, 섬의 환경에 잘 적응된 부후고약버섯(Athelia epiphylla)과 목재고약버섯(Hyphoderma setigerum)이 우점종으로 자라고 있었다.

  • PDF

Notes of 15 unrecorded macrofungi in Korea

  • Minseo Cho;Sun Lul Kwon;Seokyoon Jang;Yeonjae Yoo;Sang Hyun Lee;Dae Young Kwon;Changmu Kim;Young Woon Lim;Jae-Jin Ki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67-88
    • /
    • 2024
  • Macrofungi are essential decomposers in the forest environment. Although more than 70% of the land is mountainous,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on mushroom diversity in Korea compared to the global species estimation. For this reason,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became apparent. Th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2014 to 2022 nationwide. As a result, 15 unrecorded macrofungal species were discovered: Agaricus thiersii, Baorangia alexandri, Boletellus putuoensis, Entoloma bulakhae, Entoloma pygmaeopapillatum, Entoloma subtenuicystidiatum, Gerronema kuruvense, Hyphoderma nudicephalum, Hyphoderma tenue, Macrolepiota subcitrophylla, Mycena jingyinga, Mycena yuezhuoi, Ophiocordyceps vespulae, Scytinostroma acystidiatum, and Steccherinum straminellum. These species a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molecular, and phylogenetic analyses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and the nuclear large subunit rRNA (LSU) region. Here, we provided macro- and micro-morphological figures with phylogenetic trees to support 15 species as unrecorded to Korea.

한국산(韓國産) 목재부후균류(木材腐朽菌類)의 분포상(分布相)에 대한 연구(硏究) (II) -담자균류(擔子菌類) 민주름버섯목(目)의 분포(分布)에 대하여- (Floral Studies on Korean Wood-rotting Fungi (II) -on the flora of the Aphyllophorales(Basidiomycotina)-)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62-99
    • /
    • 1994
  • 1990년 3월부터 1992년 2월까지 한국산(韓國塵) 목재부후균류(木材腐朽菌類)의 분포상(分布相)에 대한 본 연구(硏究)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국립공원지대(國立公園地帶)와 일부지역(一部地域)과 일부도서(一部島嶼)를 중심으로 목재부후균류(木材腐朽菌類)를 탐색하여 담자균류(擔子菌類)의 민주름 버섯목(目) 균류(菌類)들을 채집 동정(同定)하고 기존의 해당 목재부후균류(木材腐朽菌類)와 함께 분류한 결과 도합 217 종(種)과 1 변종(變種)으로 조사 집계되었으며 그 중 10 속(屬) 36 종(種)이 국내(國內) 미기록(未記錄)으로 밝혀졌다. 이들 미기록종(未記錄種)은 큰원반고약버섯(신칭(新稱), Aleurodiscus cerussatus), 작은털고약버섯(신칭(新稱), Botryobasidium obtusisporum), 큰밀고약버섯(신칭(新稱), Ceraceomyces cystidiatus), 큰변색고약버섯(신칭(新稱), Erythricium hypnophilum), 틈돌기고약버섯(신칭(新稱), Grandinia crustosa), 혀돌기고약버섯(신칭(新稱), Grandinia spathulata), 흰목재고약버섯(신칭(新稱), Hyphoderma praetermissum), 분홍목재고약버섯(신칭(新稱), Hyphoderma roseocremeum), 후막고약버섯(신칭(新稱), Hypochnicium bombycinum), 거친후막고약버섯(신칭(新稱), Hypochnicium detriticum), 평탄후막고약버섯(신칭(新稱), Hypochnicium lundellii), 장미고약버섯 (신칭(新稱), Laeticorticium roseum), 송곳버섯(신칭(新稱), Mycoacia fuscoatra), 오렌지껍질고약버섯(신칭(新稱), Peniophora incarnata), 옅은유색고약버섯(신칭(新稱), Phanerochaete avellanea), 끈유색고약버섯(신칭(新稱), Phanerochaete filamentosa), 노란유색고약버섯(신칭(新稱), Phanerochaete martelliana), 작은아교고약버섯(신칭(新稱), Phlebia lilascens), 황금미세고약버섯(신칭(新稱), Trechispora vaga), 자색꽃구름버섯(신칭(新稱), Chondrostereum purpureum), 작은돌기꽃구름버섯 (신칭(新稱), Cystostereum subabruptum), 털융단버섯(신칭(新稱), Tomentella pilosa), 노란소나무무늬버섯(신칭(新稱), Asterostroma laxum), 붉은소나무비늘버섯(신칭(新稱), Hymenochaete cruenta), 가루소나무비늘버섯(신칭(新稱), Hymenochaete fuliginosa), 소나무비늘버섯(신칭(新稱), Hymenochaete tabacina), 갈색시루삔버섯(신칭(新稱), Inonotus radiatus), 벚나무진흙버섯(신칭(新稱), Phellinus pomaceus), 회주름구멍버섯(신칭(新稱), Antrodia crassa), 층주름구멍버섯(신칭(新稱), Antrodia serialis), 흰그물구멍버섯(신칭(新稱), Ceriporia reticulata), 겹친손등버섯(신칭(新稱), Oligoporus balsameus), 점박이손등버섯(신칭(新稱), Oligoporus guttulatus), 무른흰살버섯(신칭(新稱), Oxyporus cuneatus), 각목버섯(신칭(新稱), Rigidoporus microporus), 및 주름옷솔버섯(신칭(新稱), Trichaptum laricinum)으로서 우리말 이름과 영문 기재(記載)와 함께 우리나라의 균류목록(菌類目錄)에 새로이 추가되었다.

  • PDF

Wood-rotting Fungal Flora of Kanghwa Island

  • Lim, Young-Woon;Lee, Jin-Sung;Kim, Kyung-Mo;Jung, Hack-Sung
    • Mycobiology
    • /
    • 제33권4호
    • /
    • pp.167-172
    • /
    • 2005
  • Through ten field surveys in Kanghwa Island from August of 1997 to March of 2002, total 107 specimens of wood-rotting fungi belonging to the Aphyllophorale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to the species. They taxonomically amounted to 10 families, 31 genera, and 48 species. Among them, one family, Steccherinaceae, and four genera, Australohydnum, Castanoporus, Dacryobolus and Haplotrichum were confirmed as new to Korea. Five unrecorded species, Australohydnum dregeanum, Castanoporus castaneus, Dacryobolus karstenii, Haplotrichum conspersum and Hyphoderma odontiiforme were registered here with descriptions.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5) - on some unrecorded genera and species -

  • Lee, Jin-Sung;Jung, Hack-Sung
    • Mycobiology
    • /
    • 제34권4호
    • /
    • pp.166-175
    • /
    • 2006
  • A total of 149 species and 209 strains of Korean Aphyllophoral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Fungus Collection (SFC) were analyzed by taxonomic and phylogenetic methods. Among those examined fungal specimens, 9 genera Abundisporus, Antrodiella, Cyphellopsis, Dendrothele, Dichomitus, Laxitextum, Piloderma, Skeletocutis and Tubulicrinis, and 23 species, Abundisporus fuscopurpureus, Antrodiella semisupina, Auriporia pileata, Cantharellus subalbidus, Clavulina cinerea, Cyphellopsis confusa, Dendrothele acerina, Dichomitus campestris, Haplotrichum aureum, Heterobasidion annosum, Hyphoderma argillaceum, Hyphodontia tropica, Inonotus dryophilus, Ischnoderma benzoinum, Laxitextum bicolor, Phanerochaete radicata, Phellinus lonicericala, Piloderma byssinum, Skeletocutis nivea, Tomentella terrestris, Trametes elegans, Trametes tenuis, and Tubulicrinis accedens were confirmed as new to Korea and registered here with descriptions.

The Wood-rotting Fungal Flora of Three Islands in the Yellow Sea, Korea

  • Kim, Chang-Mu;Lee, Jin-Sung;Jung, Hack-Sung;Lim, Young-Woon
    • Myco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47-151
    • /
    • 2009
  • The wood-rotting fungi of three Korean islands in the Yellow Sea, Soyeonpyung-do (SY), Oeyeon-do (OY), and Gageo-do (GG), were investigated from October 2004 to November 2005. During four sampling trips on each island, a total of 46, 44, and 44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SY, OY, and GG, respectively. The identified wood-rotting fungi from SY included 29 species of 22 genera and nine families; OY had 31 species of 26 genera and 10 families; and GG had 34 species of 27 genera and 11 families. The majority of the fungi were in the Polyporaceae, which was represented by 23 genera and 30 species. Auricularia polytricha, Daedaleopsis tricolor, Daldinia concentrica, Hymenochaete cinnamomea, Hymenochaete yasudai, Hyphoderma setigerum, Lopharia mirabilis, Schizopora paradoxa, and Trametes versicolor were collected from all three islands.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III) -수종 미기록 고약버섯류에 대하여-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II) -on some unrecorded corticioid fungi-)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265-273
    • /
    • 1996
  • 1994년 10월부터 1995년 6월까지 8개월 동안 우리나라의 중부와 남부의 전역을 통하여 도합 28차례에 걸쳐 12개 국립공원, 2개 도립공원, 및 6개 일반 산악지역을 위시한 우리나라의 전역을 중심으로 정기적인 고등균류 탐색을 실시하여 도합 634점의 목재부후균류를 채집하고 그중 90% 이상을 차지하는 당자균류 민주름버섯류에 대한 체계적인 동정과 분류를 시도하여 국내 민주름버섯류의 미기록종과 고유종의 발굴을 수행하고 도합 9과 49속 92종의 민주름버섯목 균류를 일차적으로 확인하였다. 동정된 균류중 1속 6종은 국내 미기록으로 확인되었고 해당 미기록속은 Phlebiopsis (좀아교고약버섯속, 신칭)이며, 해당 미기록종은 고약버섯과의 Athelia bombacina (막부후고약버섯, 신칭), Ceraceomyces sublaevis (참밀고약버섯, 신칭), Hyphoderma sibiricum (틈목재고약버섯, 신칭), Hyphodontia arguta (침돌기고약버섯, 신청), Phlebiopsis gigantea (좀아교고약버섯, 신칭), 및 Radulomyces confluens (이빨버섯)이다. 1994년 정학성은 한국균학회지에 게재한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 제 2보를 통하여 국내 목재부후균류의 민주름버섯류를 98속 217종 1변종으로 확인한바 있으며, 이어 1995년도에 게재한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제 1보에서 발표한 2속 7종 미기록과 1996년도에 게재한 제 2보에서 발표한 1속 6종 미기록과 함께 본 연구의 1속 6종 미기록을 합산하면 한국산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는 도합 17과 102속 236종 1변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미기록종중 막부후고약버섯은 상수리나무, 참밀고약버섯은 미확인 활엽수, 틈목재고약버섯은 오리나무, 침돌기고약버섯과 이빨버섯은 벚나무, 좀아교고약버섯은 소나무에서 발견되었다. 이들 미기록종은 서울 근교의 북한산과 관악산에서 채집되었으며 과거 서울근교에서 조사된 균류의 분포기록이 미비한 점과 대도시의 공해와 등산객의 행락에 의한 오염에도 불구하고 다양하고 특이한 균류의 분포상이 발견되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서울 근교와 서울 주변의 경기도 일대는 도시오염과 관련하여 민주름버섯류의 분포상 조사에 매우 적합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 PDF

Evaluation of Cellulolytic Enzyme Production by Indigenous Fungi in Korea

  • Lee, Hanbyul;Lee, Young Min;Heo, Young Mok;Lee, Jaejung;Kim, Jae-Jin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648-653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lect various fungal strains indigenous to Korea that have the potential to produce cellulases, including filter paper activity (FPase), $endo-{\beta}$-1,4-glucanase (EG), and ${\beta}-glucosidase$ (BGL). Among the 25 species of Ascomycetes and the 32 species of Basidiomycetes tested in this study, the Bjerkandera adusta KUC10565, Heterobasidion orientale KUC10556, Hyphoderma praetermissum KUC10609, and Trichoderma harzianum KUC1716 all exhibited remarkably high FPase activity. In addition, the T. harzianum KUC1716 showed high levels of EG and BGL activity. This strain has been selected for further study because of their enzymatic potential.

울릉도의 균류상 (ll) -수종 배착성균류에 대하여- (Fungal flora of $Ull\check{u}ng$ Island (II) -on some resupinate fungi­ -)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0
    • /
    • 1991
  • 1989 년 10 월 12 일부터 일주일간 실시한 답사과정에서 발견한 107점의 표본과 1990년 8월 6일부터 닷새간 실시한 답사과정에서 발견한 68점을 포함하여 도합 175점의 표본이 울릉도에서 채집되었다 . 이들 중에서 62점이 주로 평탄한 자실층 주조를 갖는 배착성 균류들이었으며, 그중 일부 고약버섯류, 꽃구름버섯류, 및 소나무비늘버섯류가 최종적으로 동정되어 8종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7종은 국내 미기록종으로서 우리나라의 균류분포목록에 새로이 추가되었다. 이들 8종의 균류들을 과별로 이름을 나열하면 고약버섯과의 Gloeocystidiellum karstenii (틈굳은고약버섯, 신칭(新稱)), Peniophora lilacea(자색껍질고약버섯, 신칭(新稱)), Phlebia cremeo-alutacea (황아교고약버섯, 신칭(新稱)), P. deflectens (큰아교고약버섯, 신칭(新稱)), P. livida (금아교고약버섯, 신칭(新稱)), 및 Resinicium bicolor (수지고약버섯, 신칭(新稱)), 꽃구름버섯과의 Xylobolus frustulatus (거북꽃구름버섯), 그리고 소나무비늘버섯과의 Hymenochaete corrugata (민소나무비늘버섯, 신칭(新稱))이다. 울릉도는 지면의 경사가 심하고 지형의 변화가 크며 산림의 조성이 풍부하지만 울릉도의 배착성 균류는 침엽수의 제한된 분포로 육지에 비교하여 제한된 종류의 균류상을 보이고 있으며, 주로 계곡과 등산로를 따라 그늘과 습기가 잘 유지된 지역의 딱총나무속(屬)(Sambucus), 오리나무속(屬)(Alnus), 및 너도밤나무속(屬)(Fagus) 의 죽은 나무와 나무 가지에서 다수의 균류들이 채집되었으며, 섬의 환경에 잘 적응된 일부 균류들, 특히 제1보 (정학성, 1991)에서 언급한 흰부후고약버섯(Athelia epiphylla)과 목재고약버섯(Hyphoderma setigerum) 그리고 본보에 기재 한 금아교고약버섯(Phlebia livida)과 거북꽃구름버섯(Xylobolus frustulatus)이 섬의 활엽수림지역에서 우점종으로 자라고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