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wangnamdaechong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2초

황남대총 출토직물 연구 -현(現) 경주문화재 연구소 소장직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brics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Tomb - Focused on the Fabrics Currently Housed i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장현주;권영숙
    • 복식
    • /
    • 제62권7호
    • /
    • pp.41-53
    • /
    • 2012
  • Hwangnamdaechong Tomb (The 98th tomb in Hwangnam-dong), one of the royal tombs located around the area of royal tomb of King Michu in Hwangnam-dong, Gyeongju, is currently designated as Historic Site No. 40. It is assumed that Hwangnamdaechong Tomb is a royal tomb of the early 5th centu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bric relics excavated from Hwangdamdawchong Tomb and currently housed in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types of fabrics excavated from Hwangdamdawchong Tomb include plain silk, warp-faced compound woven silk, and hemp cloth. Most of these fabrics are adhered to metal products that became rusty. Plain silk found in Hwangnamdaechong Tomb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by its weaving method. Geum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Tomb is typical Gyeong Geum that uses colored warp for its base and pattern. It is plain Gyeong Geum that the binding weft and warp is plain woven. Although there are a lot of Gyeong Geum fabrics whose colors are hard to define due to yellowing after long years, there are still many fabrics whose color such as purple, red, blue, and green can be identified. As literatures have shown that p cloth as well as silk were frequently woven during Silla dynasty, tremendous amount of hemp cloth was excavated. Most of the hemp cloth has S-twist in the warp and 8-12 seung degree of delicacy.

경주 황남대총 남분 출토 신라 앵무배 (A Study on the Nautilus Cup from the Silla Period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Tomb in Gyeongju)

  • 김종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2권
    • /
    • pp.1-14
    • /
    • 2019
  • 본 연구는 황남대총 남분 출토 패각류 중 용도가 불명확한 금동제패각장식구(金銅製貝殼裝飾具)에 대한 연구조사이다. 금동제패각장식구로 조사 보고된 이 유물은 조사결과, 이전 발굴유물부터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던 앵무조개로 만든 잔으로 확인되었다. 암모나이트와 가장 유사한 종으로 알려진 앵무조개는 껍질 표면에 등갈색 방사대와 껍질 안쪽의 격벽, 격벽 중앙에 체관을 가지고 있다. 앵무조개잔[이하 앵무배(鸚鵡杯)로 표기]은 중국에서 제작되어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존하는 유물로는 중국 서진 및 동진시기의 무덤에서 발견된 금속으로 장식된 앵무배 3점 뿐이다. 일본에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으며, 한국에서는 이번 조사를 통해 황남대 총 남분 출토품에서 앵무배를 확인하였다. 본 논고는 연구 조사된 앵무조개의 생물학적 특성 및 국외 발굴 출토사례 및 기초자료를 위한 분석조사를 실시하였다.

황남대총 남분 출토 용문투조은판피안교의 보존과 제작기법 연구 (A Study on Conservation and Manufacturing Technique of Saddle Ornament(Angyo) Excavated from South Tomb Hwangnamdaechong)

  • 권희홍;전효수;윤은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2권
    • /
    • pp.59-69
    • /
    • 2011
  • 황남대총 출토 용문투조은판피안교의 보존처리 과정과 제작기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보존처리는 물리적, 화학적 방법을 병행하여 이물질제거를 실시하였으며, 강화처리와 함께 결실 및 취약한 부분은 접합·복원하였다. 안교금구와 좌목선금구 분석결과 은(Ag)이 99 wt%이상이며, 원두정, 내연금구, 복륜은 구리 위에 수은아말감 금도금기법으로 제작하였다. 은판으로 투조된 안교금구와 좌목선금구의 결합방법은 두금구를 포갠 후 내연금구를 올려 놓고 금동원두정을 일정 간격으로 박아 결합시켰다. 그리고 곡선 형태로 생장한 나무를 의도적으로 목심으로 사용하였으며, 마(麻), 모(毛) 종류의 평직직물이 부착되어 제작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황남대총(남분)의 서역계 유리제품 특성화 연구 (Characterization of Western Asia Glassware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Great Tomb)

  • 강형태;정영동;허우영;신용비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4년도 제20회 발표논문집
    • /
    • pp.131-134
    • /
    • 2004
  • A lot of foreign objects(ceramics, pottery, bronze, glassware and coins, etc.) have been found in the archaeological sites in Korea. These foreign objects are the evidences of the cultural exchanges of that time, whose scale and routes are an important part of the studies in ancient history. So it is crucial to accumulate basic reference information such as the raw materials and the production method of these objects through scientific researches, along with archeological researches. These scientific research materials provide a basis for finding the importing route and the origin of these objects. Besides, we can find out extraordinary and distinctive production technique by comparison with tile domestic objects. This article reports the result of an analysis, performing on 36 samples of the glassware fragments excavated from the South Tomb of the Hwangnamdaechong, to verify their components and note peculiar features. We have analyzed the major and minor components of 10 elements, and then by using these data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components, varying with the origin and color of glassware. We used the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s the statistical method to classify the sample in order to find out how the samples formed groups.

  • PDF

A Comparison in Characteristics of Chemical Composition of Glass Vessels Excavated from Neungsalli Temple in Buyeo, Korea, from Baekje Period

  • Koh, Min Jeong;Kang, Hyung Tae;Kim, Na Young;Kim, Gyu Ho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2호
    • /
    • pp.4173-4179
    • /
    • 2012
  • From Neungsalli Temple located in Buyeo, ancient glass vessel fragments were discovered along with hundreds of glass beads. In this research, we used SEM-EDS to analyze glass vessel fragments and beads excavated from Neungsalli Temple. Then, we analyzed their chemical composition and examined their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a relationship between glass vessels from Neungsalli temple and Hwangnamdaechong (South tomb). The result of our experiment showed that the glass artifacts from Neungsalli temple were all soda glass. To be specific, the vessel fragments were soda-lime glass and spherical beads were high-alumina soda glass. Then, we compared glass vessel fragments from Neungsalli temple to glass vessels excavated from Hwangnamdaechong. Glass vessels from both sites turned out to be soda lime glass. We classified them further based on raw material used for soda - natron and marine plant ash.

경주 황남대총 출토 칠제품의 재질 및 기법조사 (A Study on Materials and Techniques of Lacquer Ware from Hwangnamdaechong in Gyeongju)

  • 岡田文男;이은석;임지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3호
    • /
    • pp.176-191
    • /
    • 2009
  • 필자들은 경주지역 최대 고분인 황남대총 남, 북분에서 출토된 칠기의 재질과 기법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방법은 깨어진 칠기편을 이용하여 태골을 분류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도막단면(약2㎜)의 박편을 제작, 현미경하에서 하지의 혼입재 종류와 도막구조를 분류함으로써 칠기의 유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남분에서 출토된 칠이배, 칠완, 칠장방형합자 등 협저제칠기의 하지에는 골분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칠기는 동시대 동아시아에 있어서 중국의 진~한대 이후 발달된 고급칠기의 계보에 위치된다. 2. 남, 북분에서 출토된 칠배, 완, 장방형합자 등은 식기류, 화장도구의 일부로서 세트로 부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3. 남분과 북분 출토 칠기에는 품질면에서 차이가 있다. 남분에는 중국칠기의 계보를 잇는 협저제칠기, 포태칠기 등 고급품이 다수 부장되어 있다. 북분에는 남분에서 출토된 칠기보다 제작방법이 간단한 목심제칠기가 많다. 4. 북분에서 출토된 흑칠지에 동물이나 새 문양이 그려진 용기류는 대부분 목심제칠기로 제작 공정이 비교적 간단하다.

신라 금관의 성분 조성 분석 (A Scientific Analysis of Gold Crowns in Silla)

  • 신용비;유혜선;윤은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6권
    • /
    • pp.46-55
    • /
    • 2015
  • 신라시대 고분인 교동, 황남대총 북분, 금관총, 천마총, 금령총, 서봉총에서 출토된 금관 6점의 합금비를 분석하여 고분별로 성분비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신라 금관 6점은 모두 금과 은으로 합금되어 있고 입식 금판의 순도는 교동 89.2wt%, 황남대총 북분 86.2wt%, 금관총 85.4wt%, 천마총 83.5wt%, 금령총 82.8wt%, 서봉총 80.3wt% 순으로 함량이 낮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금관의 순도와 금관 형식에 따른 편년을 비교해 보면 금관 중에서 가장 고식(古式)인 교동 금관의 순도가 가장 높고, 5세기 중후반에 축조된 황남대총과 금관총의 순도는 교동 금관보다 낮으며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의 천마총, 금령총, 서봉총 금관의 순도가 가장 낮았다. 즉 빠른 시기의 고분일수록 금관의 순도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고자료의 자연과학 응용(III) 황남대총(남분)의 일부 서역계 유리제품에 대한 과학적 특성 분류 (Application of Science for Interpreting Archaeological Materials(III) Characterization of Some Western Asia Glass Vessels from South Mound of Hwangnamdaechong)

  • 강형태;조남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1권1호
    • /
    • pp.5-19
    • /
    • 2008
  • 경주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서역계 유리제품의 미세 단편(무색, 녹청색 및 감청색) 36점 각각에 대한 두께, 비중 및 기포 크기를 측정하고, 10종의 주요성분 및 13종의 미량성분 함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색깔별로 유리편을 특성화하였다. 주요 성분중에서 MgO와 $K_2O$의 함량은 로마계유리 및 사산계유리를 구별하는 지표가 되는 산화물로서 본 분석을 통하여 황남대총 남분의 유리제품이 어떤 계통인지 분류하였다. 유리편은 모두 소다유리($Na_2O-CaO-SiO_2$)이며 용융제, 안정제 및 발색제의 특성에 따라 뚜렷이 분류되었다. 구성 성분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원소의 조합은 (MgO, $K_2O$), (MnO, CuO) 이었다. 또한 13종(Rb, Sr, Ba, Zr, Cr, Ni, Cs, Pb, Co, Cu, Fe, Mn, Ti)의 미량성분 함량은 색깔별로 무색, 녹청색 및 감청색 유리를 확연히 분류할 수 있어 향후 서역계 유리의 제작 원료 및 제작지를 정교하게 연구하는 데 중요한 원소들임을 알 수 있다. 무색(반투명)유리 : 비중은 $1.50{\pm}0.04$이며 내부에 원형 및 타원형의 기포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길게 나열되어 있고 큰 것은 길이가 0.35mm 정도이다. 무색유리는 소다유리이면서 CaO 및 $Al_2O_3$ 농도 각각 5%를 기준으로 보면 HCLA(High CaO, Low $Al_2O_3$)이며 MgO 및 $K_2O$ 농도가 1.5 %이상인 HMK(High MgO, High $K_2O$)이다. 소다의 원료로서 식물 재를 사용하였으며 HMK이므로 사산계유리로 판단된다. 무색유리에서 착색제로 작용하는 성분의 총합은 1 %이하로서 그 값이 적어 유리의 색상에 관여도가 매우 적다고 할 수 있다. 녹청색(반투명)유리 : 비중 $1.58{\pm}0.06$이며 내부에 0.1~0.2mm 정도의 작은 기포가 분포하고 있다. 소다유리로서 HCLA이며 HMK로 분류된다. 따라서 이 녹청색 유리도 소다의 원료로서 식물 재를 사용한 것으로 생각되며 사산계유리로 판단된다. 녹청색을 내는 착색제로 작용하는 성분의 총합은 약 4%이며 MnO, $Fe_2O_3$ 및 CuO의 작용에 의한 것이다. 감청색유리 : 비중 $1.48{\pm}0.19$이며 내부에 기포가 거의 없다. 이 유리는 HCLA이며 LMK(Low MgO, Low $K_2O$)로 분류된다. 이 감청색 유리는 소다의 원료로서 광물(natron)을 사용한 것으로 로마계유리의 특성을 잘 나타낸 제품이다. 녹청색을 내는 착색제로 작용하는 성분의 총합은 약 3%로서 $Fe_2O_3$, CuO 및 Co가 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출토된 서역계 유리제품이 실크로드를 경유해 동아시아로 유입되고 어떻게 한국 남부에 까지 오게 되었는지, 그 제작지는 어디인지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황남대총의 유리제품을 물리 및 화학적으로 특성화한 결과이며 향후 국내 또는 국외에 있는 서역계 유리제품의 제작지 및 유통경위를 추적할 수 있는 과학적 지표가 될 것이다.

월정사 팔각구층석탑내 발견 유물의 자연과학적 분석 연구 (A scientific analytical study on the sarira reliquary recovered from the octagonal ninestoried pagoda of Woljeongsa Temple)

  • 홍종욱;한민수;이오희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5호
    • /
    • pp.5-29
    • /
    • 2004
  • This research carried out ancient technique and composition of the relics recovered from the octagonal nine-storied pagoda of Woljeongsa temple using the scientific methods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silver sarira inner case is consists of Ag, its materials comes out near 98wt%and comparing with the relics of Hwangnamdaechong, the contents of Ag and Ni are almost same with it. Secondly, The bronze sarira outer case, its contents of Cu is almost same with pure copper of which average is 99.7wt%. So, it should be named the copper sarira outer caserather than the bronze sarira outer case that has been called. Thirdly, The bronze mirror, though the contents of tin and lead are less than other contents which have been studied, they tend to have white color so they need to be made a close study. Especially, Because cultural property of nondestructive surface analytic method is not analyzed by the analysis of cross section and the moisten analysis, it may be occurred analytical errors by other factors.

  • PDF

유리제 문화재 복원용 광경화성 수지의 물성 연구 및 적용 (The Physical Properties of UV-curable Resin for the Restoration of Glass Cultural Properties and Its Application in Conservation Treatment)

  • 이해순;나아영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1권
    • /
    • pp.1-16
    • /
    • 2019
  • 본 논문은 유리제 문화재 복원에 안정한 물성을 지닌 복원재료를 선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아크릴계 광경화성수지(FLGPCL04 Clear®)를 기준으로 우레탄계 광경화성수지(SECURE CP-7321®)를 10%씩 가감한 혼합 시편 11종을 제작하고 6종의 물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굴절률, 비중, 접착력, 황변도의 측정값에 대해서는 11종 혼합재료 모두에 대하여 유사하였으나 표면경도 및 압축강도 측정값에서는 우레탄계 광경화성 수지의 혼합 비율이 10~20% 범위일 때 가장 적합하였다. 즉, 유리제 유물을 복원한 이후의 상태 유지에 가장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크릴계와 우레탄계 광경화성 수지를 9:1로 혼합한 재료(AU9010)를 경주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유리잔 (황북519)의 보존 처리에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