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eggs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29초

도시 산림습지 내 양서류 서식처 조성방안 연구 (Planning for Amphibians Habitats in Urban Forest Wetlands, Korea)

  • 허명진;한봉호;곽정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19
    • /
    • 2017
  •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problems with amphibian habitation by the wetland types and improve their habitation environment in urban forest wetlands, thus creating a habitat for amphibians. Study site include forest swamps in Jatjul Park as well as Yeoji neighborhood Park in Guro-gu, and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in Dobong-gu. The forest swamp in Jatjul Park gets its water from Mt. Maebong and it is a former escalated farmland-turned wetland. The swamp area is $2,500m^2$, a forest zone and a landscape planting site are 83.27% and 6.70% each. Target species Seoul pond frogs are inseparable from rice fields because they live in a short radius of and lay eggs in or near paddy fields, and Rana nigromaculata have similarities with Rana plancyi chosenica in choosing their habitats. There was need for paths that would lead to other paths so amphibians would spread to other parts of the forest and for measures to secure open water. Modifying a variety of routes for water, human and animals along with building a buffer to keep the core habitation zones were required. The forest swamp in Yeonji neighborhood Park used to be a water reservoir on the foot of Mt. Gunji. The swamp area is $1,980m^2$, a forest zone and farmland account for 80.61% and 4.88% each. Non-point pollutants from upstream along run into the subject forest marsh, bare ground on the around swamp and steep stone embankments obstructed amphibians. Target species was Bufo gargarizans that live in forests and edges of hills and spawn in deep water. The forest swamp in Choansan neighborhood Park gets its water from Mt. Choan and it is close to its water source that it is a mountain stream forest wetland. The basin and the swamp are $35,240m^2$ and $250m^2$ in size respectively. A forest zone accounts for 90.20%, high stone embankments laid in refurbishing the valley obstruct amphibians and there is water shortage in times of droughts. Target species were Rana coreana, Rana dybowskii and Hynobius leechii that live in mountain valleys, streams and wetlands and lay eggs in forest marshes and rocks in valleys. Looking into the three swamps of amphibian habitation, I came to conclusions that those wetlands were suitable for their amphibians but man-made facilities blocked their corridors leading to other corridors and even killed off target species in some parts of those swamps by destroying those parts. Amphibians live in water, on ground and underground at different stages of life. Hence, we should take this fact into consideration when planning their habitats and design core habitation zones, buffers zone and use zones accordingly. Buffer zones ought to be between core habitation zones and surrounding trees. Aiming at protecting core habitation zones, buffers should be in harmony with habitation zones. Use zones should be minimized in size and not in direct contact with core habitation zones.

인위적 성숙 유도된 뱀장어 Anguilla japonica의 자연산란에 의한 난발생과 Pre-leptocephalus 자어의 발달 (Development of the Eggs and Pre-Leptocephalus Larvae by Natural Spawning of Artificially-Mature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중;강언종;배준영;박민우;김응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60-167
    • /
    • 2007
  • 극동산 뱀장어의 자연 수정란을 이용하여 $23{\pm}0.5^{\circ}C$의 여과 해수가 공급되는 실내수조에서 난발생과 pre-leptocephalus 자어발달을 관찰하였다. 친어 관리에 있어서 암컷은 연어 뇌하수체 추출물(20 mg/fish)과 수컷은 HCG (1 IU/g BW)를 매주 복강 주사하여 인위적인 성성숙 및 자연산란을 유도하였다. 수정란은 직경 1.0 mm 정도의 분리 부성란으로, 전형적인 반상분할(discoidal cleavage)을 통해 분할이 이루어졌다. 부화는 $23^{\circ}C$의 여과 해수에서 수정 후 38시간부터 개시되었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약 3.0 mm, 근절수는 평균 42개였다. 부화자어의 입과 항문은 부화 후 4.5일째에 열렸고, 난황은 부화 후 6.5 일째에 거의 흡수되었다. 자어는 14.5일 동안 생존하였고, 이때 전장 $5.87{\pm}0.25mm$, 근절은 98개였다. 그러나 수정란과 prelaptocephalus 자어발생의 형태학적 특징은 자연수정과 건식법에 의한 인공수정과 큰 차이점은 없었다.

High Prevalence of Opisthorchis viverrini Infection in a Riparian Population in Takeo Province, Cambodia

  • Yong, Tai-Soon;Shin, Eun-Hee;Chai, Jong-Yil;Sohn, Woon-Mok;Eom, Keeseon S.;Lee, Dong-Min;Park, Keun-Hee;Jeoung, Hoo-Gn;Hoang, Eui-Hyug;Lee, Yoon-Hee;Woo, Hyun-Ju;Lee, Ji-Hwa;Kang, Sin-Il;Cha, Jae-Ku;Lee, Keon-Hoon;Yoon, Cheong-Ha;Sinuon, Muth;Socheat, Du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173-176
    • /
    • 2012
  • Opisthorchis viverrini infection was found to be highly prevalent in 3 riverside villages (Ang Svay Chek A, B, and C) of the Prey Kabas District, Takeo Province. This area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Cambodia, where the recovery of adult O. viverrini worms was recently reported. From May 2006 until May 2010, fecal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a total of 1,799 villagers using the Kato-Katz thick smear technique. In the 3 villages, the overall positive rate for helminth eggs ranged from 51.7 to 59.0% (av. 57.4%), and the percentage positive for O. viverrini was 46.4-50.6% (47.5%). Other helminths detected included hookworms (13.2%), echinostomes (2.9%), Trichuris trichiura (1.3%), Ascaris lumbricoides (0.6%), and Taenia spp. (0.06%). The prevalence of O. viverrini eggs appeared to reflect a lower infection in younger individuals (<20 years) than in the adult population (>20 years). Men (50.4%) revealed a significantly higher (P=0.02) prevalence than women (44.3%). The Ang Svay Chek villages of the Prey Kabas District, Takeo Province, Cambodia have been confirmed to be a highly endemic area for human O. viverrini infection.

The Effects of Dietary Soybean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or Bacillus natto on Egg Production and Egg Lipid Composition in Layer

  • Hong, Hee-Ok;Abanto, Oliver D.;Kim, Ki-Hyun;Nam, Ki-Taeg;Son, Jong-Youn;Jung, Woo-Suk;Nam, In-Sik;Hwang, Seong-G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09-61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low grade soybean,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FSB 1) or Bacillus subtilis var. natto (FSB 2), on egg production and quality, fat and cholesterol content, and the fatty acid (FA) profile of eggs by lipid layer. A total of 18 Hi-Line strain layers, 22 wk of ag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dietary treatments: no fermented soybean (control), control with 15% FSB 1 (C + FSB 1), and control with 15% FSB 2 (C + FSB 2). The rate of egg production and egg weight were evaluated between two periods: one was from the 1st to 4th wk and the other was from the 5th to 8th wk. At the 8th wk, a total of 30 egg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treatment group and analyzed for physical quality, fat content,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content. The results showed that egg production was increased in hens fed with diets containing fermented soybeans from the 5th to 8th wk period (p<0.01). A similar tendency was observed through eight weeks' cumulative egg production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gg production between the C + FSB 1 and C + FSB 2 treatment groups (p>0.05). Egg weight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did not vary between treatment groups (p>0.05). Egg yolks among different treatment groups were similar in fat content, but egg yolks in the C + FSB 1 and C + FSB 2 groups had lower oleic acid (p<0.05), higher linoleic, ${\alpha}$-linolenic, and arachidonic acids (p<0.01), and lower cholesterol content (p<0.05)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low grade soybeans might be useful as a functional feedstuff to improve egg production and quality for a healthy human diet.

Gymnophaiioides seoi (Digenea: Gymnophallidae) 피낭유충의 시험관내 배양 (In vitro cultivation of Gymnophalloides seoi metacercariae (Digenea: Gymnophallidae))

  • 국진아;이순형;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5권1호
    • /
    • pp.25-30
    • /
    • 1997
  • 참굴큰입흡충(GMmophQHoidesseoi)은 새로운 인체 기생 장흡충으로서 최근 우리 나라에서 인체 감염의 유행이 보고된 바 있다. 이 연구는 참굴큰입흡충의 피낭유충을 시험관내에서 배양하여 성충으로 발육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피낭유충은 자연산 감염 굴에서 회수하였고. NCTC 109 배지에 우태아 혈청(FBS) 20%와 항생제-항진균제(Gibco) 1%를 첨가하여 사용하되 $37^{\circ}C$/5%{\;}CO_2,{\;}41^{\circ}C/8%{\;}CO_2{\;}및{\;}41^{\circ}C/5%{\;}CO_2$의 3가지 배양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2일에서 5일까지 각 조건 하에서 얻은 충체를 실험 감염 C3H 마우스에서 회수한 충체와 발육 및 성숙도를 비교하였다. 배양군의 충체 크기는 길이 $200-300{\;}\mu\textrm{m}$로서 피낭유충과 비교할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마우스로부터 회수한 충체는 $300-400{\;}\mu\textrm{m}$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마우스 체내, $41^{\circ}C/5%{\;}CO_2{\;}및{\;}41^{\circ}C/8%{\;}CO_2$ 조건 하에서는 모두 2일째에 충란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나, $37^{\circ}C/5%{\;}CO_2$ 하에서는 배앙 5일까지도 충란이 형성되지 않았다 배양군 중에서는 $41^{\circ}C/5%{\;}CO_2$ 조건이 충체 성숙 및 충란 생산에 가장 적합하였으나 마우스 체내에서 자란 충체에 비해 자궁내 충란 수가 약 1/2에 불과하였다. 결론적으로 참굴큰입흡충의 시험관내 배양은 $41^{\circ}C/5%{\;}CO_2$ 또는 $41^{\circ}C/8%{\;}CO_2$ 조건에서 부분적으로 성공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Osmotic pump를 이용한 암컷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성성숙 유도 (Induction of Sexual Maturation in Female Eels (Anguilla japonica) Using an Osmotic Pump)

  • 김정현;김대근;김효원;이배익;김신권;전제천;명정인;김대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0호
    • /
    • pp.1097-1103
    • /
    • 2017
  • 뱀장어(Anguilla japonica)의 인공종묘생산은 연어뇌하수체추출물(SPE, salmon pituitary extract)을 암컷 뱀장어에게 지속적인 투여를 하고 인위적으로 성성숙을 유도로 얻은 난과 정자를 인공수정을 하고 부화 시켜 생산한다. 하지만 SPE를 반복적으로 복강에 주사하는 방법은 암컷 뱀장어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주며, 결국 스트레스로 인하여 완전한 성성숙을 하지 못하고 폐사에 이르게 되거나 배란한 난의 질이 좋지 않아 부화율과 자어의 생존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뱀장어의 성성숙 유도에 유효하다고 알려진 호르몬이 주입된 osmotic pump를 복강에 삽입 후 암컷 뱀장어의 성성숙 유도를 하였다. 본 연구결과 SPE를 투여한 실험어의 GSI가 hCG, GnRHa, MT를 각각 또는 함께 투여한 실험구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조직학적 분석결과에서도 난소의 난모세포가 핵이동기 단계로 발달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결과를 통해 osmotic pump를 이용한 암컷 뱀장어 인위적 성성숙 유도 방법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포늪에서 번식하는 물꿩의 서식지 이용 특성 고찰 (Characteristics of Habitat Use of Pheasant-tailed Jacana Hydrophasianus chirurgus in Upo Wetland)

  • 백충렬;김태성;이정현;이자연;양병국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7-192
    • /
    • 2014
  • 이 연구는 2013년 6월부터 8월까지 우포늪에서 번식하는 물꿩 Hydrophasianus chirurgus의 서식지 이용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물꿩의 개체군 관리를 위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함이다. 연구기간 중 둥지는 총 4개가 관찰되었으며, 둥지의 위치는 수변으로부터 $56.2{\pm}16.37m$에 있었다. 물꿩의 둥지는 모두 가시연꽃(Euryale ferox) 위에 만드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둥지재료는 생이가래(Salvinia natans),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붕어마름 (Ceratophyllum demersum), 자라풀(Hydrocharis duvia) 등의 수생식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식활동에 가장 큰 방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은 인간의 간섭인 것으로 나타났고, 방해 시 알을 옮기는 행동이 관찰되었다. 관찰된 4개의 둥지 중 2개의 둥지에서 알을 옮기는 행동이 관찰되었으며, 약 1~2m 정도 옮긴 것을 확인하였다. 우포늪은 가시연꽃 군락이 넓게 분포하고 있고, 수심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매년 우포늪을 찾아오는 물꿩의 수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에는 우리나라를 찾는 물꿩의 수가 적어 관리 계획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나, 최근 들어 규칙적으로 도래하고 있고, 개체수도 증가하는 추세라 개체군 관리를 위한 방안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Echinostoma aegyptica (Trematoda: Echinostomatidae) Infection in Five Riparian People in Savannakhet Province, Lao PDR

  • Chai, Jong-Yil;Jung, Bong-Kwang;Chang, Taehee;Shin, Hyejoo;Sohn, Woon-Mok;Eom, Keeseon S.;Yong, Tai-Soon;Min, Duk-Young;Phammasack, Bounlay;Insisiengmay, Bounnaloth;Rim, Han-Jo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1호
    • /
    • pp.67-72
    • /
    • 2020
  • Human infection with Echinostoma aegyptica Khalil and Abaza, 1924 (Trematoda: Echinostomatidae) is extremely rare. In this study, we confirmed E. aegyptica infection in 5 riparian residents living along the Mekong River in Savannakhet Province, Lao PDR. The patients revealed eggs of Opisthorchis viverrini/minute intestinal flukes, echinostomes, and other parasites in fecal examinations using the Kato-Katz technique. Following treatment with praziquantel 30-40 mg/kg and pyrantel pamoate 10-15 mg/kg in a single dose and purging with magnesium salts, adult specimens of various helminth species were collected. Among the trematodes, echinostome flukes of 4.5-7.6 mm in length (n = 134; av. 22.3 specimens per case) were of taxonomic interest and subjected in this study. The flukes were morphologically characterized by having total 43-45 collar spines arranged in 2 alternating rows (corner spines usually 5 on each side) and compatible with previous descriptions of E. aegyptica. The patients were mixed-infected with other helminths, so specific clinical manifestations due to this echinostome fluke were difficult to determine. The present paper describes for the first time human E. aegyptica infections in Lao PDR. This is the second report of human infection (2nd-6th cases) with E. aegyptica in the world following the first one from China.

인간 유래 Stem Cell Factor (hSCF) 재조합단백질이 발현되는 누에형질전환체 제작 (Construction of Transgenic Silkworms Expressing Human Stem Cell Factor (hSCF))

  • 김성완;윤은영;김성렬;박승원;강석우;권오유;구태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26-173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누에형질전환체를 이용하여 재조합단백질 대량생산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본 실험에서는 hSCF유전자를 이용하여 누에에서 재조합단백질을 생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piggyBac 전이벡터는 hSCF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위해 초파리 유래의 dHsp70 promoter를 사용하였고, EGFP marker유전자는 3xP3 promoter로 발현을 조절하였다. 총 1,020 개의 누에알에 microinjection 하여 G1 세대에서 22 bloods의 형질전환체를 선발하였고, 선발된 누에형질전환체는 초기배 단계의 눈과 신경조직, 유충과 번데기 그리고 성충의 눈에서 GFP 형광을 관찰 할 수 있었다. hSCF 재조합단백질의 발현은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inverse PCR 분석을 통해서 누에 게놈에 전이벡터가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의 실험 결과에서 hSCF 재조합 단백질이 누에에서 생산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록 누에에서 생산된 hSCF 재조합단백질의 생리활성에 대한 실험이 추후에 요구되지만, 이러한 실험결과는 piggyBac 전이벡터와 microinjection 법으로 누에에서 고부가가치의 재조합단백질을 대량생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누에를 유용물질 생산을 위한 생체반응기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남한강 상류의 Metagonimus 유행에 대한 연구 (An epidemiological study of metagonimiasis along the upper reaches of the Namhan River)

  • 채종일;허선;유재란;국진아;정경천;박은찬;손운목;홍성태;이순형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1권2호
    • /
    • pp.99-108
    • /
    • 1993
  • 남한강 상류 몇 개 지역 주민 및 어류에 있어서 Metagonimus속 흡충 유형 상황을 파악하고 이 지역에서 유행하고 있는 MetGgonimus의 종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충북 음성군 주민의 경우 대변검사자 154명 중 15명 (9.7%)에서 Metagonimus 충란이 검출되었고 praziquantel 10 mg/kg로 치료하고 하제를 투여한 5명에서 6,015-24,060마리 (평균 13,233마리)의 충체가 회수되었다. 강원도 영월군 주민의 경우에는 77명 검사에서 37명 (48.1%)이 충란 양성이었고 치료받은 27명에서 1-4,965마리 (평균 1,215마리)의 총체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충체의 형태를 관찰한 바 음성군에는 Metagonimus Miyata형(미야타형흡충)과 서식증ononus tkahashii(다까 하시흡충)가 흔재하고 있었고 영월군에는 Metagonimus Mlyata형만이 확인되었다. Metagonimn Mlyata형의 자궁내 충란은 M. tokohoshii 및 M. yokogawai(전남 탐진강 유역 주민에서 회수된 것)와 비교할 때 중간 정도 크기이었고, 따라서 충란의 크기가 충체 감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검사한 피라미 (Zacco platypus) 52마리 중 49마리, 참마자(Hemiboibur longirostris) 8마리 중 6마리, 모래무지 (Pseunogobio esocinus) 15마리 중 13 마리, 얼룩동사리 (Odontobutis obscura interrupta) 6마리 중 4마리 및 붕어 (Carassius corcssiur) 18마리 중 17마리에서 Metagonimus 피낭유충이 검출되어 담수어가 감염원임이 판명되었다. 이 연구로 남한강 상류 지역에 미야타형흡충(Metosonim Miyata형)과 다까하시흡 충(M. tokohashil)이 유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