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brid crow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4초

Hybrid-Ceramic Crown과 금속 도재관의 파절강도 비교 (COMPARISON OF FRACTURE STRENGTH BETWEEN HYBRID-CERAMIC CROWN AND METAL-CERAMIC CROWN)

  • 구철회;양홍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2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acture strengths and the fracture patterns of several hybrid-ceramic crowns and metal-ceramic crown. Ten crowns were constructed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 Removable template of silicone rubber impression material was used for standardization of each crowns. Each crown was cemented on a metal die with hybrid glass ionomer cement. All crowns cemented were stored in distilled water, $36^{\circ}C$ for 24 hours prior to loading in an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load was directed at 130 degrees the long axis of metal die. The fracture strengths were measured and the fracture patterns were observ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study 1. The mean fracture strengths of $Artglass^{(R)}$, $Sculpture^{(R)}$ and $Targis^{(R)}$ were $57.5{\pm}9.5Kgf,\;62.7{\pm}12.2Kgf$ and $60.2{\pm}10.1Kgf$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each hybrid ceramic crown group. 2. The toad required to fracture hybrid-ceramic crowns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metal-ceramic crowns($131.7{\pm}22.0Kgf$). 3. In the metal-ceramic crowns, labial porcelain detached partially from porcelain-metal junction of proximal side by load. 4. Hybrid-ceramic crowns showed a simple fracture pattern that fracture line began at the loading area and extended through proximal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margin. The crown was separated into two parts of labial side and lingual side. Above results revealed that three kinds of the hybrid-ceramic crowns used in this study must have careful application in clinical use since the strength of hybrid-ceramic crown was lower(about 1/2) than that of metal-ceramic crown.

  • PDF

전치부 과개교합을 가진 상하악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의 상악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와 하악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치료의 11년 경과관찰 증례 (Prosthetic treatment for patient with anterior overbite and partial edentulism using maxillary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 and mandibular fixed prostheses: A 11-yr follow-up)

  • 최현석;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5-421
    • /
    • 2021
  • 소수 잔존치가 남아있거나 치주적으로 불리한 경우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의 생역학적 예후가 불분명하다. 이러한 경우,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PD)는 성공적인 치료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치료방법의 경우 지대치 간의 이차고정 효과가 있으며 응력의 방향이 수직적이고, 지대치 발치 시에 의치의 수리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장점을 보인다. 본 증례에서는 전치부의 과개교합을 가진 상하악의 부분 무치악 환자에 있어 상악에는 이중관 의치, 하악에는 임플란트 및 고정성 보철치료가 시행되었다. 장기간 동안 경과관찰 및 유지관리 치료를 시행한 결과, 기능 및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고립된 소수 잔존치 환자에서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의 임상증례 (A clinical case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using friction pin with an isolated few remaining teeth)

  • 손상혁;조진현;조성암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2권1호
    • /
    • pp.80-86
    • /
    • 2016
  • 잔존 지대치의 수가 적은 경우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를 사용한 여러 보고에서 우수한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치주 상태가 양호하지 않고 고립된 소수 잔존치를 지대치로 이용하여 국소의치로 수복해야 하는 경우에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은 적절한 적응증이 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심한 치주염으로 다수 치아 발치 후 상악은 전치부 고정성 보철 수복과 Kennedy class I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고 하악은 양측성 고립 지대치만 남아있어 클래스프 국소의치로 수복하기에 예후가 불분명하여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하였다.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의 특성과 효용성을 고찰해 보고자 본 증례를 보고한다.

병원균 접종에 의한 Muscadine 및 플로리다 교잡종 포도의 줄기혹병 저항성 검정 (Screening Resistance to Crown Gall Disease by Pathogen Inoculation in Muscadine and Florida Hybrid Grapes)

  • 노정호;박교선;;윤해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97-507
    • /
    • 2015
  • 내병성 포도 신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병해 저항성인 유전자원을 선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머스카딘포도와 플로리다 교잡종포도를 대상으로 병원균을 상처접종하여 포도나무 줄기혹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3종류의 Agrobacterium vitis 균주를 접종한 포도나무는 품종 간에는 혹의 형성에 차이를 나타내었지만, 병원균의 균주 간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머스카딘포도는 많은 품종이 감수성이었으며, 'Gold Isle'과 'Africa Queen'은 고도의 감수성이었고 'Welder'와 'Jumbo'는 저항성이었다. 플로리다 교잡종포도는 머스카딘포도에 비해 덜 민감하였으며 'Daytona'와 'Stover' 등은 감수성이고, 'Blanc du Bois'는 중도감수성이었다. 본 연구는 머스카딘포도를 대상으로 줄기혹병에 대한 품종저항성을 판별함으로써 아속간 교잡을 통한 줄기혹병 저항성 포도 신품종육성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치주적으로 불리한 소수 잔존치에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한 임상증례 (Clinical Report by using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Removable Partial Denture on a few remaining teeth with severe periodontal disease)

  • 서장원;이청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24-30
    • /
    • 2019
  • 소수 잔존치의 부분 무치악 환자들에 있어 이중관을 이용한 치료의 성공적인 결과에 대해 여러 논문에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이중관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는 잔존치의 치주 상태가 좋지 않고 클라스프 유지 가철성 국소의치가 실패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crown/root ratio > 1) 대체적인 치료가 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하악 양측 구치부 상실과 전반적인 치아 동요로 인하여 저작의 어려움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심한 치주질환으로 다수의 치아 발치 후 하악은 전치부 고정성 수복과 자연치의 구강형성을 통해 Kennedy class I 가철성 국소의치로 치료 계획을 하였고 상악은 클라스프 유지 가철성 국소의치로 수복하기에 예후가 불분명하여 프릭션 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로 치료를 계획하였다. 이와 같이 보철 치료 완료 후 환자는 잘 적응 하였으며 발음, 저작, 유지, 심미적으로 만족하는 결과를 얻었기에 이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Double crown retained RPD의 4년 임상 관찰 (DOUBLE CROWN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 4 YEARS IN RETROSPECT)

  • 이석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73-82
    • /
    • 2004
  • Statment of problem : Little in known about the importance of selection of various double crowns as retainer in determining the outcome of treatment with double crown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 Purpose :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and the results of this treatment modality. Material and methods : This study describes 61 double crown retained removable partial dentures worn by 51 patients from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a time ranging between 6 and 48 months and evaluate occlusal contacts on the denture teeth, denture movement, incidence of denture relining, denture retention, fracture of dentures and abutments, hygiene, residual ridge inflammatory changes, number of lost abutment,. interruption of denture use. Results : One tenth of all the restorations were relined. Restorations in 21 arches fractured repeatedly for various reasons . There was no apparent interrelationship between fractures and the five groups. Conclusion : Good prognoses of removable partial dentures were shown in all groups(Kennedy Classes I, II, III, combination and few remaining abutment).

THE COMPARISON OF INITIAL RETENTIVE FORCE IN DIFFERENT DOUBLE CROWN SYSTEMS

  • Kwon, Ho-Beom;Roh, Yoon-Ho;Lee, Seok-Hyung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77-682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Various double crown systems have been used with removable partial dentures in the clinical field. Although retentive force between inner and outer crown are affected by several factors, differences between the retentive forces of different double crown system types are expecte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itial retentive force of outer crowns fabricated by the conventional casting technique in conus and hybrid double crowns. Material and methods. Ten double crowns were fabricated. The groups were as follows. Group 1, double crowns of hybrid inner and outer crowns using the conventional casting method; Group 2, double crowns of conus inner and outer crowns using the conventional casting method. Tensile strengths of double crowns when the inner and outer crowns were separated on a universal testing machine were measured. These values of retentive force were then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Results. Retentive force in group 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group 1(p<.05). Conclusion. The initial retentive forces of double crowns were affected by the types of the double crown system.

다래(Actinidia arguta) 및 교잡종 다래(A. arguta × A. deliciosa)의 수관층위에 따른 광합성, 엽 그리고 과실의 특성 변화 (Changes of Photosynthesis, Leaf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Actinidia arguta and Hybrid Kiwi (A. arguta × A. deliciosa) According to Crown Layer)

  • 박영기;한진규;황석인;김세현;강문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8-13
    • /
    • 2011
  • 본 연구는 다래 및 교잡종 다래의 수관층위에 따른 광환경 차이에 따른 광합성능력, 엽 그리고 과실의 특성 변화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수관층위별에 따른 광합성속도를 측정한 결과, 수관층위가 높아질수록 광합성 속도가 증가하여 광도 $1,000{\mu}mol{\cdot}m^{-2}s^{-1}$에서 하층($5.82{\mu}mol\;CO_2\;m^{-2}s^{-1}$), 중층($7.11{\mu}mol\;CO_2\;m^{-2}s^{-1}$), 상층($9.54{\mu}mol\;CO_2\;m^{-2}s^{-1}$)의 순으로 높은 광합성속도를 나타냈다. 엽의 경우, 수관층위가 높아질수록 엽폭과 엽장 그리고 엽면적이 감소하였다. 즉, 하층, 중층, 상층 수관층위가 증가할수록 엽면적은 162.8, 90.9, $68.3cm^2$ 로 각각 감소하였다. 과실의 경우에는 수관층위가 높아질수록 과실 중량 및 과실 폭과 과실 길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상층의 높은 광합성능력이 과실의 생육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수관상층부로의 결과지 유도를 통해 대립성 다래 과실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Capillary Electrochromatography with Liquid Crystal Crown Ether Modified Hybrid Silica Monolith for Analysis of Imidacloprid and Carbendazim in Tomatoes

  • Wang, Mingming;Feng, Rui;Shen, Jing;Chen, Hao;Zeng, Zhaoru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7호
    • /
    • pp.2224-2228
    • /
    • 2012
  • This study describes the ability of capillary electrochromatography (CEC) for the determination of imidacloprid and carbendazim in tomato samples. A novel liquid crystal crown ether modified hybrid silica monolithic column was synthesized, characterized and developed as separation column for the first time. Baseline separation of imidacloprid and carbendazim could be achieved using a mobile phase containing 90% (v/v) 20 mmol/L phosphate buffer (pH 7.0) and 10% (v/v) acetonitrile. The matrix matched calibration curves were linear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r^2$ > 0.9998 in the range of 0.20-10.00 mg/L. The limits of detection for imidacloprid and carbendazim were 0.061 and 0.15 mg/kg, respectively, which were below the maximum residue limits established by the European Union as well as Codex Alimentarius. Average recoveries for imidacloprid and carbendazim varied from 101.6-108.0%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lower than 6.3%. This method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tomatoes collected from local markets.

장기간 사용한 이중관 의치의 실패원인 및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 수복증례 (Causes of failures of long-term used double crown denture and new rehabilitation with dental implant and tooth combined denture using remaining teeth and implants)

  • 서정교;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84-390
    • /
    • 2018
  • 치주적으로 지지가 불리한 소수의 잔존치가 남은 환자에게 있어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의치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예후를 보이는 치료가 된다. 편측 악궁에 소수 잔존치가 남고 반대측 악궁에 다수의 자연치가 존재 하는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자연치와 혼재된 형태의 이중관 의치를 제작 할 시 의치의 지지 및 안정요소의 향상과 더불어 저작력의 균형을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본 증례는 55세 여자 환자로 만성 치주염으로 인해 치주 지지가 감소한 소수 잔존치 상태에서 자연치만으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 치료를 통해 9.5년간 의치를 사용하였다. 9.5년 후 지대치 파절로 내원 하여 임플란트의 식립을 통해 자연치와 임플란트가 혼재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로 재수 복 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 치료에서도 장기적 예후의 안정성을 기대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