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4초

The Effects of Human Resource Factors on Firm Efficiency: A Bayesian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 Shin, Sangwoo;Chang, Hye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6권4호
    • /
    • pp.292-302
    • /
    • 2018
  • This study proposes a Bayesian stochastic frontier model that is well-suited to productivity/efficiency analysis particularly using panel data. A unique feature of our proposal is that both production frontier and efficiency are estimable for each individual firm and their linkage to various firm characteristics enriches our understanding of the source of productivity/efficiency. Empirical application of the proposed analysis to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data enables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the effects of Human Resource factors on firm efficiency in tandem with those of firm types on production frontier. A comprehensive description of the Markov Chain Monte Carlo estimation procedure is forwarded to facilitate the use of our proposed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The Re-examination of the role of the Labor Relations Commission on Corporate Performance

  • LEE, Kwan-Su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9호
    • /
    • pp.25-35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continuous investment in human capital contributes to increasing labor productivity at not only individual companies but also at the national level, and causes fundamental as well as increases for labor-management conflicts. The current research aimed to empirically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investment and furthermore, based on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investment on labor productivity, also re-examine the role of the Labor Commission as wel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Korea Information Service-Financial Accounting System (KIS-FAS) using representative panel data operated by countries to measure whether long-term investment in corporate human resources affects labor productivity. Results: Two distinctive summarized results of the analysis in the Korea Credit Ratings data showed that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rporate human resource investment and economic performance for a ten-year period from 2009 to 2018.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concluded that the role of the labor committee should be effectively formed by the labor as a mediation agency and that the role of the mediation committee members should focus more on how to strengthen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the union.

외환위기 이후 생산성 추이와 교육훈련효과 - 상장제조기업 자료를 이용한 동적 패널 분석 - (The Productivity Trend and the Effect of the Corporate Education & Training after Financial Crisis - A Dynamic Panel Data Analysis using the Listed Manufacturing Companies' Data -)

  • 반가운
    • 노동경제논집
    • /
    • 제32권2호
    • /
    • pp.95-124
    • /
    • 2009
  • 본 연구는 외환위기 이후 상장제조기업의 생산성 추이 및 교육훈련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외환위기 이후 상장제조기업은 시간이 흐를수록 저 생산성 국면에 빠지게 되었으며, 그 과정에서 상장제조기업의 고용 없는 성장, 물적 투자 없는 성장, 인적자본투자 없는 성장 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생산성이 높은 기업의 고용비중이 늘고, 낮은 기업의 고용비중이 주는 효율적인 노동시장이 거의 작동하지 않았다. 또한 교육훈련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기 위해 동적 패널 분석을 실시할 경우 교육훈련의 과소투자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훈련의 생산성에 대한 지나치게 높은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는 모순적 현상이 상당 부분 해결되었다.

  • PDF

사내기업가정신과 구성원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관한 다수준 분석(multi-level analysis): 사내기업가정신의 영향력과 조직신뢰의 조절효과 검증 (Multi-level Analysi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nalysis of HCCP Panel Data)

  • 김도희;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6호
    • /
    • pp.143-153
    • /
    • 2019
  • 본 연구는 2017년도 인적자본패널(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HCCP) 자료를 사용하여 사내기업가정신의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사내기업가정신이 기업의 성과로 연결되는 과정에서 주요한 연결고리인 근로자들의 태도는 그동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의 한계로 인하여 대부분 개인 및 조직수준에서 단일수준으로 연구되어 왔다. 사내기업가정신과 구성원의 태도 사이의 관계를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활용한 다수준분석(multi-level analysis)을 실시하여 변수 간의 관계성 추정에 정확성을 높였다. 또한, 사내기업가정신이 구성원의 태도에 이어지는 과정에서 조직수준의 조절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내기업가정신은 근로자의 조직에 대한 태도인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 과정에서 조직신뢰는 사내기업가정신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내기업가정신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조절역할을 수행하지 않았다. 즉 조직차원의 사내기업가정신은 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등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The Impact of Intellectual Capital Efficiency on Jordanian Companies Performance: The Moderating Roles of CEO Duality

  • ABDELGHAFOUR JOS, Rawan;MAT HUSIN, Norhayati;ISMAIL HYARAT, Hamz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10호
    • /
    • pp.85-96
    • /
    • 2022
  • CEO duality and its impact on firm performance represent one of the most contentious issues in both academia and busines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CEO du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capital Efficiency (human, structural, relational, Capital Employed, and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earnings per share and Tobin's Q) among Jordanian companies. The study sample consists of services listed companies on Amman Stock Exchange. The study used panel data for the period 2014-2018 with a sample size of 230 observations. SPSS software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gression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C and firm performance. When CEO Duality is incorporated into the model as a moderator, there is an increase in the R2 by 7.9%.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expand the theoretical underpinning of corporate governanc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performance implications of CEO duality within the Jordanian context. It also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the literature review about the current status of the practices taken in the intellectual capital components efficiency among companies listed on the Amman Stock Exchange. Findings from this study also provide contributions to the concerned policymakers such as the Ministry of Finance, Securities Commission, and Amman Stock Exchange in Jordan, to improve the current policies related to intellectual capital efficiency.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운영성과 간 관계: 다수준분석을 통한 종업원성과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and Operational Performance: Focusing on a Mediating Role of Employee Performance)

  • 전인;오선희;안성익
    • 산업노동연구
    • /
    • 제19권1호
    • /
    • pp.65-104
    • /
    • 2013
  • 본 연구는 자원기반관점을 기초로 고성과작업시스템-종업원성과-운영성과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조직수준의 고성과작업시스템과 개인수준의 종업원 태도 간 실증분석을 위해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을 활용한 다수준분석을 실시하여 인과관계의 정확성을 높였다. 이를 위해, 제3차 인적자원기업패널(HCCP: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데이터 가운데 316개 기업과 7,872명(팀장 923명 포함)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고성과작업시스템이 개인수준인 종업원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후, 분석수준을 일치시키기 위해 개인수준(종업원성과)과 팀수준(운영성과)의 패널자료를 조직수준으로 집산(aggregation)하여 타당화 검증을 실시하고, 조직수준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성과작업시스템은 종업원성과(직무만족, 조직몰입, 신뢰)와 운영성과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업원성과 개별변수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직무만족과 신뢰가 고성과작업시스템과 운영성과 간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는 연구의 결과, 이론적 시사점 및 한계점을 제시하고 있다.

한국 기업의 교육훈련 결정요인 - 시장실패와 정부 개입을 중심으로 - (The Determinants of Corporate Training in Korea - Market Failure and State Intervention -)

  • 김안국
    • 노동경제논집
    • /
    • 제31권1호
    • /
    • pp.105-133
    • /
    • 2008
  • 본고는 우리나라 기업교육훈련의 요인을 시장실패와 정부개업의 초점에서 살펴보았다.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 1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숙련의 일반성이 높지만 기업교육훈련의 시장실패는 비교적 크지 않았고 제조업에 국한된 현상으로 나타났다. 기업교육훈련에 대한 정부의 개입 역시 제조업에서는 효과가 있었지만, 비금융서비스업에서는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기업교육훈련의 시장실패를 규정하는 것이 비금융서비스업에서는 어려우며, 이에 모든 업종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정부의 기업교육훈련 개입에 대한 검토가 요청됨을 시사한다.

  • PDF

정부 자금지원과 기업 경영성과: 기업 및 클러스터 특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다수준 분석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and Firm Performance: A Multilevel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Firm and Cluster Characteristics)

  • 김희재;정명호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1-20
    • /
    • 2024
  • 정부지원과 기업 경영성과 간 관계에서 기업 고유의 특성과 공간적 특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많은 논의들이 있지만, 기업 특성과 클러스터 특성이 통합적으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부자금지원의 구체적인 투입에 따른 재무적, 비재무적 성과를 실증분석하고, 정부 자금지원과 기업 경영성과 간에 영향을 조절할 것으로 예측되는 기업 특성 및 클러스터 특성을 탐색하여, 개인 및 집단의 2수준 위계적 선형모형(HLM)으로 분석하였다. 데이터는 사업자등록번호 기준으로 기업 및 클러스터 수준으로 재정리하여 최종적으로 기업수 83,395개사 및 클러스터 641개의 패널데이터가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정부 자금지원은 기업의 매출액과 특허 모두에 정(+)의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정부 지원이 시장실패를 보완할 수 있는 유효한 수단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위계적 선형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정부 자금지원과 인적자본역량, 흡수역량, 클러스터 네트워크 밀도와 결합할 경우, 모두 매출액과 유의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2수준 위계적 선형모형으로 분석하여, 기업 특성인 인적자본역량과 흡수역량, 클러스터 특성인 클러스터 네트워크 밀도가 조절효과로 정부 자금지원과 기업경영성과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함을 밝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제품혁신이 기업의 수익 및 재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rporate Product Innovation on the Firm's Revenue and Financial Stability)

  • 임동근;정진화
    • 기술혁신연구
    • /
    • 제25권4호
    • /
    • pp.239-261
    • /
    • 2017
  • 본 연구는 제품혁신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혁신이 기업의 수익과 재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품혁신은 신제품개발 및 도입으로 정의한다. 기업의 수익은 종업원 1인당 매출액과 매출액 증가율로 측정하고, 재무안정성은 자기자본대비 부채비율과 유동비율로 측정한다. 실증분석은 제품혁신의 내생성을 고려하여 2단계 추정법을 사용하였고, 분석자료는 "인적자본기업패널(HCCP)"의 1차(2005년)~6차(2015년) 자료와 한국신용평가(주)의 기업재무자료를 병합한 자료이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제품혁신은 기업의 지식자본스톡과 인적자원투자, 시장선도전략 등에 영향을 받으며, 제품혁신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기업일수록 1인당 매출액과 매출액 증가율이 높고 부채비율은 낮으며 유동비율이 높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기술혁신투자와 이를 통한 제품혁신이 기업의 단기수익 창출 및 장기적인 재무안정성을 촉진하는 중요한 전략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의사소통, 신뢰 및 조직문화간의 관계가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Trust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Corporate Competitiveness)

  • 김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51-56
    • /
    • 2023
  • 이 연구는 기업의 혁신적 문화, 조직 내 신뢰, 의사소통의 관계와 기업의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은 기업의 혁신적 문화가 신뢰와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신뢰와 의사소통은 기업경쟁력을 높이는 긍정적일 것으로 가정하였다. 분석을 위한 설문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KRIVET)이 시행하는 인적자본기업패널II(HCCP II)의 1차 조사에서 수집된 9,053명 종업원의 자료를 기업수준(510개 기업)으로 통합하여 활용하였다. 기업경쟁력은 내부 프로세스 역량과 대고객역량에 대한 10개 요소에 대한 응답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분석하는데 구조방정식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혁신적 조직문화는 조직의 신뢰와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신뢰와 의사소통은 기업 경쟁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랩을 통한 간접효과 분석에서는 혁신적 조직문화가 신뢰와 의사소통을 통한 간접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혁신적 조직문화, 신뢰와 의사소통, 기업 경쟁력 간의 직접효과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