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spice Medicine

검색결과 320건 처리시간 0.024초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태도 (Public Attitudes Toward Dying with Dignity and Hospice.Palliative Care)

  • 윤영호;이영선;남소영;채유미;허대석;이소우;홍영선;김시영;이경식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7권1호
    • /
    • pp.17-28
    • /
    • 2004
  • 목적: 말기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과 가족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제도화를 위한 노력이 집중되고 있는지만 소비자인 일반 국민이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느냐에 대한 조사가 없었다. 방법: 2004년 2월, 16개 시도의 20세 이상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별, 시도별 인구분포에 의한 할당추출 인구구성비와 동일하게 대상자를 추출하였으며 전문조사기관의 면접원 30명에게 설문내용에 대해 교육한 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품위 있는 죽음의 조간 선호하는 임종장소 및 그 이유, 무의미한 치료 중단에 대한 인식 및 태도, 호스피스 서비스 인식 및 이용의향, 그리고 국민들의 품위있는 죽음을 위한 정부의 역할에 대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환자의 입장에서 품위 있는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에게 부담 주지 않음'(27.8%) 및 '가족이나 의미 있는 사람과 함께 있는 것'(26.0%)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적인 임종장소는 응답자의 과반수(54.8%)가 자택을 선택했으며, 병원(28.0%), 호스피스 기관(7.9%), 요양원(6.5%) 순으로 나타났다. '무의미한 치료의 중단'에 응답자의 과반수인 51.7%가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며, 의학적으로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에 대해서는, 대다수의 응답자(82.3%)가 '중단하는 것이 좋다'라고 응답하였다. 응답한 대상자의 59.4%가 '호스피스'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말기 상황인 경우 응답자의 57.4%가 '호스피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응답자의 79.6%가 '호스피스 서비스를 건강보험으로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사전의사결정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0.9%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해 필요한 정부의 역할 중 '말기 환자에 대한 재정지원'(29.8%), '호스피스 서비스에 대한 보험인정'(16.5%), '바람직한 임종문화 호스피스 제도 정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강화'(15.9%)를 강조하였다. 결론: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를 통해 환자의 품위 있는 죽음과 가족의 고통을 줄이기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제도화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가능성과 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향후 제도화를 위한 정책 방향 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말기 AIDS 환자들에게 자원봉사를 제공할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Willingness to Volunteer for End-Stage AIDS Patients among Hospice Volunteers)

  • 윤석준;최영심;정진규;김종성;류혜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0권4호
    • /
    • pp.226-234
    • /
    • 2017
  • 목적: '연명의료결정법'의 시행으로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대상이 암뿐 아니라 후천성면역결핍증(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 AIDS)을 포함한 비암성 질환에까지 확대된다. 하지만, AIDS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과 낙인, 편견이 많아 호스피스 완화의료 확대에 대한 우려가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기 AIDS 환자들에 대한 자원봉사 제공의향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우리나라의 19개 기관의 326명의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을 대상으로 자가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말기 AIDS 환자들에 대한 자원봉사 제공의향 정도는 11단계 숫자등급을 통해 파악하였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들, 자원봉사와 관련된 변수들, 자원봉사에 대한 만족도, AIDS에 대한 지식 수준, AIDS에 대한 태도('AIDS 환자에 대한 두려움', 'AIDS 환자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개인적인 낙인', '낙인적 태도')를 조사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말기 AIDS 환자들에 대한 자원봉사 제공의향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결과: 말기 AIDS 환자들에 대한 자원봉사 제공의향 정도 점수는 암환자에 대해서보다 평균 2.82점 낮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01). 다중회귀분석 결과 자원봉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P=0.002) '개인적인 낙인' 점수가 낮을수록(P<0.001) 말기 AIDS 환자들에 대한 자원봉사 제공의향 정도는 높아졌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말기 AIDS 환자들에 대한 자원봉사 제공의향 정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은 자원봉사에 대한 만족도와 AIDS에 대한 태도 중 '개인적인 낙인'이었다.

Screening and 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Delirium in Patients with Cancer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 Systematic Review

  • Yang, Eun Jung;Hahm, Bong-Jin;Shim, Eun-Jung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4권4호
    • /
    • pp.214-225
    • /
    • 2021
  • Purpose: This study reviewed screening and assessment tools that are used to measure delirium in patients with cancer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and examined their psychometric properties. Methods: Four databases were searched for studies using related search terms (delirium, tools, palliative care, cancer, and others).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 studies that included screening/assessment tools for measuring delirium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hospice/palliative care, and b) studies published in English or Korean. The exclusion criteria were a) studies that were conducted in an intensive care setting, and b) case studies, qualitative studies, systematic reviews, or meta-analyses. Results: Out of the 81 studies identified, only 10 examin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ools for measuring delirium, and 8 tools were ultimately identifi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Memorial Delirium Assessment Scale (MDAS) were the most frequently examined (n=5), and the MDAS showed good reliability, concurrent validity, and diagnostic accuracy. The Delirium Rating Scale had good reliability and diagnostic accuracy. The Delirium Rating Scale-Revised 98 also showed good reliability and structural validity, but its diagnostic performance was not examined in hospice/palliative care settings. The Nursing Delirium Screening Scale showed relatively low diagnostic accuracy. Conclusion: The MDAS showed evidence of being a valid assessment tool for assessing delirium in patients with cancer in palliative care. Few studies examin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delirium tools.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screening/assessment tools for the optimal detection of delirium in patients with cancer in hospice/palliative care.

Quantity over Quality? Perception of Designating Long-Term Care Hospitals as Provider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Kim-Knauss, Yaeji;Jeong, Eunseok;Sim, Jin-ah;Lee, Jihye;Choo, Jiyeon;Yun, Young Ho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4호
    • /
    • pp.145-155
    • /
    • 2019
  • 목적: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요양병원을 호스피스 전문기관으로 지정하는 개정안이 최근 시행되었다. 호스피스 전문기관의 양적 증대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개정에 따른 서비스의 질적 저하 역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1,001명의 암환자, 1,006명의 가족 간병인, 928명의 의사 및 1,005명의 일반인이 해당 개정안이 가진 이점과 비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방법: 2016년 7월부터 10월까지 다기관 단면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전문가 인터뷰 및 선행연구에서 추출된 본 개정안의 이점과 비용에 대해 각각 얼마나 동의 혹은 동의하지 않는지 응답하였다. 분석에는 카이제곱 분석, 단변량 및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결과: 참조집단인 일반인 집단과 비교했을 때, 의사 집단은 요양병원이 양질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설 및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 더 동의하였으나, 요양병원에서 과한 진료비를 청구할 것이라는 점에는 더 동의하지 않았다. 가족 간병인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요양병원에서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접근성이 좋아질 것이라는 점에 더 동의했으나, 호스피스 정신이 훼손될 수 있음과 가족들이 환자 돌봄에 신경 쓰지 않을 것을 더 우려하였다. 일반인과 비교했을 때, 암환자 역시 마찬가지로 호스피스 정신이 훼손될 수 있음을 더 우려하였으며, 서비스의 질이 좋아질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더 동의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잠재적인 서비스 이용자 및 제공자가 해당 개정의 이점뿐만 아니라 비용 역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및 유럽 국가들의 사례를 통해 개정안이 실제로 현장에서 실행되기 전에 호스피스 전문기관으로서 요양병원이 새롭게 갖추어야 할 요건 및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Association between D-Dimer Levels and the Prognosi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Last Hours of Life

  • Lee, Hwan Hee;Hwang, In Cheol;Shin, Jinyoung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1호
    • /
    • pp.11-16
    • /
    • 2020
  • Purpose: D-dimer levels are known to be associated with poor outcomes in patients with various cancers, but their significance at the end of life remains unclear. This study investigated D-dimer levels as a prognostic indicator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in the last hours of life. Methods: The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at a palliative care unit of a tertiary cancer center, using a database to analyze the records of patients treated from January 1, 2010 to December 31, 2018. In total, 67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available data on D-dimer levels were included. Patients' demographic data, clinical information, and laboratory values, including D-dimer levels, were collected. Survival was analyz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the log-rank test. A Cox proportional-hazards model was used to identify prognostic factors of poor survival. Results: The most common site of cancer was the lung (32.8%) and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5 days. Most laboratory results, particularly D-dimer levels, deviated from the normal range. Patients with high D-dimer levels had a significantly shorter survival time than those with low D-dimer levels (4 days vs. 7 days; P=0.012). In the Cox regression analysis, only a high D-dimer level was identified as a predictor of a poor prognosis (hazard ratio, 1.83; 95% confidence interval, 1.09~3.07).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at the very end of life, D-dimer levels may serve as a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in cancer patients.

말기환자 돌봄 교육 후 의과대학생의 인식과 태도 변화 (Awareness and Attitude Change after End-of-Life Care Education for Medical Students)

  • 김현경;남은미;이경은;이순남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1호
    • /
    • pp.30-35
    • /
    • 2012
  • 목적: 우리나라에서는 의과대학에서 말기환자 돌봄에 대한 교육이 충분치 못하다. 이 연구는 의과대학생에서 말기환자 돌봄 교육이 학생들의 말기환자의 돌봄에 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4학년 학생 166명을 대상으로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관한 설문조사를 교육 전과 후에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사전의료의향서 작성시기에 관한 질문에 교육 전에는 '임종이 가까운 말기'가 33.6%로 가장 빈도가 높았으나 교육 후에는 '건강할 때'가 58.7%로 가장 많았다.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유보나 중지에 관하여는 수업 전과 후에 심폐소생술은 48.1% 대 92.5%, 기관삽관이나 인공호흡기 38.3% 대 92.5%, 혈압상승제 39.1% 대 85.8%, 혈액투석 60.9% 대 94.8%, 총정맥영양공급 27.8% 대 56.0%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안락사에 대한 반대 의사는 46.6%에서 82.1%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모든 학생이 말기환자 돌봄 교육이 필요하다고 동의하였다. 결론: 대부분의 의과대학생은 임종환자관리 교육과정을 통해 죽음의 의미에 대해 성찰하는 시간을 갖고 말기환자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또한 말기환자의 돌봄에 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컸다. 향후 이러한 교육과정이 모든 의과대학에서 정규교육과정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임종태도와 HOSPICE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 toward dying and hospice)

  • 김영욱;이중훈;이종범;박병탁;정성덕;김명세;김후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2호
    • /
    • pp.55-66
    • /
    • 1990
  • 1. 임종통고에 대한 반대는 노인군과 환자가족군이 40.2%, 40.9%로 환자군과 의료인군의 23.%, 13.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2. 임종환자에 대한 의료인의 회피적 태도에서는 의료인군의 44%가 반대하여 전체평균 28.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3. 불치병 환자의 생명 연장에 대한 태도에서는 환자군과 보호자군의 반대율이 33.3%, 22.5%로 노인군과 의료인군의 54.5%, 56.0%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01). 4. 임종환자를 위한 특수시설 및 교육문제에 있어서는 의료인군의 찬성율이 81.3%로 가장 높았고 환자군이 56.8%로 가장 낮았다. 5. 임종환자에 대한 가족의 회피적 태도에 대해서는 노인군의 찬성율이 81.3%로 가장 높았고 가족군이 34%로 가장 낮았다. 6. 임종에 대한 지각문제에 있어서는 의료인군의 찬성율이 77.3%로 전체평균 58.8%보다 높았다.

  • PDF

Integration of Palliative Care in the Hospital Setting

  • Wozencraft, Colin;Tucker, Rodney O.;Howell, Stephe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4호
    • /
    • pp.188-192
    • /
    • 2012
  • Palliative medicine has shown demonstrated benefit for patients with serious illness, their families, and hospital systems. As such, the demand for palliative care services is growing at a fast pace, and health care facilities frequently struggle to develop and implement effective and sustainable methods of providing this care. As with any new system, challenges and barriers naturally exist to instituting palliative care. Undertaking careful assessment, planning, and resource allocation can provide the greatest likelihood of success when developing these novel yet much needed models of care. This summary paper offers a qualitative overview of the potential benefits and the rationale to implement robust palliative care systems. We briefly review the history of palliative medicine in the broadest sense and address several seminal works from the US palliative care literature. Core practices to establish and advance palliative medicine are suggested. Commentary is provided on some of the particular barriers to palliative system development that may need to be addressed in the context of Korean medical culture. Collectively, we hope this overview can contribute to a framework within which such research and development can occur, leading to increasingly effective and sustainable palliative medicine in Korea.

Existential Issues and Psychosocial Interventions in Palliative Care

  • Lee, Jae-Hon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3권4호
    • /
    • pp.167-171
    • /
    • 2020
  • The finite nature of human existence leads many to search for meaning, which comes into sharper relief for those who are imminently facing death. Therefore, universal existential concerns such as the inevitability of death, existential isolation, loss of meaning, freedom, and dignity are inherent psychological issues in palliative care. Consequently, one of the critical challenges facing palliative care is how to address these issues effectively.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common themes of existential concerns and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to address existential distress among patients in palliative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