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uman tooth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31초

수종(數種) 표면처리제(表面處理劑)에 의(依)한 상아질(象牙質) 표면(表面)의 형태(形態)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MORPHOLOGICAL CHANGES OF DENTIN SURFACE TREATED WITH VARIOUS DENTIN SURFACE CONDITIONERS)

  • 조진호;최호영;민병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3권2호
    • /
    • pp.323-334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effect of dentin surface conditioners on the dentin surfaces. Freshly extracted human mola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y were stored at $4^{\circ}C$ saline solution before experiment. The crown portions of the teeth were cut in various directions by means of wet diamond point to expose dentin which include transverse, vertical oblique, horizontal and oblique cut to the long axis (Fig. 1). Each tooth was then mounted with self curing acrylic resin in brass ring to expose the flattened dentin surfaces. Final finish was accomplished by grinding the dentin specimens with wet No. 180 and No. 600 grit silicon carbide abrasive paper until a 6.0mm in diameter on a dentin surface was exposed without pulp exposure. The specimens were divided into 9 groups according to the modes of dentin treatment procedure. The following surface treatments were applied on these preparation surfaces; Group 1: unetched (control group) after finish with No. 600 silicon carbide abrasive paper. Group 2: etched with 30% phosphoric acid for 60s Group 3: etched with 10-3 solution for 60s Group 4: Cleaned with 5% NaOCl for 30s Group 5: applied Dentin Adhesit Group 6: cleaned with 5% NaOCl followed by applying the Dentin Adhesit$^{(R)}$ Group 7: applied Photo Bond on the unetched dentin followed by applying the Photo Clearfil Bright Group 8: Etched with 30% phosphoric acid followed by applying Photo Bond and Photo Clearfil Bright Group 9: etched with 10-3 solution followed by applying Photo Bond and Photo Clearfil Bright All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37^{\circ}C$ under 50% relative humidity for 24 hours before observations. The specimens in 7, 8, and 9 group, omitting the group 1 to 6, were demineralized in 10% HCl for 10s in order to observe the resin tags. All the specimens in each group were then dried at room temperature. The dried specimens were ion coated with Eiko ion coater (Eiko-engineering Co.), and observed in Hitachi S-430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Hitachi, Co. Tokyo) at 15KV.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The smear layers were still remained in group 1,2,4,5, and 6. 2. There is no effect of 5% NaOCl and 30% phosphoric acid on the changes of dentin morphology 3. The dentin treated with 10-3 solution, indicating the tubules opened when the smear layer and the dental plug dissolved. 4. In case of applying the bonding agents the resin tag was not formed at the deep area of dentinal tubules, but in case of applying the Dentin Adhesit$^{(R)}$ that was not.

  • PDF

에스트로겐 호르몬 결핍 백서에서의 상아-치수 복합체의 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Estrogen Deficiency on Rat Pulpodentinal Complex)

  • 김미리;양원경;백진;김종진;김원경;이영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5호
    • /
    • pp.402-408
    • /
    • 2005
  • 난소 절제술을 시행한 백서에서 에스트로겐 호르몬의 결핍으로 인한 상아-치수 복합체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30 마리의 암놈 Sprague-Dawley rats을 두 군으로 나누어 1 군은 Sham-surgery를 시행하였고, 2 군은 양측 난소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백서는 12주 뒤에 모두 희생시켜, 하악 치아와 인접한 치주조직을 포함하여 절제하였고, $10\%$ 중성 포르말린 용액에 고정하였다. 두 군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고, osteonectin을 이용한 면역 화학 염색법을 시행하였다. 조직 형태학적 차이점을 측정하기 위하여 영상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분석 방법으로는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p < 0.05). Osteonectin을 이용한 면역 화학 염색 결과, 두 군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점이 존재하였다. 난소 절제술을 시행한 백서군에서는 전상아질층의 두께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Sham-surgery 군에서는 전상아질 층과 치수 조직에서 osteonectin이 좀 더 특이적으로 염색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결론지어보면, 백서에서 인위적으로 난소 절제술을 시행하였을 때 광화되지 않은 전상아질층의 두께가 증가하고, 치수 조직과 전상아질층내의 osteonectin 함량이 감소되며, 결국 에스트로겐 결핍은 조상아 세포의 기전을 변화시킨다고 할 수 있다.

Unground enamel에 대한 all-in-one adhesive의 1회 또는 2회 적용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ne or two applications of all-in-one adhesive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unground enamel)

  • 손창용;김현철;허복;박정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6호
    • /
    • pp.445-451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미세인장결합강도 실험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unground enamel에 대한 all-in-one adhesive의 1회 또는 2회 적용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였다. 발거된 하악 대구치의 설측 치관부를 사용하여 3개씩 5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SE군은 Clearfil$^{tm}$ SE Bond를 적용하였다. LP1 군, LP2 군은 Adper Prompt L-Pop$^{tm}$을 각각 1회 , 2회 적용하였다. XN1 군, XN2 군은 Xeno$^{R}$III를 각각 1회, 2회 적용하였다. 그런 다음 복합 레진 Z100을 적층 충전하였다. 법랑질 표면의 접착제를 아세톤으로 제거하고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산 부식 양상을 관찰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 측정을 위해 표본을 절단하여 레진과 치아의 접착 계면이 1 mm$^2$이 되도록 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One-way ANOVA를 사용해 분석한 다음 Duncan's post-hoc test로 사후 검정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all-in-one adhesive의 1회와 2회 적용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two-step self-etching adhesive와 all-in-one adhesive의 산 부식 양상 모두 얕고 불규칙 하였다.

개방 근첨 치아의 근관 충전방법에 따른 치근단 폐쇄효과에 관한 연구 (THE SEALING ABILITY OF OBTURATION TECHNIQUES IN OPEN APEX)

  • 소현;최호영;최경규;최기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3호
    • /
    • pp.435-445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akage of four different obturation techniques in conjunction with immediate apical barrier of ${\beta}$-tricalcium phosphate(TCP) in teeth with open apex. Eighty single-rooted human premolar teeth were prepared and sectioned horizontally, so maximum diameter in apex was 4mm. Apical defects that were similar to open apex, were created with #1/2 round bur and SF104R bur. The apical foramen were opened to a size 80 file extended 3mm beyond the apex. The teeth were placed into the oasis block soaked saline to simulate periapical tissue often associated with pulpless teeth and received apical barriers consisting of TCP followed by obturation using lateral condensation technique, vertical condensation technique, continuous wave technique and thermoplasticized gutta-percha injection technique. Two unobturated teeth served as positive and negative controls. Teeth were immersed in resorcinol-formaldehyde resin for S days at $4^{\circ}C$, and the resin was allowed to polymerize completely for 4 days at room temperature. Teeth were then sectioned horizontally at 1.5mm(level 1), 2.5mm(level 2) and 3.5mm(level 3) from the apex, and examined under a stereomicroscope at ${\times}40$ magnification. The photographs were taken at ${\times}40$ magnification of the filling in each level and scanned. The leakage length in tooth/resin interface was measured at each of the three levels. Each ratio of leakage wa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ratio of the leakage length of canal wall infiltrated with resin to the total length of the canal and was analyzed statistically(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At the level 1, there was the least leakage in the thermoplasticized gutta-percha injection technique group(group 4), bu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2. At the level 2, there was the least leakage in the thermoplasticized gutta-percha injection technique group(group 4), and the most leakage in the continuous wave technique group(group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hermoplasticized gutta-percha injection technique group and the continuous wave technique group(p<0.05). 3. At the level 3, there was the least leakage in the thermoplasticized gutta-percha injection technique group(group 4),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ther groups(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moplasticized gutta-percha injection technique which had 1mm apical gutta-percha matrix after the formation of TCP apical barrier, can demonstrate favorable apical sealing.

  • PDF

성견에서 치아회분말과 연석고를 이용한 치주조직재생술 (Periodontal Regeneration Using the Mixture of Human Tooth-ash and Plaster of Paris in Dogs)

  • 구하라;장현선;김수관;박주철;김병옥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15-26
    • /
    • 2006
  • 흡수성 차페막을 이용한 조직 유도 재생술시 차폐막의 견고성으로 미루어 보아 재생을 위한 공간의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조직 유도 재생술과 함께 골이식술을 시행함으로써 공간 확보와 함께 적절한 혈병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고 이식된 골은 선생골 형성을 위한 핵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최근에 사람의 치아회분말과 연석고를 혼합한 골이식재가 여러 연구를 통해 좋은 골이식재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성견 하악 소구치 2급 치근이개부위에 외과적으로 형성하여 흡수성 차폐막과 치아회분말-연석고 혼합 이식재를 이용한 조직유도재생 술을 시행하여 치주 조직 재생의 양상을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고자 한다. 생후 12개월에서 16개윌 된 체중 15 Kg 내외의 성견 4마리를 이용하였다. 실험 재료로 생체흡수성 차폐막 (Biogide(R), Swiss) 를 사용하였고, 골이식재로 치아회분말-연석고를 혼합매식 하였다. 양측 상악 소구치 부위에 변연 치조골하방에 4 mm ${\times}$ 4 mm ${\times}$ 4 mm, (깊이 ${\times}$ 근원심 ${\times}$ 협설폭경) 깊이로 골내낭을 형성하였다. 형성된 골내낭의 기저부위 치근 표면에 1/4 round bur로 notch를 형성하여 참고점으로 하였다. 무작위로 선택된 한 쪽의 결손부를 대조군으로 오직 생체 흡수성 차폐막을 사용하였고, 실험군으로 치아회분말-연석고와 생체 흡수성 차폐막을 결손부로부터 2 mm 이상 덮을 수 있도록 다듬어 결손부 위에 위치시킨 후 협측 판막을 덮고 봉합하였다. 4주 후 2마리 ,8주 후 2마리를 희생시키고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 탈회, 포매의 과정을 거쳐 광학 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그 결과, 1. 4주 대조군에서 Bio-gide(R)는 완전한 흡수를 보였고, 치근이개부내에는 큰 공간이 존재하였다. 2. 4주 실험군에서 역시 Bio-gide(R)는 완전한 흡수를 보였고, 골 결손부내에 더 많은 신생골 관찰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진 기존골과 신생골간에 명확한 차이가 있어서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골이식재 주변으로 파골세포가 다수 관찰되며 이로 미루어 보아 활발한 골흡수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3. 8주 대조군에서 결손부내에서는 기존골에 인접하여 신생골 형성이 부분적으로 일어났으나 연조직 침입이 관찰되었다. 4. 8주 실험군은 신생골이 기존골과 매우 유사한 형태로 관찰되었고, 신생골 형성 부위에 신생 혈관 증식이 관찰되었다. 또한 골내낭 기저부위에서는 백악질과, 치주인대가 재생됨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치아회분말-연석고 혼합매식은 골재생을 위한 골전도성이 있는 재료로 사료되며, 이를 이용히여 치주조직재생술시 흡수성 차폐막과 병행하여 사용한다면 더 많은 골재생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DGF와 IGF-I 병용 사용시 치주인대세포의 증식과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combination effects of PDGF and IGF-I on the proliferation and cellular activity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서조영;신홍인;경희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396-413
    • /
    • 1996
  • Current acceptable methods for promoting periodontal regeneration are based on removal of diseased soft tissue. root treatment,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troduction of new graft materials and biological mediators. Insulin-like growth factor-I(IGF-I) and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BB(PDGF-BB), the members of the polypeptuyde growth factor family have been reported as the biological mediators which regulate a variety cellular matrix biologic activities of wound healing process including the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extracellular matrix synthesis.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mbination effects of IGF-I and PDGF-BB on the cellular activity of the periodontal ligament cells to act as a regeneration promoting agent of periodontal tissue.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were prepared from the first premolar tooth extracted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and were cultured in DMEM containing 10% FBS at the $37^{\circ}C$, 5% CO2 incubator. Author measured the DNA synthetic activity, and total protein, collagen and noncollagenous protein synthetic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10,100ng/ml IGF-I and1,10 ng/ml PDGF-BB in combin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1 ng/ml PDGF-BB alone compared to the 10 ng/ml PDGF-BB alone(P<0.01) and in the 1 ng/ml PDGF-BB and 10, 100ng/ml IGF-I in combination compared to the 1 ng/ml PDGF-BB alone(P<0.05, P<0.0l). The synthetic activity of the total protein and collagen is significantly increased like to the synthetic activity of the DNA(P<0.05). The synthetic activity of the noncollagenous protein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IGF_I, but not statistic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The percent of the collagen is significantly in the 1ng/ml PDGF-BB and 10ng/ml IGF-I in combination compared to the 1ng/ml PDGF-BB alone(P<0.05) and in the 10ng/ml IGF-I in combination compared to the 10ng/ml PDGF-BB alone(P<0.05). The synthetic activity of the DNA is In conclusions, the percent study shows that PDGF-BB and IGF-I in combination have a potentiality to enhance the DNA synthesis and the total protein and collagen synthesis of The periodontal ligament cells, especially it is more significant in the low concentration of PDGF-BB compared to the high one. Thus, the PDGF-BB and IGF-I in combination may have important roles in promotion of periodontal litgment healing, and consequently, may useful for clinical application in periodontal regenerative procedures.

  • PDF

접착제 미 사용시 치면열구전색제로서의 유동성 복합레진 평가 (EVALUATION OF THREE FLOWABLE COMPOSITES AS PIT AND FISSURE SEALANTS WITHOUT USING BONDING AGENTS)

  • 권호범;김명진;신철환;김지연;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44-25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유동성 복합레진을 치면열구전색제로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이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Filtek Flow, Tetric Flow, Charmfil Flow)과 한 종류의 filled sealant(Ultraseal XT plus)가 사용되었다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 및 filled sealant의 resin tag형성 양상을 비교하였다. 미세누출 평가를 위해 발거된 사람의 소구치 54개를 각각 18개씩 무작위로 세 군으로 배분하였다. 각 군마다 통상의 filled sealant와 한 가지씩의 유동성 복합레진을 교합면 열구에 도포하였다. 치아들을 thermocycling($5^{\circ}{\pm}2^{\circ}C$$55^{\circ}{\pm}2^{\circ}C$ 사이에서 30초씩 1200회 시행) 후 48시간 동안 1% methylene blue 용액에 보관하였다. 각각의 치아를 절단하여 미세누출 정도를 관찰하였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 및 filled sealant는 유사한 resin tag 형성양상을 보였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은 각각 filled sealant보다 현저히 더 많은 미세누출을 보였다. 세 종류의 유동성 복합레진 간의 미세누출 정도는 유사하였다. 유동성 복합레진은 통상의 filled sealant와 비교해볼 때 보다 많은 미세누출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치면열구전색제로 적절하지 않다.

  • PDF

불소를 함유한 치아미백제가 치아 표면의 색과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uoridated Bleaching Agents and Post-treatment Fluoride Application on the Color and Microhardness of Enamel Surface)

  • 심연수;정상희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5-30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자가 미백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 CP를 이용하여, 불소가 함유되지 않은 미백제, 불소가 함유된 미백제, 그리고 10% CP로 미백한 후에 불소를 적용하여 하루에 8시간씩 14일 동안 처리함으로써, 치아표면의 색과 미세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색조 변화측정 결과, 대조군을 제외하고 미백 처리한 모든 군에서 치아 미백 후 시간 경과에 따라 $L^*$ 값과 ${\Delta}E^*$ 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비슷한 수준의 미백효과와 함께 치아의 색조에서 노란색이 감소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미백 처리 전후의 법랑질의 표면경도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에서는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미백 처리한 모든 군에서 유의한 미세경도 감소를 보였다(p<0.05). 특히 10% CP군은 가장 낮은 미세경도 수치를 보였고, 미백제에 불소가 함유된 군과 미백 후 불소를 적용한 군은 미세경도 감소폭이 줄어들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2주간 진행되는 10% CP는 치아미백에 효과적이며, 미백제에 불소를 함유시켜도 미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표면미세경도는 불소가 함유되지 않은 미백제에 비해 덜 감소했다. 임상에서 미백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적정 농도의 불소를 이용해 적용될 수 있도록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백 후 유예 기간에 따른 상아질과 레진의 결합 강도의 변화 (Effect of post-bleaching time intervals on resin in dentin bonding strength)

  • 송신재;김선종;노영선;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4-181
    • /
    • 2009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35%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는 전문가 미백 술식에서 레진 접착제의 접착력 회복을 위한 유예 기간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3M사의 Single Bond와 Z350을 이용하여 미백 직 후, 1일후, 2일후, 일주일 후의 시간 차이를 두고 상아질에 접착된 복합 레진의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미백 처리 직 후의 상아질 전단 결합 강도는 다른 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P<.05), 미백 처리 전에 비해 약 78%의 결합력 감소를 보였다. 미백 처리 1일 후의 상아질 결합 강도는 미백 직 후 감소된 결합력의 51%에 이르는 회복을 보였으며, 2일 경과한 시편에서는 감소된 결합력의 63%가 회복되었다. 두 군은 미백 직 후에 비해 유의하게 큰 회복력을 보였으나, 두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미백 처리 후 결합력의 회복은 초기 24시간 이내에 급격히 일어나며 그 이후에는 서서히 일어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미백 일주일 후의 시편은 미백 처리 전에 비해97%에 이르는 결합력을 보이며 두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결론: 그러므로35% 과산화수소를 적용하는 전문가 미백 술식에서는 1주일간의 유예기간을 두고 복합 레진 접착술을 시행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2형 당뇨병환자의 만성 치주염 치은조직에서 골흡수 인자의 발현 양상 비교 (The Gingival Tissue Levels of Bone Resorptive Mediators in Human Chronic Periodontiti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 김미정;류상호;박진우;서조영;이재목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743-753
    • /
    • 2007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and quantify the expression of MMP-3, $PGE_2$ and IL-6 in the gingival tissues of patients with $type_2$ diabetes mellitus and healthy adul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Material and methods: Gingival tissue samples were obtained during periodontal surgery or tooth extrac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systemic condition & clinical criteria of gingiva, each gingival sample was de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n=8) is clinically healthy gingiva without bleeding and no evidence of bone resorption or periodontal pockets, obtained from systemically healthy 8 patients. Group 2(n=8) is inflamed gingiva from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Group 3(n=8) is inflamed gingiva from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with type 2 DM. Tissue samples were prepared and analyzed by Westernblotting. The quantification of MMP-3, $PGE_2$ and IL-6 were performed using a densitometer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one-way ANOVA followed by Tukey test. Results: 1. The expression levels of MMP-3 were shown highest in group 3 compared to group 1 and 2, and It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2 and 3. 2. The expressions of $PGE_2$ and IL-6 were shown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2 and 3, and It was highest in group 3. 3. As expressions of MMP-3 were increased, $PGE_2$ and IL-6 expressions showed increasing tendency in group 3 than group1 and 2, although there were no proportional relationship.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expression levels of MMP-3, $PGE_2$ and IL-6 will be inflammatory markers of periodonta linflamed tissue and DM. It can be assumed that MMP-3 affect to expressions of $PGE_2$ and IL-6 in progression of periodontal inflammation with alveolar bone resorption to type 2 D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