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us level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Humus 첨가와 미량원소 수준이 상추의 무기성분 흡수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umus and Micronutrient Element Content on Nutrient Absorb and Growth of Lettuce in Hydroponics)

  • 이성재;서명훈;이상우;심상연;이수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3-191
    • /
    • 1999
  • 순환식 담액수경 상추재배에서 양액의 pH 변화는 미량원소 수준에 관계없이 생육 중기에 낮아지다가 생육후반에 회복되었는데 양액 내에 Humus첨가에 의해 양액의 pH 변화가 완만해졌다. 생육은 Humus첨가에 의해 양호한 경향을 나타냈고 미량원소수준이 높아질수록 저조하여 Cu · Zn농도 5ppm이상에서 황화현상 등의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Humus 첨가에 의해 중금속에 의한 생체중 감소가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과잉피해증상이 완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 흡수에서는 Zn은 흡수억제 효과가 없었으나 Cu원소의 흡수는 억제되어 중금속의 피해 우려시 Humus의 효과가 어느 정도 인정된다.

  • PDF

Analysis and Evaluation of Lake Sediment

  • 황종연;한의정;김태근;유순주;윤영삼;정용순
    • 환경영향평가
    • /
    • 제7권2호
    • /
    • pp.5-14
    • /
    • 1998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interrel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sediment and nutrient releare from sediment in Dae-cheong lake. For the investigations, sediments were sampled in June and October 1997 at fish farms, embayment, and the main stream of Dae-cheong lake. Items for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water content, weight loss on ignition(IG), porosity of sediment, Total Kjeldahl Nitrogen(TKN), content of element(H, N, C), nutrient release rate. Water content and porosity were measured to conjecture the physical trait and grain size. And weight loss on ignition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organic substance. For the determination of nutrient release rate, $PO_4-P$ and $NH_4-N$ concentration of interstitial water and overlying water were measured. Release rate of nutrients which has direct influenced upon the water quality were 0.05-8.63mg-$P/m^2{\cdot}day$ and 4.99-36.56mg-$N/m^2{\cdot}day$. And it was found that release rate was measured higher in the 1st sampling than in the 2nd sampling. And for determination of the humus level of sediment, carbon and nitrogen content were measured by using elemental analyzer. Generally, C/N ratio is used to determine humus level of lake sediment. As a result of elemental analysis, C/N ratio was determined in the range of 7.64~11.55, so humus level of Dae-cheong lake sediment was estimated from mesohumic state to oligohumic state.

  • PDF

상수리림 부식층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 분해세균의 분리 및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populations and isolation of aromatic compounds utilizing bacteria from humus layer of oak forest)

  • 한송이
    • 미생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75-18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상수리림 부식층으로부터 방향족 화합물(리그닌 polymers) 분해세균을 분리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밝히고, pyrosequencing 계통분석을 통해 부식층 내 주요 세균군집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향족 화합물(p-anisic acid, benzoic acid, ferulic acid 및 p-coumaric acid)을 이용하는 세균 42균주를 분리하여 16S rRNA 계통해석한 결과, Rhizobium, Sphingomonas, Burkhorlderia, Pseudomonas 계통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방향족화합물 분해세균 중 Burkhorlderia 계통군은 전체 분리균주의 8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부식층시료로부터 7,862개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얻었으며, 유의성 97% 수준에서 1,821 OTUs와 다양성 지수 6.76가 확인되었다. 상수리림 부식층 내 세균군집은 총 22개 문(phylum)으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세균군집으로 확인된 ${\beta}$-proteobacteria 계통군은 Burkholderia, Polaromonas, Ralstoria, Zoogloea, Variovorax를 포함하는 15개 속으로 세분류 되었다. 이들 세균 중 약 50%가 Burkholderia 속으로 확인되었다. 상수리림 부식층 내 우점군집으로 밝혀진 Burkholderia 계통군은 산림 생태계에서 리그닌 분해 대사 과정에 중요한 미생물생태학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의 일산화탄소 제거에 관한 연구 (Laboratory Measurements on the Uptake of Carbon Monoxide by Soils)

  • 김명자
    • 대한화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1-37
    • /
    • 1983
  • 실험실 조건에서 몇 개의 다른 종류의 토양에 의한 일산화탄소 소모를 측정했다. 시료로는 유기질이 많은 부식토 및 도로변의 토양과 실험에서 이미 사용한 높은 농도의 일산화탄소와 접했던 부식토 및 도로변의 토양을 택했다. 높은 CO농도 조건에서 CO의 소모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18.2l 반응용기에서 CO의 농도를 2,000ppm에서 24,000ppm으로 변화시켰다. 토양의 CO 제거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시행한 조절실험의 결과를 보면 CO를 주로 제거하는 것은 화분용 토양임을 지적하고 있다. 부식토의 CO소모속도는 도로변의 흙에 비하여 월등히 크고, 실험에서 재사용된 부식토는 새로운 부식토에 비하여 약 15% 높은 소모속도를 나타냈다. 대기로부터 CO를 제거하는 토양의 능력은 $9,000{\sim}24,000ppm$의 CO농도 범위에서는 13,000ppm 근처일때 최대치에 도달했다. 스트렙토마이신의 첨가는 토양의 CO제거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지만, 10%의 소금물은 부식토의 CO제거능력을 현저하게 억제시켰다.

  • PDF

Distribution of Nutrients in Dae-Cheong Reservoir Sediment

  • Hwang Jong Yeon;Han Eui Jung;Kim Tae Kehn;Kim Shin Jo;Yu Soon Ju;Yoon Young Sam;Jung Yong Soon;Park Pan Wook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2권2호
    • /
    • pp.169-179
    • /
    • 1998
  • This paper was performed to estimate interrelations between humus level of sediments and nutrient release from sediments in Dae-cheong reservoir. For investigations, sediments were sampled in June and October, in 1997 at fish farms, embayment, and the main stream of Dae-cheong reservoir. Items for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water content, weight loss on ignition(IG), porosities of sediments, contents of element such as hydrogen, nitrogen, carbon, and nutrient release rates. Water contents and porosities were measured to conjecture the physical trait and grain size trait. Weight loss on ignition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organic substance. For determination of the humus level of sediments, carbon and nitrogen contents were measured by elemental analyzer. As a result of elemental analysis, C/N ratio was determined in the range of $3.0\~13.1$. From the elemental analysis, humus level of Dae-cheong reservoir sediment was estimated from mesohumic state to oligotrophic state. For the determination of nutrient release rate, $PO_4-P$ and $NH_4-N$ concentrations of interstitial water and overlying water were measured. By using the concentration difference between interstitial water and overlying water and using the Fick's diffusion law, the release rates of phosphorus and nitrogen from the sediment samples were calculated. Release rates of nutrients which directly influence to the water quality were $0.05\~8.63mgP/m^2day$ and $4.99\~36.56mgP/m^2day$. It was found that release rate was measured higher in the 1st sampling period than in the 2nd sampling peri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osphorus content in sediment, TPs were measured in 807\~1542{\mu}g/g$ in the 1st samling period and $677\~5238{\mu}g/g$ in the End samling period. Phosphorus release rate and phosphorus content were not interrelated each other.

  • PDF

Comparison of Reservoir Sediment in Kum River Basin

  • Hwang, Jong Yeon;Han, Eui Jung;Kim, Tae Seung;Kim, Tae Keun;Yu, Soon Ju;Kim, Shin Jo;Yoon, Young Sam;Chung, Yong Soon
    • 환경영향평가
    • /
    • 제8권1호
    • /
    • pp.107-120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general feature of reservoir sediment in Daecheong, Sapkyo and Kumkang reservoir. For investigations, sediments were sampled at four sites in Dae-Cheong and two sites in SapKyo and Kumkang in June and October. The items for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water content, loss on ignition(IG), porosity of sediment, contents of element such as hydrogen, nitrogen, carbon, phosphorus contents and nutrient release rates. Loss on ignition was measur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organic substance. And its ranges were determined 2.4~16.2% in Daecheong reservoir, 5.6~27.9% in Sapkyo and 4.8~18.7% in Kumkang reservoir. And, total phosphorus contents in sediments were measured $677{\sim}5,238{\mu}g/g$ in Daecheong, $780{\sim}1,417{\mu}g/g$ in Sapkyo and $604{\sim}1,452{\mu}g/g$ in Kumkang reservoir. And release rates of nutrients were calculated $0.05{\sim}8.63mgP/m^2day$ and $4.99{\sim}36.56mgN/m^2day$ in Daecheong, $1.83{\times}10^{-3}{\sim}3.23{\times}10^{-2}mgP/m^2day$ and $1.97{\sim}.22mgN/m^2day$ in Sapkyo, $8.31{\times}10^{-3}{\sim}6.51{\times}10^{-2}mgP/m^2day$ and $0.89{\sim}4.42mgN/m^2day$ in Kumkang reservoir, respectively. And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humus level of sediments. As a result of elemental analysis, C/N ratio was determined 3.0~13.1 in Daecheong reservoir, 6.5~13.0 in Sapkyo and 3.6~12.6 in Kumkang reservoir, respectively. From the elemental analysis, humus levels of reservoirs were changed from mesohumic to oligohumic state in all reservoirs.

  • PDF

영동지역 활엽수림에서의 강우 후 지표연료의 습도변화 분석 (Comparison of Surface Fuel and Soil Layer Moisture after Rainfall in Broad-Leaved Forest at Young Dong Region)

  • 권춘근;이시영;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49-60
    • /
    • 2012
  • 강우 후 경과일수에 따른 연료습도 변화는 산불위험도 예측과 산불감시원 활용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산불발생위험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2008, 2009년 봄 가을철 영동지역 활엽수림에서 임분 밀도별로 5.0 mm 이상 강우 후 낙엽층, 부식층, 토양층, 직경별 지표연료 0.6 cm 이하, 0.6~3.0 cm, 3.0~6.0 cm, 6.0 cm 이상에 대한 산불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봄철 낙엽층의 소임분 지역은 강우 3일 후부터, 중 밀임분 지역은 5일 후부터 산불발생 위험수준인 17 % 정도의 연료 습도를 나타냈다. 반면, 부식층은 계절에 상관없이 6일이 경과 되어도 40 % 이상의 연료 습도를 나타냈으나, 토양 상 하층은 미비한 변화가 있었다. 봄철 직경별 지표연료 0.6 cm 이하의 소임분 지역은 강우 3일 후부터, 중 밀임분 지역은 4일후부터 산불발생 위험수준 연료습도를 나타냈고, 가을철 직경별 지표연료 0.6~3.0 cm의 소임분 지역은 강우 3일 후부터, 중 밀임분 지역은 5일 후부터 산불발생 위험수준의 연료습도를 나타냈다. 봄 가을철 직경별 지표연료 3.0~6.0 cm의 경우 6일차가 되어도 소, 중, 밀임분 공히 높은 연료습도를 유지하고 있어 산불위험성은 매우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6.0 cm 이상의 경우 계절에 상관없이 6일이 경과되어도 25 % 이상의 연료 습도를 나타냈다.

토양 화학성 및 생물학성 변화에 대한 녹비작물 시용 효과 (Effects of Green Manure Crops on Improve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in Soil)

  • 최봉수;정정아;오미경;전상호;고현관;옥용식;성좌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50-658
    • /
    • 2010
  • 시설재배지의 경우 휴작기간 동안 녹비작물의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녹비작물이 시설재배지에서의 양분공급 및 토양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두과 (헤어리베치, 크림손클로버) 및 화본과 (호밀, 수수, 수단그라스) 녹비작물을 재배 후 토양과 혼합하였으며, 무기질소 공급능과 생물적 지표로써 토양 탄수화물, 미생물활성 및 부식함량의 경시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관행구의 무기태 질소함량은 전 기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녹비작물을 처리한 토양에서는 토양처리 후 4주까지 무기태질소 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수단그라스에서 무기태질소 함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녹비작물 처리 후 토양 중 수용성 당은 두과 녹비작물 처리 후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7주 경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반면 화본과 녹비작물 처리 후 수용성 당이 빠르게 증가하여 처리 후 4주 경에 최대치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토양 내의 부식산 (humicacid)은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관행구와 녹비처리 초기에는 비슷한 수준으로 낮았으나 녹비처리 후 4주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서 녹비작물의 부숙에 의해 형성된 부식산이 점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양이온과 결합하여 물에 잘 용해되는 염을 만드는 fulvic 산에서도 작물 간 차이는 있었지만 부식산의 함량 변화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농경지 토양탄소량 결정모형 추정 및 요인별 영향력 계측 (Estimation in a Model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Carbon in Soil and Measurement of the Influences of the Specific Factors)

  • 서정민;조재환;손병구;강점순;홍창오;김운원;박정호;임우택;진경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827-1833
    • /
    • 2014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present the valuation system of soil carbon sequestration potentials of soil in accordance with the new climate change scenarios(RCP). For that, by analyzing variation of soil carbon of the each type of agricultural land use, it aims to develop technology to increase the amount of carbon emissions and sequestration. Among the factors which affects the estimation of determining the soil carbon model and influence power after the measurement on soil organic carbon, under the center of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xplanatory variables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Chemical fertilizers (NPK)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soil organic carbon and as with the first experimental results, when cultivating rice than pepper, the fact that soil organic carbon content increased has been found out. The higher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the higher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in the soil and this result is reliable under a 10% significance level. On the other hand, soil organic carbon, humus carbon and hot water extractable carbon has been found out that was not affected the soils depth, sames as the result of the first year. The higher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he higher carbon content of humus and hot water extractable carbon content. According to IPCC 2006 Guidelines and the new climate change scenario RCP 4.5 and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total amount of soil organic carbon to the crops due to abnormal climate weather, 1% increase in atmospheric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small when compared to the growing rate of increasing 0.01058% of organic carbon in the soil.

대나무 산림토양으로부터 수집한 Streptomyces 속 방선균의 계통학적 다양성 (Biodiversity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Streptomyces Collected from Bamboo Forest Soil)

  • 이효진;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62-269
    • /
    • 2010
  • 국내 자생하는 왕대, 분죽, 조릿대, 호마죽과 같은 다양한 대나무 산림토양의 낙엽층, 부식층, 근권토양 내 방선균 밀도 측정 결과, $2.7{\times}10^6-2.7{\times}10^8$ CFU/g로 계수되었으며, 특히 조릿대 낙엽층 내에는 $2.7{\times}10^8$ CFU/g의 매우 높은 밀도로 분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림 낙엽층으로부터 100균주, 부식층으로부터 70균주 그리고 근권토양으로부터 160균주로 총 330균주의 방선균을 수집하였다. 이들 분리된 균주들의 기균사, 기중균사 및 색소형성 등을 관찰한 결과 36개 방선균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각 그룹으로부터 대표 방선균 50균주를 선발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석하고 계통학적 위치를 검토한 결과, 94%가 Streptomyces 속에 속하였으며, cluster I (2균주), II (35균주), III (6균주), 그리고 IV (7균주)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대나무 산림토양으로부터 수집된 Streptomyces 속 방선균 50균주를 Shannon-Wiener법에 의해 다양성 지수를 산출한 결과, 대나무림 낙엽층으로부터 수집된 방선균의 다양도는 3.33으로 부식층과 근권토양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근권토양으로부터 수집된 방선균의 88%가 cluster II에 속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방선균을 Botrytis cinerea, Xanthomonas campestris 그리고 Xanthomonas axonopodis pv. vesicatoria에 대해 항균활성능을 검토한 결과, 각 74균주, 16균주, 25균주 그리고 24균주가 항균활성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