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pital Administration Workers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초

종합병원 의료인의 교육훈련 인식이 의료인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upplementary Education Awareness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for Health Care Providers)

  • 정상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11-420
    • /
    • 2018
  • 본 연구는 종합병원 의료인의 교육훈련 인식이 의료인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자료조사는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소재 29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의료인 433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8일부터 2018년 6월 2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t-검정과 분산분석, 사후검정, 상관관계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과 의료인 상호간 커뮤니케이션 차이를 검정한 결과 연령, 학력, 병상규모, 직업만족도, 소재지, 건강상태, 건강관리 교육경험, 우울경험에서, 교육훈련 인식은 연령, 병상규모, 직종, 급여수준, 의료기관 종류, 직업만족도, 소재지, 건강상태, 건강관리 교육경험, 만성질환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의료인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 학력, 건강관련 교육경험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연령과 병상규모(801병상 이상), 직업만족도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병상규모가 801병상 이상인 경우, 직업에 만족하지 못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교육훈련 하부요인인 지원환경, 학습전이, 성과에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훈련 계획수립 시 성과와 지원환경, 학습전이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며, 의학 및 간호학생들의 교육 과정에 커뮤니케이션의 정규 교육과정을 도입. 의료인 상호간 커뮤니케이션을 높여 환자에게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병원 근로자들의 최종 학력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급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Education Level on Job Satisfaction among hospital workers: Moderating Role of Job Position)

  • 오상석;박오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59-566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고학력화는 만연한 현상이며 점점 더 심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고학력의 효과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주로 2000년대 이전의 연구가 많고 진행된 연구도 서구권 국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제조업 및 일부 공공영역(예; 경찰)을 주된 표본으로 사용하였고, 다양한 조절변수를 다루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력과 조직행동 연구의 중요 변수인 직무만족과의 관계 및 그 관계에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인력이 기업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되는 병원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최종 학력이 직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상황변수인 직급이 이들 간의 관계를 어떠한 방향으로 조절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북부의 1개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377명의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직의 자료를 실증분석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최종 학력은 직무만족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인의 직급이 높아질수록 최종학력이 직무만족에 주는 긍정적 관계는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직원들의 직무만족도, 서비스 질에 대한 구조모형 (Structure Model for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of Staff of Geriatric Hospital)

  • 심규범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357-366
    • /
    • 2014
  • 이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직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서비스 질을 향상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시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지역 10개 요양병원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2일부터 5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76부를 최종 연구에 활용하였다. 조사결과로는 첫째, 업무만족도, 보수만족도, 동료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둘째, 업무만족과 동료만족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보수만족은 영향이 없었다. 셋째, 직무만족은 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직원들의 직무만족도가 높아야 환자들에 대한 서비스 질이 높아지고, 또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량의 감소, 적절한 보상체계, 동료 간의 화합을 다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환자분류에 의한 간호인력 산정 및 배치과정 전산화 (Computerization of Nurse Staffing and Scheduling according to Patient Classification)

  • 박정호;박현애;조현;최용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99-412
    • /
    • 1996
  • Even though Korean medical law stipulates that number of patients attended by a nurse is 2.5 for hospitalization and 30 for ambulatory care, the number of patients cared by a nurse per day is much greater than the standard prescribed by the medical law. Current nursing productivity of nurses is not desirable unless the quality of care considered. Moreover. nursing manpower staffing based on neither current nurses' productivity nor standard of medical law cannot respond properly to dynamic situation of the medical services. As for the nurse scheduling, the critical problem of it in the hospital is determining the day-to-day shift assignments for each nurse for the specified period in a way that satisfies the given requirements of the hospital. Nurse scheduling, however, involves many factors and requirements, manual scheduling requires much time and effort to produce an adequate schedule. Under these backgrounds, the necessity of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nursing manpower occupying 1/3 of total hospital workers has been recognized by many nursing administrator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system computerizing nurse staffing and scheduling based on the patient classification. As a preliminary step for the system development, nursing workload in a secondary hospital was measured from Sep. to Oct. 1994. On the grounds of this result, computerization of nurse staffing and scheduling was proceeded with three options. First one is based on the current medical law. Second one is based on the assigned number of nursing staff. And the last is based on the request by patient classification. Computer languages used in this study were MS Visual Basic 3.0 for the staffing and Access 2.0 for the scheduling, respectively. Prospective users may operate this system easily because icons and mouse are used for easier graphic user interface and reducing the need for typing efforts. This system can help nurse administrators manage nursing manpower efficiently and nurses develop quick and easy schedule generation and allow more time for the patient care.

  • PDF

방사선사의 직무만족에 관련된 요인분석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mong the Radiologic Technologists)

  • 김창호;유승흠;이선희;손태용;정원미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0권1호
    • /
    • pp.77-84
    • /
    • 1997
  • Job satisfaction is very important for adequate manpower management in the medical field. To study job satisfaction among the radiologic technologists, 344 cases were reviewed in five university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to study thei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working conditions, job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re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heir department of employment, position, and hospital characteristics. 2. The group that was satisfied with their salary had a higher job satisfaction score, whereas others who were not satisfied ranked lower. 3. The positive answering group on the ability and job recognition ranked higher score on the job satisfaction than the negative answering group. 4. The group that was in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superiors and co-workers scored higher on job satisfaction From the above results, the job satisfaction was high for the group with positive thinking and reply, but the intentin to change their job was low.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se results represent only 6 hospitals from limited arease, therefore, necessary to include more medical facilities nationwide, especially small-medium sized clinics or hospitals where the difficulty with high turnover rate of employment is expected, to study further various factors involving job satisfaction in the future.

  • PDF

Near Misses Experienced at a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 Park, Mi-Hyang;Kim, Hyun-Joo;Lee, Bo-Woo;Bae, Seok-Hwan;Lee, Jin-Yong
    •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5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many healthcare professionals experienced near misses, what types of near misses occurred most often,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opinions about near misses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Methods: The authors developed a questionnaire including 26 core types of near misses and 4 questions about preventability and reporting barri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 31st to Nov. 18th 2011, about 3 weeks, using a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 that was administered to 697 healthcare professionals (registered nurses, pharmacists, technicians, and nurses aides) who worked at a university hospital. Medical doctors and employees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administration were excluded. Results: About half of hospital workers experienced at least one or more near misses during the past one year. The drug dispensing process was the most common subcategory of near misses. Among the 26 items, patient falls was highest. Over 95% of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 near miss they experienced was preventable. Also,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did not report the near miss and the main reason for omission was fear of blame. Conclusion: Regarding patient safety issues, a near miss is a very significant factor because it can be a potential adverse event. Therefore, we should grasp the size of the problem through tracking and analyzing near misses and should make an effort to reduce them. To do so, we should check whether our reporting system is well designed and functioning.

김해지역 5인 미만 제조업 사업장의 작업환경실태 (A Study on the Status of Work Environment in the Manufacturing with Less Than Five Workers in Gimhae Area)

  • 이경열;문덕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1-144
    • /
    • 2006
  •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the fundamental data on working environment of small 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preventing the occupational diseases of workers in these industries, authors surveyed the status of working environment to several chemical substances and physical agents by types of industry and types of process in the small 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with less than five workers in Gimhae including 235 workplaces, 14 types of industry and 25 types of proces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4. This measurement method was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method (established in Ministry of Labor, Korea), analytical methods (2nd Ed.)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OSHA) and manual of analytical methods (4th Ed.) of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10.0 for window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Noise generated in 14 types of industry and 22 types of process. an actual level of mean exposure (90.7 dB(A)) exceeded threshold limit values (TLVs) in manufacture of other transport equipment. An actual level of mean exposure (90.2dB) exceeded TLVs in the process of wire-drawing and 90.4dB in the process of wire-stranding. 2. Dusts of type I, II, III were generated in 9 types of industry and 8 types of process. Its mean concentration did not exceed TLVs. 3. Heavy metals (Pb, Mn, Cr, Ni) were generated in 7 types of industry and 7 types of process. Its mean concentration did not exceed TLVs. 4. 16 kinds of organic solvents were generated in 11 types of industry and 6 types of process. Its mean concentration did not exceed TLVs. As the above results, chemical substances and physical agents were generated in the several different types of industry and proc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with less than five workers, and only mean level of noise was exceeded TLVs. In case of exceeding threshold limit values,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is actively needed, and work environment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continuously for prevention of an occupational diseases and work related diseases.

<사례보고> 농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한국형 참여형 개선활동 교육(PAOT)의 개발과 실제 적용 사례 (<Field action repor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PAOT) for Improvement of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 in Korea)

  • 김진석;우극현;민영선;김보균;최경숙;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4호
    • /
    • pp.417-427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형 농업인 참여형 개선활동 기법(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PAOT)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더 많은 지역으로 이 프로그램이 확산되는 데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진은 농작업 환경 체크리스트를 노지, 과수, 시설, 축산, 복합농 등의 5개 범주로 구분하여 실제 우리나라 농작업 현장에 적합한 것으로 개발하였다. 체크리스트는 농작물 운반과 보관, 작업대와 연장 도구, 안전한 농기계 사용, 농작업 환경관리, 휴식과 일의 분담, 기초안전관리 등 6개의 대분류에 38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대분류별로 4-7개의 문항으로 구성이 된다. 또한 체크리스트와 교육에 포함할 모범사례들은 연구진이 직접 촬영한 사진과 외국의 사례를 참고로 하여 삽화 전문가에게 의뢰하여 제작한 삽화로 구성하였다. 이렇게 개발한 교재를 바탕으로 한국형 PAOT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경상북도의 4개 농촌 마을의 농업인 94명을 대상으로 2007년 7월에서 2008년 10월까지 4회의 참여형 농작업환경 개선교육을 수행하였다. 교육이 종료 3개월 후 연구진들이 직접 참여 농업인들의 농가를 방문하여 농업인들의 개선계획 실천여부를 확인하였고,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는 "개선성과 중간 평가회"를 개최하여 개별 마을민들의 개선 성과를 전체 참가자들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전체 대상자 307명(남자 142명, 여자 165명)중 남자 59(41.5%)명, 여자 35(21.2%)명 등 총 94(30.6%)명이 PAOT 교육에 참가하였다. 전체 교육의 진행시간에 대한 적절성에서는 94.8%가 '만족한다' 이상으로 응답하였고, 교육의 전반적인 내용에는 98.9%가 '만족한다' 이상으로 응답하였고, 농작업 체크리스트 실습에는 100.0%가 '만족한다'고 응답하는 등 만족도 조사 문항 모두 90% 이상에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농작업 환경 개선을 위한 PAOT 기법은 자발적이면서 지속적으로 농업인의 안전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향후 보다 객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더 많은 실제적인 적용 경험을 축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환경요인을 매개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조직몰입이 진료비 삭감률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Medical Service Fee Reduction Rate by Lifestyle with Environmental Factors as Medium)

  • 양유정;정연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609-621
    • /
    • 2020
  •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환경요인을 매개로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조직몰입이 진료비 삭감률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전라도에 있는 의료기관 종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 몰입도는 연령, 학력, 성별, 결혼, 직종, 소득과 근무 연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환경요인은 결혼, 근무 연수, 병원유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입원삭감률은 직종, 근무 연수 병원유형에서, 외래삭감률은 연령, 결혼, 직종, 근무 연수, 병원유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조직몰입, 환경요인, 삭감률의 상관관계를 알아 본 결과 입원 삭감률과 외래 삭감률은 정적 상관이 유의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몰입과 환경요인을 동시에 투입하여 입원삭감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조직몰입과 입원삭감률에서 환경요인이 부분매개, 외래삭감률은 조직몰입과 외래삭감률에서 환경요인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 의료기관의 효율적인 운영방안과 효과적인 인력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type of shift work in Korean firefighters

  • Hyun-Jeong Oh;Chang Sun Sim;Tae-Won Jang;Yeon Soon Ahn;Kyoung Sook Jeong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 /
    • 제34권
    • /
    • pp.27.1-27.12
    • /
    • 2022
  • Background: Shift work that interferes with normal sleep patterns, is known to be a cause of sleep disturbance and has been studied through various occupational groups. However, it is not known which shift type is better for sleep health. Methods: This study included 568 firefighters. Sleep quality was evaluated using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quality was categorized into 2 groups; good quality (≤ 5 points) and poor quality (≥ 6 points). Demographic variables, depression, anxiety, type of shift, and job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χ2 test,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hift type on the sleep quality of firefighters. Results: Three hundred thirty-seven firefighters (59.3%) have poor sleep quality. Compared to day workers, the odds ratios (ORs) of poor sleep quality were 2.169 (95% confidence interval: 1.137-4.134) in 6-day cycle, 2.161 (1.150-4.062) in 9-day cycle, 1.805 (1.087-2.997) in 21-day cycle, and 1.485 (0.718-3.069) in 3-day cycle. The ORs of poor sleep quality were 1.697(1.021-2.823) in fire suppression and 2.325 (1.213-4.455) in emergency medical service compared to administration. Conclusions: All shift work type except for the 3-day cycle was associated with poor sleep quality compared to day 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