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ation number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8초

모의실험체에 의한 다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의 시공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ability Estimation of Multi-component High Fluidity Concrete based on Mock-up Test)

  • 권기주;노재명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5-82
    • /
    • 2010
  • 건설산업이 대형화, 초고층화, 다양화되면서 우수한 기술과 Know-how가 요구되고 있고, 또한 건설기술자의 부족, 특수환경 하에서의 건설공사의 증가 및 구조물의 고성능화 등의 요구에 따라 콘크리트 분야 기술력을 개발하고 실용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고성능 콘크리트에 대한 성능규정 및 기술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한 가지 방안으로 신뢰성이 높은 고유동 콘크리트를 적용하면 시공의 제약조건을 극복할 수 있으며, 작업인원의 절감 및 공기단축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유동 콘크리트를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 실제 건설현장에서 대용량의 배치플랜트에서 생산할 경우에도 시공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 모의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로부터 다성분계 고유동 콘크리트는 실제 구조물에서도 양호한 충전성능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수화열로 인한 콘크리트 내부온도 상승도 양호한 범위 값을 나타내었다. 향후 시공조건에 따라 전련산업관련 구조물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wo Terpenoids, UA and ONA on Skin Barrier and Its Application

  • S. W. Lim;S. W. Jung;Kim, Bora;H. C. Ryoo;Lee, S. H.;S. K. Ahn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I
    • /
    • pp.108-109
    • /
    • 2003
  • Ursolic acid (UA) and Oleanolic acid (ONA), known as urson, micromerol, prunol and malol, are pentacyclic triterpenoid compounds which naturally occur in a large number of vegetarian foods, medicinal herbs, and plants. They may occur in their free acid form or as aglycones for triterpenoid saponins, which are comprised of a triterpenoid aglycone, linked to one or more sugar moieties. Therefore UA and ON A are similar in pharmacological activity. Lately scientific research, which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UA and ONA, revealed that several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tumor, hepatoprotective, anti-inflammatory, antimicrobial, and anti-hyperlipidemic could be attributed to UA and ONA. Here, we introduced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acute barrier disruption and normal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To clarify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skin barrier recovery, both flank skin of 8-12 weeks hairless mice were topically treated with samples (2mg/ml) after tape stripping, then measured recovery rate using TEWL on hairless mice. The recovery rate increased in UA and ONA treated groups at 6h more than 20% compared to vehicle treated group (p <0.05). For verifying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normal epidermal barrier, hydration and TEWL were measured for 1 and 3 weeks after UA and ONA applications (2mg/ml per day). We also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epidermis and dermis using electron microscopy (EM) and light microscopy (LM). Both samples increased hydration compared to Vehicle group from 1 week without TEWL alteration (p<0.005). EM examination using Ru04 and OsO4 fixation revealed that secretion and numbers of lamellar bodies and complete formation of lipid bilayers were most prominent (ONA$\geq$UA>Vehicle). LM finding showed that stratum corneum was slightly increased and especially epidermal thickening and flattening was observed (UA>ONA>Vehicle). Using Masson-trichrome and elastic fiber staining, we observed collagen thickening and elastic fiber increasing by UA and ONA treatments. In vitro results of collagen and elastin synthesis and elastase inhibitory experiments were also confirmed in vivo finding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UA and ONA related to not only skin barrier but also collagen and elastic fibers. Taken together, UA and ONA can be relevant candidates to improve barrier function and pertinent agents for cosmetic applications.

  • PDF

초고강도 콘크리트(130MPa)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ultra-high strength concrete(130 MPa))

  • 조춘환;양동일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2-18
    • /
    • 2024
  • 건축물의 초고층화, 대형화, 다양화가 가능하고 콘크리트 단면의 축소로 구조물 자중이 경감되어 보와 슬래브 두께를 얇게 함으로 층고를 증감하거나 같은 높이에서 많은 층수를 축조할 수 있고 넓은 유효공간이 확보되며, 기초 저면 지정에 사용된 자재 및 철근과 콘크리트 양을 절감하는 효과를 기할 수 있다. 현장시공 및 품질측면에서는 낮은 물결합재비 배합으로 건조수축 발생 저감 효과와 콘크리트 표면의 블리딩 최소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고성능감수제 사용에 의한 유동성 증진으로 자체 충전성이 확보되어 현장시공이 용이해지며, 콘크리트의 조기 강도 발현으로 거푸집 탈형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근래에 들어 콘크리트와 관련한 건축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초고층 건축물에서는 설계기준강도 10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콘크리트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도 12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들이 발주 또는 발주 예정되어 있으나, 현장 적용성이 고려된 130MPa급 이상의 초고강도 콘크리트를 개발하여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성 여부를 실험, 평가한 연구실적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강도콘크리트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의 실내기초 실험으로 연구되어진 최적의 배합비를 찾아서 축소모의부재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후 실물크기와 유사한 모의부재에 130MPa급 초고강도콘크리트를 레미콘 공장에서 생산하여 현장 펌프압송 타설을 통해 콘크리트의 유동특성, 강도특성, 수화열에 관하여 실험 연구하였다.

미세다륜침을 이용한 스피루리나 함유 화장품의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pirulina-containing Cosmetics Using Micro-Needle)

  • 정수진;이현진;리순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69-276
    • /
    • 2017
  • 본 연구는 MTS와 스피루리나 함유 화장품이 40~50대 중년여성의 피부 톤, 피부보습 및 색소침착, 미세주름 개선 등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피부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방법은 MTS, 스피루리나 불 포함 세럼과 크림 팩을 사용한 8명의 대조군과 MTS, 스피루리나 함유 세럼과 크림 팩을 사용한 8명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실험은 주 1회, 총 6회, 1회 관리 시간은 30분으로 시행하였다. 실험 전 0주, 실험 6주 후, 실험 종료 2주 후로 총 3회에 걸쳐 피부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스피루리나 함유 화장품을 사용한 실험군은 피부톤, 수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대 소 색소 침착수, 눈꼬리 주름 면적, 멜라닌, 홍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실험 종료 2주 후, 실험 6회 후와 비교하여 관리의 지속성을 본 결과 실험군은 눈꼬리 주름 면적, 멜라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피부 톤에서 피부 밝기, 수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실험이 종료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피부 밝기, 미세주름, 멜라닌, 수분이 개선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피부 톤에서 색조 밝기, 채도 밝기, 대 소 색소 침착수, 홍반에서도 두 군 모두 실험 6회 후와 비교하여 실험이 종료된 2주 후에도 효과가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MTS와 스피루리나 불 포함 화장품을 이용한 관리보다 MTS와 스피루리나 함유 화장품을 이용한 관리가 피부 톤, 피부보습 및 색소침착, 미세주름 개선에 변화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 후 피부 상태를 묻는 질문에도 모두 만족한다고 응답하여 MTS와 스피루리나 함유 화장품을 이용한 관리가 중년여성의 노화 피부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피부 관리 프로그램 방법으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 of two Terpenoids, Ursolic acid and Oleanolic acid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and simultaneously on dermal functions

  • Lim Suk Won;Jung Sung Won;Ahn Sung Ku;Kim Bora;Ryoo Hee Chang;Lee Seung Hu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5-232
    • /
    • 2003
  • Ursolic acid (UA) and Oleanolic acid (ONA), known as urson, micromerol and malol, are pentacyclic triterpenoid compounds which naturally occur in a large number of vegetarian foods, medicinal herbs, and plants. They may occur in their free acid form or as aglycones for triterpenoid saponins, which are comprised of a triterpenoid aglycone, linked to one or more sugar moieties. Therefore UA and ONA are similar in pharmacological activity. Lately scientific research, which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UA and ONA, revealed that several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tumor, hepato-protective, anti-inflammatory, anticarcinogenic, antimicrobial, and anti-hyperlipidemic could be attributed to UA and ONA. Here, we introduced the effect of UA and ONA on acutely barrier disrupted and normal hairless mouse skin. To evaluate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recovery, both flanks of 8-12 week-old hairless mice were topically treated with either 0.01-0.1 mg/ml UA or 0.1-1 mg/ml ONA after tape stripping, and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was measured . The recovery rate increased in those UA or ONA treated groups (0.1 mg/ml UA and 0.5 mg/ml ONA) at 6 h more than $20\%$ compared to vehicle treated group (p<0.05). Here, we introduced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acute barrier disruption and normal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For verifying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normal epidermal barrier, hydration and TEWL were measured for 1 and 3 weeks after UA and ONA applications (2mg/ml per day). We also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epidermis and dermis using electron microscopy (EM) and light microscopy (LM). Both samples increased hydration compared to vehicle group from f week without TEWL alteration (p<0.005). EM examination using RuO4 and OsO4 fixation revealed that secretion and numbers of lamellar bodies and complete formation of lipid bilayers were most prominent $(ONA{\geq}UA>Vehicle)$. LM finding showed that thickness of stratum corneum (SC) was slightly increased and especially epidermal thickening and flattening was observed (UA>ONA>Veh). We also observed that UA and ONA stimulate epidermal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via $PPAR\;\alpha$. Protein expression of involucrin, loricrin, and filaggrin increased at least 2 and 3 fold in HaCaT cells treated with either $ONA\;(10{\mu}M)$ or UA $(10{\mu}M)$ for 24h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UA and ONA can improv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and induce the epidermal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via $PPAR\;{\alpha}$. Using Masson-trichrome and elastic fiber staining, we observed collagen thickening and elastic fiber elongation by UA and ONA treatments. In vitro results of collagen and elastin synthesis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measurements were also confirmed in vivo findings. These data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UA and ONA related to not only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s but also dermal collagen and elastic fiber synthesis. Taken together, UA and ONA can be relevant candidates to improve epidermal and dermal functions and pertinent agents for cosmeseutical applications.

응결시간조정에 의한 매트기초 매스 콘크리트의 온도균열저감 공법적용의 Mock-up Test (Mock-up Test of Temperature Crack Reduction Method Application by Setting Time Control of Mat Foundation Mass Concrete)

  • 한천구;이재삼;노상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5-61
    • /
    • 2009
  • 현재 국내의 건설공사현장에서는 도심부에 대형 건설사를 중심으로 초고층 건축물의 시공이 진행 중에 있다. 그런데 이러한 초고층 건축물의 기초는 상부의 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매우 두꺼운 매트 콘크리트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매스 콘크리트는 현장여건상 다량의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할 수 없기 때문에 일체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것은 물론이고 수화발열시간의 서로 다름에 따른 내응력에 의한 균열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국내 모처에 건설되고 있는 초고층 건축물을 대상으로 초지연제의 응결시간차를 활용한 수평분할타설 건축 매스 콘크리트의 수화열 조정공법을 실제 건축현장에 적용하고자 Mock-up test를 통하여 그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초지연제 투입 전 후슬럼프 플로우는 목표 지연시간이 길어질수록 다소 증가하였고, 공기량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결시간은 목표 지연시간이 길어질수록 지연되었다. 목표 지연시간이 길어질수록 초기재령에서는 압축강도가 작게 나타났으나, 재령이 경과할수록 강도증진 폭이 크게 되어 재령 28일에서는 보통 콘크리트보다 동등 혹은 그 이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2단 및 4단으로 초지연제에 의한 응결시간차공법을 활용한 경우 하부와 상부간 콘크리트의 일체화 및 온도차를 낮추고, 수화열 피크시점이 후기로 늦어짐에 따라 균열발생가능성을 저하시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4단 타설에서 가장 양호한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풍고삼환(散風苦蔘丸)이 알레르기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npunggosamhwan on the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남봉수;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27
    • /
    • 2005
  • Objectives: To study the effectiveness of Sanpunggosamhwan(SGH) against Allergic Contact Dermatitis(ACD), the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change of cutaneous shape, anti-allergic effect, anti-inflammatory effect, and the effect on skin barrier were observed. Methods: The 200g ra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15 rats. The first group is the Normal group which was applied Acetone olive oil only. The second group is the ACD group which has intentionally activated Allergic Contact Dermatitis by DNCB. The third group is the SGH group which was given medication of Sanpunggosamhwan extract after the induction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by DNCB. Each group of rats was observed after 24, 48 and 72 hours. Results: I. With the result of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at 24hours SGH group showed appreciably less ear swelling than ACD group. 2. Regarding general change of skin, SGH group showed less hyperplasia of epidermis, less damage of epidermis than ACD group. 3. Regarding the number of WBC, AC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than normal and SGH group at 72 hours. 4. Regarding the number of RBC in blood, ACD and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RBC than normal group at 24, 48, 72 hours. 5. Regarding the ratio of neutrophil in WBC, ACD and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percentage than normal group at 24, 48 hours. 6. Regarding the ratio of lymphocyte in WBC, ACD and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percentage than normal group at 48 hours. 7. Regarding the erythema,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erythema than normal and ACD group at 48 hours. 8. Regarding the melanin,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less melanin than normal group at 24 hours.9. Regarding the skin hydration, SGH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value than and ACD group at 72 hours. 10. Regarding the skin pH, AC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value than normal and SGH group af 24 hours. 11. Regarding the number of Total IgE, ACD and SGH group showed more Total IgE than normal. g개up at 24 hours. 12. At Electro microscope-morphologic changes of skin, the damage of epithelium was decreased and regeneration power of skin was increased in the SGH group. Conclusions: The Sanpunggosamhwan extract administration was effective on the mitigation of skin damage in rats wit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PDF

수용액 내 폴리스티렌-폴리에틸옥사이드 이중블록공중합체 미셀 구조에 대한 소각중성자산란 연구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Study of the Structure of Micelles Formed by a Polystyrene-Poly(ethylene oxide) Diblock Copolymer in Aqueous Solution)

  • 강병욱;최미주;황규희;이광희;진병석
    • 폴리머
    • /
    • 제33권5호
    • /
    • pp.485-489
    • /
    • 2009
  • 중수소화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옥사이드 이중블록공중합체(dPS-PEO)로 형성된 미셀의 구조에 대한 온도 의존성을 소각중성자산란(SANS)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SANS 데이터는 코어-쉘 모델의 form factor와 hard-sphere structure factor를 결합하여 분석하였으며, 산란 곡선 맞춤을 이용하여 미셀 응집수와 코로나 반경을 구하였다. 온도가 $25^{\circ}C$에서 $45^{\circ}C$로 증가함에 따라서 미셀 응집수는 229에서 240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로 인해 코어 반경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셀의 쉘 두께는 6.2 nm에서 5.8 nm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온도 증가에 따라서 PEO 블록의 소수성이 증가함으로써 코로나 내의 친수성 그룹 당 수화 부피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Helicobacter pylori 억제효과를 가지는 영실(Rosa multiflora Thunberg) 추출물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Amended with Rosa multiflora Thunberg Extracts with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 박기태;우희섭;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431-1440
    • /
    • 2012
  • Whole fruit 영실로부터 페놀성 물질의 추출은 70%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였을 때가 최적이었다. 영실로부터 제조한 70% 에탄올 추출물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은 $200{\mu}g/mL$의 phenolic compoun d 함량에서 13 mm의 저해환을 나타내었다. 영실 추출물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을 알아본 결과 영실 추출물을 첨가한 반죽은 밀가루 수화와 반죽 형성, 시각적인 반죽 내부평가에서 품질 열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영실 추출물을 첨가한 반죽으로 구운식빵 제품의 특성을 알아본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수분 함량이 높아 촉촉한 조직감을 주었으며, 불규칙한 기공이 많았으나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성악도들의 음성관리 및 성대화상술상의 문제점과 발성에 대한 음향분석학적 특징 (Problems of Strobovideolarygoscopic Findings and Usual Voice Management of Vocal Major Students,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inging Voice)

  • 진성민;김대영;반재호;이상혁;송윤경;권기환;이경철;이용배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49
    • /
    • 199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compare e acoustic sound structure of vocal major student's singing voice. Materials and Methods : The nineteen vocal major students were the subject group and healthy nineteen females were the control group for this study. The subject group was taken a strobovideolaryngoscopy by the use of flexible nasopharyngoscopy. And acoustic analysis was taken between two groups. Additionally the inquiry on usual voice problems and management was performed by thirty-six vocal major students. Results : The subject group presents many functional voice disorder findings such as AP contraction(44%), phase difference(36%) tremor(25%), posterior gap(17%), hyperadduction of vestibular fold(6%), and anterior gap(3%) on strobovideolaryngoscopy. And the vocal major students did reveal an enhanced number of high frequency harmonic partials when sing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narrow band spectrum stud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jitter, shimmer and noise to harmonic ratio in both groups. Almost all vocal major students present a lot of voice problems in singing such as loss of high note(17%), loss of quiet voice(17%), effortful and tired voice(36%) etc on inquiry. And they always effort to prevent vocal dysfunction by the use of various type of method such as voice rest(28%), hydration(28%), gargling with salt(11%) etc. Conclusions : The vocal major students always take care of maintaining a good voice condition, but a lot of vocal major students revealed abnormal strobovideolaryngoscopic findings and they are absent in the conception of systemic and scientific voice management. Therefore, the young singers need a good voice training and voice therapy Program under the good ralationship of laryngologist and voice training teac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