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nter's value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3초

감마선 조사된 고춧가루 첨가 무생채의 저장 중 품질 변화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Musaengchae(Radish Salad) with Gamma-irradiated Red Pepper Powder added Prior to Storage)

  • 김선임;박재남;조원준;송범석;김재훈;변명우;손희숙;이주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0-16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고춧가루에 오염된 미생물을 제거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무생채를 제조한 후 저장 중 미생물학적 안전성과 품질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무생채용 원재료의 총세균수는 고춧가루, 무, 쪽파, 마늘의 경우 각각 6.71, 3.39, 2.21, 2.10 log CFU/g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군의 경우 고춧가루에서만 2.15 log CFU/g 수준으로 나타났다. 방사선 조사된 고춧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무생채의 경우 저장 중 대장균군은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pH와 색도의 경우 대조구와 실험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관능적 품질 역시 모든 평가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10 kGy 이하로 조사된 고춧가루를 이용한 무생채는 관능적 품질변화 없이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알팔파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with Added Alfalfa (Medicago sativa L.) Extracts)

  • 김상은;이상원;염동민;이문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23-128
    • /
    • 2012
  • 본 연구는 두부에 알팔파가 갖는 우수한 생리기능을 활용하여 기능성이 우수한 두부를 개발하고자 알팔파 추출물을 0.25, 0.5, 0.75 및 1.0% 수준으로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조된 두부의 수분 함량은 알팔파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무첨가 두부에 비해 높았으며, 조단백 함량은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조회분의 함량은 시료 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부의 수율은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지만 무첨가 두부보다는 높았다. 알팔파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탁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부의 색도는 알팔파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L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값은 모두 음(-)을 나타내어 녹색의 경향을 띄었다. 알팔파 추출물 첨가 두부의 견고성은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응집성, 탄력성, 검성 및 깨짐성은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팔파 추출물 첨가 두부의 이소플라본 함량은 첨가량에 비례하여 daidzein, genistein은 각각 322.6~348.6, $342.0\sim385.3{\mu}g/g$으로 증가하였다. 두부의 관능검사 결과 점수는 알팔파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0.5% 첨가 두부가 대조군에 비해 다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알팔파 추출물의 첨가는 전체적인 조직감 및 이소플라본 함량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두부의 품질 특성은 유지하면서 관능적 특성 및 기능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알팔파 추출물을 0.5% 이내로 첨가하였을 때 두부의 조직감 및 기호도를 높일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농도로 판단된다.

홍화 개화후 강우 시기가 종실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ainfall Time after Flowering on Grain Yield and Quality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 박준홍;박소득;김세종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40-343
    • /
    • 2006
  • 개화후 강우 시기가 홍화의 생육과 종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화후 강우 시기에 따른 지상부 및 꽃 봉오리 병해 발생 정도는 각각 3.3, 1로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등숙 비율은 주경은 개화후 $1{\sim}5$일 강우시 37.4%, 1차 분지는 개화후 $6{\sim}10$일 강우시 63.0%로서 가장 낮았다. 10a당 수량은 무강우의 327kg/10a에 비해 개화후 $6{\sim}10$일과 개화후 $11{\sim}15$일 강우시 $282{\sim}281kg/10a$으로서 각각 14% 감소되었다. 종실의 색도(명도=L)는 개화후 $21{\sim}25$일 강우시 73.5, $26{\sim}30$일 강우시 69.9로서 무강우 79.3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때 수확기 강우에 의한 종실의 품질 손실 방지를 위해서는 개화후 25일까지는 수확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zelaic Acid 함유 밀크 나노분말과 여드름 나노화장품을 위한 나노캡슐의 최적화 공정 (Optimization of Nanoencapsulation Process for Azelaic Acid-Milk Nano Powder and Acne Nanocosmetics)

  • 김동명;최지은;김덕훈;이준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3-53
    • /
    • 2011
  • 여드름 나노화장품(nanocosmetics) 개발을 위하여 azelaic acid-milk nano powder의 nanoencapsulation을 fluid-bed processor로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유입공기온도($60{\sim}80^{\circ}C$) 분무속도(0.5 ~ 0.9 mL/min) 및 분무압력(1.2 ~ 2.0 kg/$cm^2$)을 달리하여 나노캡슐(nanoencapsule)을 제조하고, 나노캡슐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나노캡슐의 예측된 수율의 최대값은 70.97 %로 수율은 유입공기온도, 분무속도 및 분무압력 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었다. 시료의 입자크기는 유입공기온도가 높고 분무속도가 빠르며, 분무압력이 낮을수록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리식염수에서 나노캡슐의 용출율은 모두 유입공기온도 및 분무속도에 의해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었다. 수분함량은 분무 속도가 증가하고 분무압력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고, 수분활성도는 수분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색도인 L값과 b값은 유입공기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수율이 높고 입자크기가 작으며, 피부적합성 나노캡슐 제조의 최적조건은 유입공기온도 $67{\sim}73^{\circ}C$, 분무속도 0.6 ~ 0.8 mL/min 및 분무압력 1.8 ~ 2.0 kg/$cm^2$ 범위로 예측되었다. 이상의 예측범위 내의 임의의 점에서실제 실험한 실험치는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해 예측된 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여 도출된 회귀식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매화의 향기성분 분석과 매화차 추출조건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of Prunus mume Flower and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of Prunus mume Flower Tea)

  • 김용두;정명화;구이란;조인경;곽상호;나란;김경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80-185
    • /
    • 2006
  • 매화의 품종과 건조방법에 따른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매화차 제조에 맞는 재료와 처리방법을 찾고, 매화의 첨가량 및 침출 온도, 녹차 첨가 비율 등을 관능검사를 통하여 살펴본 결과, 매화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결과 총 17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생화의 경우 총 15종이 검출되었다. 동결건조 시료에서는 건조과정중 1가지 성분이 소실되었고 1가지 성분이 다르게 검출되었으며, 음건의 경우4가지 성분이 소실되었고 1가지 성분이 다르게 검출되었다. 3가지 품종 모두 benzaldehyd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성분 구성비율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매화차의 추출온도에 따라 색도측정 결과 a값은 감소한 반면, b값은 증가하였고, 추출시간이 길어질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였다. 매화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매화차 관능평가 결과 향, 색에서는 매화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나 0.3g이상에서는 많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맛에 있어서는 0.3 g에서의 기호도가 3.8로 높았다. 매화의 온도, 시간별 추출물의 관능평가 결과와 녹차의 흔합비율에 따른 결과 향, 색에서는 추출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기호도가 높았지만 $80^{\circ}C$가 적당한 침출온도였다. 매화와 녹차의 혼합비율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는 매화의 비율은 매화와 녹차 비는 1:9로 나타났다.

코로나방전 처리 인삼분말의 살균효과 및 품질변화 (Effect of Corona Discharge on the Changes in Quality and Pasteurization of Ginseng Powder)

  • 김경탁;김성수;하상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237-1243
    • /
    • 2003
  • 인삼 분말의 저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살균법으로서 고전압 상태에서 발생하는 코로나방전 처리법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미생물살균효과, 이화학적 특성변화, 관능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코로나방전 처리한 인삼분말의 미생물 사멸효과를 살펴본 결과, 일반세균, 효모/곰팡이, 대장균군 모두 피크전압이 5 kv/cm 일 경우 미생물 사멸이 매우 미미하다가 피크 전압이 점차 증가할수록 비례적으로 사멸효과가 높아지는 결과를 볼 수 있었고, 피크전압 20 kv/cm의 코로나 방전 처리구에서 총 세균과 coliform은 약 95%, 효모/곰팡이는 약 99% 정도의 미생물 사멸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코로나방전 처리한 인삼분말의 일반성분, 무기질, 유리당, 조사포닌, 색깔(Hunter's value) 모두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검사 역시 색깔특성, 향, 맛, 종합적 기호도 모든 측면에서 P<0.05 수준에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코로나방전 처리는 인삼분말에서의 미생물 살균효과가 강하고, 영양소 파괴가 없으며, 관능적으로 무처리 인삼분말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져 기존의 방사선조사 처리 등 살균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살균법으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보리의 효소처리가 보리차의 품질 및 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zyme Treatments on Quality and Yields of Barley Tea)

  • 김우정;고환경;윤석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83-589
    • /
    • 1989
  • 보리차의 수율을 높이고 보리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며 품질을 향상시켜 한국인의 기호에 맞는 보리차를 개발하기 위하여 나맥인 영산보리를 조쇄하고 20분 침지하여 $250^{\circ}C$에서 6분 볶아 세 가지의 복합효소(1,000, 2,000 및 5,000)을 일정한 시간 반응시켜 물리화학적 성질 및 관능경사를 실시하였다. 고형물의 수율은 ${\alpha}-amylase$의 활성이 높은 복합효소 5,000이 가장 좋았고 복합효소 1,000, 2,000의 순이었다. 수율이 높은 효소일수록 반응시간이 짧아도 대조구에 비하여 수율이 높았으며 수율이 낮은 효소는 반응시간을 10분에서 40분까지 계속 증가시킬 때 수율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점도는 복합호소 5,000<1,000<2,000 순이었으며 D.E.는 이와 반대이었고 탁도는 점도와 같은 순이었으나 점도, 탁도 및 D.E.는 호소반응시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은 있었으나 큰 차이를 고이지는 않았다. 24시간 $4^{\circ}C$ 저장시 복합효소 5,000은 거의 침전물이 생성되지 않았다. 보리차의 색은 수율이 높을수록 L값은 낮고 a, b값은 높아져 전체적으로 색이 엷어졌다. 관능검사 결과 효소반응시간이 $30{\sim}40$분 일 때 전반적인 관능적 성질이 향상되었고 복합효소 5,000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산머루주 박 급여가 버크셔종의 등심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Wild Grape Wine By-product on Quality Characteristic of Loin from Berkshire Breed)

  • 김태완;김철욱;김일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247-254
    • /
    • 2008
  • 경남 함양지방의 양돈장에서 사육중인 아메리칸 버크셔종을 대상으로 산머루주 부산물을 배합사료와 혼합한 시험사료 5%를 20두에 대해 생시체중 70 kg에서 88일간 급여한 후 등심부위를 채취하여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성분 분석결과 수분과 조지방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p>0.05),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처리구가 낮았다(p<0.05). pH와 WHC는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고(p>0.05),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전단가는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p<0.05). 육색은 차이가 없었으나(p>0.05), 지방색에서의 명도와 백색도는 처리구가 높았다(p<0.05). Oleic acid(C18:1), linoleic acid(C18:2, n-6), arachidonic acid(C20:4, n-6), 필수아미노산 및 EFA/UFA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총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와 처리구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필수아미노산은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에서 산머루주 박 급여 시 등지방색, 전단가, 콜레스테롤 및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적포도(Muscat Bailey A)주 발효 중 효소 처리에 의한 Phenol류 추출 및 색도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s in the Extraction of Phenolics and Color Characteristics by the Enzyme Treatment of Red Grape(Muscat Bailey A) Wine during Fermentation)

  • 이정윤;채수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4-331
    • /
    • 2010
  • 국내산 MBA(Muscat Bailey A) 포도의 효소 처리에 의한 발효 과정 중 총 페놀 추출량을 비롯하여 Hunter's L, a, b값, hue 및 color intensity 등의 색도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MBA 포도의 발효 10일째에 총 페놀 함량은 $1,352.8{\pm}37.8\;mg/{\ell}$이었으며, Pectinex와 Viscozyme의 효소 처리로 각각 14.5%(p<0.05) 및 3.8% 증가하여 Pectinex 처리가 Viscozyme 처리보다 페놀류 추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BA 포도의 발효 10일째 L, a, b값은 각각 7.4, 9.2, -1.2였으며, Pectinex 효소 처리의 경우는 7.0, 10.6, -0.8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나(p<0.05), Viscozyme 효소 처리의 경우는 7.2, 9.8, -1.1로 효소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MBA 포도의 발효 10일째 hue 값과 color intensity는 각각 0.492와 0.785를 나타내었으며, Pectinex 효소 처리의 경우는 0.460과 0.881로 hue값은 다소 감소하였고 color intensity는 약간 증가하였으나(p<0.05), Viscozyme 효소 처리의 경우는 0.482와 0.805로 효소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감마선 조사가 살구의 미생물학적.이화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Gamma Irradiated on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Changes of Apricot)

  • 이성아;이정옥;김경희;권종숙;김홍기;변명우;이주운;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767-774
    • /
    • 2008
  • 살구의 저장 유통 과정에서 품질 특성 및 살구 식품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자료제공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살구에 $0.5{\sim}2$ kGy로 감마선 조사를 실시하여 $20^{\circ}C$에서 2주간 저장 하면서 살구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살구의 호기성 세균과 효모, 곰팡이 변화는 조사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미생물 증가를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색도변화와 경도변화에서는 조사구에서 값이 감소하였다. 총당, 환원당 함량은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수소공여능은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고 유기산 및 비타민 C 함량은 저장기간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저장초기에는 조사구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기호도가 비조사구보다 감소하였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살구의 색도, 물리적 특성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지만 항산화 성분 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미생물학적 안정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