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Tooth Enamel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1초

유산완충액을 이용한 인공치아우식의 형성에 미치는 산의 농도와 pH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ACID CONCENTRATION AND pH OF LACTATE BUFFER SOLUTION ON THE PROGRESS OF ARTIFICIAL CARIES LESION IN HUMAN TOOTH ENAMEL)

  • 박성호;이찬영;이정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8권2호
    • /
    • pp.277-290
    • /
    • 1993
  • Dental caries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demineralization by organic acid produced by microorganism. But the formation of subsurface lesion in initial caries make it diffcult to explain by simple demineralization. This study i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rmodynamic concept proposed by Margolis and More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cid concentration and pH of lactate buffer system on the artificial caries lesion progress. 160 teeth without any crack, defect or opaque enamel were used and coated with nail varnish except the window ($2{\times}3$ mm). Under the constant degree of saturation(D.S.). The teeth were divided into 8 groups according to acid concentration(10mM, 25mM, 50mM, 100mM) and pH(4.3, 5.0, 6.0). Each group was immersed in buffer solution for 3, 6, 9, 18 days under controlled temperature($25^{\circ}C$). After cutting through the window and grinding, the specimens, 100-150 um in thickness, were imbibed in water or air and examined using polarilizing microscope. The depth of the surface and subsurface surface lesion were measured. 1. In the constant pH and D. S. value, the subsurface lesion progresses more rapidly as the concentration of lactic acid increases. (0.01, 0.025, 0.05, 0.1) 2. In the constant acid concentration and DS value, the subsurface lesion progresses more slowly as the pH increases. (4.3, 5.0, 5.5, 6.0) 3. The width of surface lesion seems to be constant independant of pH and acid concentration.

  • PDF

광조사 방식이 복합레진 수복물의 변연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IRRADIATION MODES ON THE MARGINAL 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박은숙;김기옥;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6권4호
    • /
    • pp.263-272
    • /
    • 2001
  • 저광도 중합법, 펄스 지연 중합법, 초고광도 중합법 등의 광조사 방식이 광중합형 복합레진 수복물에서의 중합수축 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in vitro에서 미세 누출 실험을 하였다. 80개의 발거된 소구치의 협측면에 5급 와동을 형성하고, 600mW/$cm^2$로 30초간 광조사하는 보통 광도 중합군, 300mW/$cm^2$로 60초간 광조사하는 저광도 중합군, 400mW/$cm^2$로 2초간 광조사하고 5분간 기다린 후 800mW/$cm^2$로 10초간 최종 중합시키는 펄스-지연 중합군, 그리고 1930mW/$cm^2$의 광도로 3초간 광조사하는 초고광도 중합군 등의 4개의 군으로 나누어 hybrid 형의 광중합복합레진을 충전하고 각 군의 방법대로 중합한 후, 변연의 0.5mm 외부에 nail varnish를 도포하고 37$^{\circ}C$, 2% metylene blue 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적시켰다. 시편을 아크릴릭 레진에 매몰한 후 수복물의 중앙에서 종절단하여 입체현미경하에서 그 단면을 관찰한 후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으로 나누어 색소의 침투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펄스 지연 중합군의 색소 침투도는 법랑질과 상아질 변연 모두에서 보통광도, 저광도 및 초고광도 중합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상아질 변연에서 초고광도 중합군은 보통광도 중합군과 저광도 중합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색소 침투도를 보였다(p<0.05). 3. 법랑질 변연에서의 4개 군의 색소 침투도는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모든 군에서 상아질 변연에서의 색소 침투도는 법랑질군에서의 색소 침투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 PDF

과일 및 미백치약으로 처리한 치아의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 with Fruit and Whitening Toothpaste)

  • 공민지;김세원;김솔지;안현주;채우리;홍승지;남설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27-13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에서 치아미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실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과일들을 이용한 천연 치아미백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20개의 소구치를 4개씩 5 그룹으로 딸기(A), 레몬(B), 바나나 껍질(C), 베이킹소다(D), 미백치약(E)을 법랑질 표면에 칫솔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치아의 표면에 아침, 점심, 저녁 3분씩 동일한 시간에 칫솔을 이용하여 처리 후 멸균증류수로 세척하고 생리식염수에 담가 보관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총 4주 동안 반복하였으며, 1주 간격으로 치아의 색변화를 관찰하였다. 4주간 치아에 적용한 결과, 3주후부터 치아의 색 변화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그 중에서도 딸기와 레몬은 미백치약보다 높은 색의 변화를 보였으며, 이는 딸기와 레몬은 미백치약보다 높은 미백효과를 가져다주며 미백치약에 함유된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화학성분을 대신하여 딸기와 레몬을 사용해 보다 안전한 천연미백술로 미백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각된 비귀금속합금과 법랑질을 복합레진계 시멘트로 접착시킨 경우의 접착인장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ETCHED-METAL RESIN-BONDED RETAINERS)

  • 박헌석;이선형;양재호;장완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5-90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Comspan and Panavia as a luting materials between electrochemically etched Ni-Cr-Be alloy castings and acid etchea human tooth enamel. Tensile bond strength was evaluated using an Instron testing machine at a crosshead speed of 2mm/min.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fm this study ; 1.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etched-metal resin-bonded specimen was $179.0{\pm}42.5kg/cm^2$ in case of Comspan and $169.6{\pm}41.4kg/cm^2$ in case of Panavia. 2. The tensile bond strength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mspan, using with bonding agent, and Panavia, using without bonding agent.

  • PDF

악하선-설하선 혼합타액내 주요 단백질에 대한 구강내 주요 균주의 부착 (Adhesion of Oral Pathogens to Human Submandibular-Sublingual Salivary Proteins)

  • 이승우;정성창;김영구;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3호
    • /
    • pp.235-244
    • /
    • 1999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inding between salivary proteins(low-molecular-weight mucin;MG2, amylase, proline-rich proteins;PRPs) and oral pathogens(Streptococcus gordonii, Actinomyces viscosus, Staphylococcus aureus) by using solid-phase assay. In the case of transferring proteins to Immobilon-P, S. gordonii binds to MG2. A. viscosus binds to MG2, amylase, and PRPs, and S. aureus binds to MG2 and amylase. On nitrocellulose membrane, S, gordonii and A. viscosus bind to MG2, amylase, and PRPs. S. aureus binds to MG2 and PRPs. However, rabbit anti-A. viscosus antisera and rabbit anti-S. aureus antisera showed cross reactivity to PRPs adsorbed to only nitrocellulose membrane in negative control experiments, which were done without bacterial overlay. The resul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embrane used as solid-phase, which reflected the assay-sensitive nature of binding experiment. PRPs and amylase are known to be components of tooth enamel pellicle. In addition, there was experimental evidence that PRPs and MG2 may covalently bind to oral mucosal epithelium. Considering above fac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interactions between salivary proteins and oral bacteria on tooth and oral mucosal surfaces.

  • PDF

인산농도에 따른 치질의 미세누출 효과 (EFFECT OF CONCENTRATION OF PHOSPHORIC ACID ON MICROLEAKAGE TO TOOTH STRUCTURE)

  • 김병태;조영곤;문주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2호
    • /
    • pp.559-568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 leakage of composite resin when various phosphoric acid agents were used to etch the enamel and dentin. In this study,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the buccal surfaces of fourty extracted human molar teeth,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into 4 groups with 10 teeth. The cavities of each groups were etched with 10%, 32%, 35% and 37% phosphoric acids for 15 seconds, washed and dried and the cavities were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after application of the adhesive.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2% methylene blue solution for 3 days. And then, the specimens were sectioned buccoligually. Degree of dye penetration at tooth-restoration interfaces was examined by Inverted Metallurgical Microscope at the occlusal and gingival margins. The result were as follows : 1. The degree of microleakage at occlusal and gingival margin in all group was statistically difference among 10% and 35% (P<0.01), 10% and 37% (P<0.01), 32% and 35% (P<0.05) and 32% and 37% (P<0.05) acid concentrations, but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10% and 32%, 35% and 37% acid concentrations (P>0.05). The degree of microleakage was showed to dimish with increase of acid concentration. 2. The degree of microleakage at the occlusal margi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10% and 32%,10% and 35%, 10% and 37% acid concentrations(P<0.05). The degree of microleakage among 32% and 35%, 32% and 37% and 32% and 37% acid concentra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3. In comparison of microleakage at the gingival margin, the degree of microleakage above 32% acid concentration was not showed less than 10% acid concentration (P>0.05). In comparison of 32%, 35%, 37% acid concentrations, the degree of microleakage at 35% and 37% acid concentrations was showed less than 32% acid concentration(P<0.05).

  • PDF

Er:YAG 레이저를 이용한 치아 삭제시 동일출력에서 펄스에너지와 조사반복률의 영향 (Effect of Pulse Energy and Pulse Repetition Rate at the Identical Total Power During Enamel Ablation Using an Er:YAG Laser)

  • 원정연;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3호
    • /
    • pp.223-229
    • /
    • 2006
  • Er:YAG 레이저를 이용한 치아경조직 삭제의 효율과 안전도는 물분사량, 조사시간, 조사방법, 에너지, 조사반복율 등의 다양한 변수에 의해 좌우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출력을 고정한 상태에서 에너지와 조사반복율을 달리하였을 때 삭제율과 치수내 온도변화가 어떤 요소에 의해 더 많이 좌우되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발거된 건전 대구치를 두 조각으로 나누어 치아표본을 준비하여 $300mJ{\times}10Hz$, $200mJ{\times}15Hz$, 및 $150mJ{\times}20Hz$의 조건에서 1.6 ml/min의 물을 분사하면서 법랑질표면에 3초간 Er:YAG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레이저 조사 전후의 치아 무게를 측정하여 그 차이로 삭제율을 평가하였다. 각 군당 표본은 10개로 하였다. 위의 조건에서 발생하는 치수내 온도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발거된 건전한 대구치를 이용하여 access cavity를 형성하고 치수조직을 제거한 다음, hard acrylic resin으로 만든 block에 치아를 매식하고 레이저를 조사되는 측 치수벽과 반대측 치수벽에 온도측정탐침을 위치시켜 레이저조사과정과 그 후에 발생하는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조사조건은 삭제율 평가시와 동일하게 하였으며 각 군당 표본은 5개로 하였다. 실험의 결과, 3W의 출력에서 치아삭제량은 펄스에너지의 증가에 따라 함께 증가되었다.(p=0.000) 반면에 치수 내 온도는 조사반복율의 증가에 의해 상승되었으나 각 군별, 조사측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만, $150{\times}20Hz$의 조사조건에서만 조사측 치수벽이 반대측에 비해 유의한 온도증가를 보였다(p=0.033). 본 연구의 결과는 Er:YAG 레이저의 치아삭제율은 조사반복율보다 펄스에너지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Er:YAG 레이저를 이용한 법랑질 및 상아질 와동 형성시의 치수내 온도변화 (Intrapulpal Temperature Change during Cavity Preparation on the Enamel and Dentin with an Er:YAG Laser)

  • 양희영;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457-46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법랑질과 상아질에서 와동을 형성하는 동안 치수벽에서 발생하는 온도변화를 관찰하여 치수 손상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고 조사반복율의 차이에 따른 영향도 함께 조사하고자 하였다. 발거된 건전 대구치에 access cavity를 형성하고 레진 block에 식립한 다음, 온도측정센서를 레이저가 조사될 치수벽에 위치시켰다. 레이저를 조사하는 동안 분사되는 물이 온도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레진을 이용하여 occlusal cap을 만들고 가운데 작은 구멍을 내어 온도측정센서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치아의 내부는 생리식염수로 채웠다. 치아표본은 법랑질실험군과 상아질 실험군으로 나누고 각 군당 치아표본수는 5개로 하였다. 상아질군에서는 모든 표본의 상아질 두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고속핸드피스를 이용하여 상아질 두께가 2 mm가 되도록 삭제하여 사용하였다. $3\;mm{\times}2\;mm$의 일정한 면적을 치면에 표시한 다음 와동을 형성하였는데, 법랑질군에서는 상아질 이 노출되는 순간까지, 상아질군에서는 상아질벽이 천공되는 순간까지 온도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방식은 접촉식(contact mode)으로 하였으며 레이저가 한번 조사되는 시간을 3초 이하로 유지하면서 와동을 형성하였다. 300 mJ의 펄스 에너지, 10, 15, 20 Hz의 조사반복율, 1.6 ml/min의 물분사량이 가해지는 조건에서 레이저 조사측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Er:YAG 레이저 조사시 적절한 양의 물분사가 이루어질 때, 즉 1.6 ml/min의 물분사량과 300 mJ의 펄스에너지의 조건에서 법랑질에서 와동형성시 10, 15, 20 Hz 의 조사반복율 모두에서 온도상승이 미미하여 치수손상을 야기할 만한 온도상승이 이루어 지지 않았고 세 군 간의 유의한 차이도 존재하지 않았다(p=0.358). 상아질에서의 와동형성시에는 조사반복율이 증가할수록 온도상승이 컸지만(p=0.001), 실제 온도상승은 여전히 치수손상을 야기 하지 않는 안전한 범위에 있었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양의 물이 레이저 조사면에 적절하게 분사되기만 하면 법랑질이나 상아질에 서의 와동형성은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공초점 레이저주사현미경을 이용한 산부식 시간에 따른 법랑질 표면 양상에 관한 연구 (EFFECT OF ETCHING TIME ON ENAMEL SURFACE ROUGHNESS: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IC STUDY)

  • 감동훈;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1-46
    • /
    • 2003
  • 공초점 레이저주사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을 이용하여 산부식시간에 따른 법랑질표면의 변화양상을 관찰하고, 접착에 필요한 표면의 양상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법랑질의 소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산부식시간을 측정하고자, 60개의 발치된 건전대구치를 협면이 노출되도록 아크릴봉에 자가중합레진을 이용하여 매몰한 뒤, 220, 500, 800, 1000, 2000, 4000번 SiC 연마지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연마하였다. 연마된 시편을 임의로 10개씩 6개의 군으로 나누고, 37% 인산으로 10초, 20초, 30초, 40초, 50초, 60초간 산부식하고 충분한 물로 세척한 후 air syringe로 건조시킨 후, 공초점 레이저주사현미경으로 표면영상을 얻은 후 조도분석을 시행하고, 5개의 계측치(Sa, Sq, Sz, Sdr, Ra)를 통계분석한 결과, 모두 30초 산부식의 경우가 가장 높은 조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Sz의 경우 10초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으며, 30초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 PDF

치질에 접착된 자가 산부식 프라이머와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형태학적 양상 (MORPHOLOGICAL PATTERNS OF SELF-ETCHING PRIMERS AND SELF-ETCHING ADHESIVE BONDED TO TOOTH STRUCTURE)

  • 조영곤;이석종;정진호;이영곤;김수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1호
    • /
    • pp.23-3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n vitro interfacial relationship of restorations bonded with three self-etching primer adhesives and one self-etching adhesive. Class I cavity preparations were prepared on twenty extracted human molars. Prepared teeth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and restored with four adhesives and composites Clearfil SE $Bond/Clearfil^{TM}$ AP-X (SE), UniFil $Bond/UniFil^{\circledR}$ F (UF), FL $Bond/Filtek^{TM}$ Z 250 (FL) and Prompt $L-Pop/Filtek^{TM}$ Z 250 (LP) After storing in distilled water of room temperature for 24 hours, the specimens were vertically sectioned and decalcified. Morphological patterns between the enamel/dentin and adhesives were observed under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y showed close adaptation between enamel and SE, UF and FL except for LP. 2. The hybrid layer in dentin was $2{\;}\mu\textrm{m}$ thick in SE, $1.5{\;}\mu\textrm{m}$ thick in UF, and $0.4{\;}\mu\textrm{m}$ in both FL and LP. So, the hybrid layers of SE and UF were slightly thicker than that of FL and LP. 3. The lengths and diameters of resin tags in UF and FL were similar, but those of LP were slightly shorter and slenderer than those of SE. 4. The resin tags were long rod shape in SE, and funnel shape in other groups Withi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self-etching primer adhesives showed close adaptation on enamel.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hybrid layer ranged from $0.4-1.5{\;}\mu\textrm{m}$ between adhesives and dentin. The resin tags were long rod or funnel shape, and dimension of them was similar or different among adhes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