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izontal integration educatio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STEM, STEAM 교육과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 (Understanding STEM, STEAM Education, and Addressing the Issues Facing STEAM in the Korean Context)

  • 심재호;이양락;김현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09-723
    • /
    • 2015
  •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체계적으로 융합인재교육 연구를 수행하기 시작하여 수많은 프로그램을 개발해오고 있으며, 교육과정에도 구체적으로 반영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STEM, STEAM 교육에 관한 수많은 논문들의 리뷰를 통해 이 교육의 특징, 문제점, 해결해야 할 과제를 명료화할 시점이 되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STEM과 STEAM 교육과 관련한 많은 국내외 논문들의 리뷰를 통해 이들 교육의 특징 및 문제점을 명료화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해결 과제를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의미 있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통합교육과정의 접근 방식은 통합의 목적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지 우월성의 차이로 구분될 수 없음을 제시하였다. 둘째, STEAM 교육과 같은 통합교육과정은 이전의 교육과정에서 강조된 수직적 깊이보다 교과 융합과 같은 수평적 연계를 중시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교과 지식과 수직적인 연계성이 약화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강조되었던 핵심 개념과 기능이 STEAM 교육에서도 강조되어야 하며, 이와 더불어 기존의 각 교과의 핵심 개념과 기능에 대한 비교 연구가 선행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연구 현황을 제시하고, 그 한계와 극복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넷째, 이러한 리뷰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STEAM 교육의 접근 방안의 예를 제안하고,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 측면에서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한 . 미 . 일 치위생사 양성기관의 교과과정 비교 (An analysis of Dental Hygine Curriculum in Three Countries)

  • 권현숙;최병옥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5-21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dental hygine curriculum of three countries--Korea, U.S.A., and Japan--, focusing on the ways of organizing content. In this study, 30 curriculum documents of dental hygienist in U.S., Japan, and Korea were analyzed and discussed by a framework of analysis which was constructed referring to Tylerian curriculum model. Using this framework, three kinds of key components of curriculum document were compared according to specific elements of each component. More specifically, comparing those curriculum documents, we must consider the dimension of content organization. In this study, the problem of course organization was viewed on three dimensions: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of curriculum cont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1. Courses of dental hygienist education should be organized so that the curriculum foster the cumulative and continuous learning. It will be accomplished by considering the essential procedures or sequence of dental hygiene activities. 2. When organizing curriculum elements, we should consider the continuity dimension of learning content. Continuity deals with the vertical manipulation or repetition of curriculum components. In other words, it accounts for the reappearance in the curriculum of certain major ideas or skills. Therefore, courses should be based on the level of the dental hygienist activities in order to ensure a continuity of learning experiences. 3. Dental hygienist curriculum must be organized in a way to integrate the logic of dental hygiene as a discipline with the process of dental hygiene performance. Integration refers to the linking of all types of knowledge and experiences contained within the curriculum design. It emphasizes horizontal relations among various content topics and themes involving all domains of knowledge recognized. Thus, courses of dental hygiene curriculum should be integrated to allow college students to obtain a unified view of knowledge and an in-depth meaning of the dental hygiene as a profession.

  • PDF

한의학 임상실습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환자 챗봇의 사용성과 교육적 효과성 (Usability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I-based Patient Chatbot for Clinical Skills Training in Korean Medicine)

  • 한예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41권1호
    • /
    • pp.27-32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developed an AI-based patient chatbot and examined the usability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hatbot in the context of Korean medicine education. Methods : The patient chatbot was developed using the AI chatbot builder 'Danbee', and a total of five experts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to determine the usability, effectiveness,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improvement points of the chatbot. Results : The patient chatbot was found to have high usability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advantages of the patient chatbot were 1) it provided students with practical experience in performing clinical skills, 2) it provided instructors with assessment materials while reducing their teaching burden, and 3) it could be effectively used for horizontal and vertical integration education. The disadvantages and improvements of the patient chatbot were 1) improving the accuracy of intention inference, 2) providing students with specific instructions for problem-solving activities, and 3) providing assessment results and feedback about students' activities. Conclusions :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new training metho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doctor-patient simul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timulate further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clinical skill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Effect of axial stretching on large amplitude free vibration of a suspended cable

  • Chucheepsakul, Somchai;Wongsa, Sanit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11권2호
    • /
    • pp.185-197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 of axial stretching on large amplitude free vibration of an extensible suspended cable supported at the same level. The model formul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virtual work-energy functional of cables which involves strain energy due to axial stretching and work done by external forces. The difference in the Euler equations between equilibrium and motion states is considered. The resulting equations gover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motion of the cables, and are coupled and highly nonlinear. The solution for the nonlinear static equilibrium configuration is determined by the shooting method while the solution for the large amplitude free vibration is obtained by using the second-order central finite difference scheme with time integration. Numerical examples are given to demonstrate the vibration behaviour of extensible suspended cables.

사회복지사의 영성(Spiritualty)교육프로그램 참여 후 변화 경험 연구: 임상사목교육(CPE)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Spiritualty Education Program by Social Workers: focusing on CPE)

  • 김경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537-549
    • /
    • 2016
  • 사회복지사들의 소진 가능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직장 내 영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연구는 노인복지관에서 일하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영성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이후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노인복지관 3곳의 사회복지사 25명에게 12주에서 14주간 임상사목교육(Clinical Pastoral Education: CPE)이 실시되었다. 교육 종료 후 교육 참여자 24명과 4회의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CPE 교육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들에게는 개인적 차원에서(자기성찰의 일상화, 개인의 영성과 사회복지사의 영성의 통합, 자기비움과 이타성 추구), 실천 행위에 있어서(클라이언트의 개별성 인정, 해결책 제공의 강박관념에서 탈피, 공감적 경청 실천), 조직 내적 차원에서(끈끈한 동료의식의 생성, 수평적인 조직관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사회복지사 개인과 조직이 동시에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조직이 소속 사회복지사들의 개인적 영성의 발달을 돕고, 개인적 영성과 조직의 영성이 통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조직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임상한의학입문 역할을 반영한 원전학 수업 설계 (Curating the Korean Medical Classics Curriculum with a Focus on Its Introductory Role to Clinical Korean Medicine)

  • 조나영;조학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22
    • /
    • 2021
  • Objectives : A transition course of 'Introduction to Clinical Korean Medicine' was developed to meet the demands for better preparation for clinical application of Korean Medicine within the curriculum. A Korean Medical Classics curriculum reflecting such demands was newly designed. Methods : Based on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Medicine(ICM)' course of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that follows the medical education guideline, the 'Introduction to Clinical Korean Medicine(ICKM)' course was designed and developed. The role of Korean Medical Classics was suggested in the process. Results : In the following course, Korean Medical diagnosis, diagnostics, patient intake methods reflecting the Korean Medical diagnostic system, clinical skills, basic skills, treatment planning, patient education, etc. are included. Faculty members of the basic sectors of the Korean Medical school will participate in this curriculum, of which a head will be appointed to overlook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Korean Medical Classics, previous learning outcomes need to be reorganized based on clinical expression while clinical case studies need to be added to course material. A more active approach utilizing new pedagogic strategies and teaching methods should be taken. Conclusions : The Korean Medical Classics curriculum could effectively take on the introductory role to clinical Korean Medicine, successfully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basic and clinical Korean Medicine to improve learners' satisfaction.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향 고찰 - 초등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 (Improving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Earth and Universe" Units)

  • 유은정;박재용;이현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173-185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고시를 앞두고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중 지구와 우주 영역에 대해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구과학교육 전문가와 학교 현장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지구와 우주 영역 내용 요소와 내용 체계, 성취 기준과 탐구 활동 구성, 교육과정의 종적·횡적 연계성에 대해 FGI를 실시하였다. FGI를 통해 귀납적으로 도출한 개선 방향에 논리적 일관성을 확보하고자 자유 응답 문항과 가중치를 부여한 계층 분석 문항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초등 과학 지구와 우주 영역의 학년(군)별 단원 구성이 '지구계'의 각 권역별로 고르게 배분되어 있지 않고, 기초 개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내용과 기능을 중심으로 서술한 성취 기준은 과학과 핵심역량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도록 진술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탐구활동 유형과 학생 스스로 답을 찾는 과정이 포함되도록 탐구 활동을 구성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하였다. 계층 분석을 위한 문항에서는 내용 요소의 감축보다는 필수 내용 요소 포함, 흥미 중심의 현상 학습보다는 이해 중심의 개념 학습, 과목 간 통합 이전에 분과 기초 개념 학습, 학습 내용의 반복과 심화보다는 종적, 횡적 연계성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이 초등 과학 '지구와 우주' 영역과 관련된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비전이 다양한 교육 주체의 참여를 통한 의견 수렴이므로 추후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고려해야 할 여러 가지 의견 중 하나로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타원판에 의한 벡터 중력 및 중력 변화율 텐서 반응식 (The Expressions of Vector Gravity and Gravity Gradient Tensor due to an Elliptical Disk)

  • 임형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7권1호
    • /
    • pp.51-56
    • /
    • 2024
  • 논문에서는 타원판의 벡터 중력과 중력 변화율 텐서 반응식을 유도하였다. 타원판의 벡터 중력은 이중 적분으로 표현한 타원판에 의한 중력 퍼텐셜을 각 축 방향으로 미분하여 유도한다. 이중 적분으로 정의된 타원판에 의한 벡터 중력은 복소 그린 정리를 이용하여 타원판 경계를 따라 폐곡선의 선적분으로 변형한다. 최종적으로 타원판 경계를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1차원 수치적분을 통하여 타원판에 의한 벡터 중력을 유도한다. 타원판에 의한 중력 변화율 텐서의 xz, yz, zz성분은 타원판의 벡터 중력을 수직 방향으로 미분하여 구한다. xx, yy, xy성분은 이중 적분 형태의 벡터 중력의 수평 성분을 먼저 수평 방향으로 미분한 후 복소 그린 정리를 이용하여 유도한다.

직육면체 프리즘에 의한 중력, 자력, 중력 변화율 텐서 및 자력 변화율 텐서의 반응식 (The Closed-form Expressions of Gravity, Magnetic, Gravity Gradient Tensor, and Magnetic Gradient Tensor Due to a Rectangular Prism)

  • 임형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3권1호
    • /
    • pp.55-60
    • /
    • 2020
  • 직육면체 프리즘에 대한 중력, 자력, 중력 변화율 텐서 및 자력 변화율 텐서 반응식을 정리하였다. 직교 좌표계에서 직육면체 프리즘에 대한 삼중 적분으로 수직 중력을 유도하고, 직육면체의 축 방향 대칭성을 이용하여 순환 치환으로 두 개의 수평 중력 성분을 유도한다. 벡터 중력을 각 성분 별로 미분하여 중력 변화율 텐서를 유도한다. 포아송(Poisson) 관계식을 이용하면 일정한 방향으로 자화된 벡터 자력은 중력 변화율 텐서로부터 얻어진다. 벡터 자력을 각 방향으로 미분하여 최종적으로 자력 변화율 텐서를 유도하였다.

예비중등교사의 수학화 경험을 위한 교수단원의 설계: 수 분할 모델의 탐구 (A design of teaching units for experiencing mathematising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Inquiry into number partition models)

  • 김진환;박교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57-7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예비중등교사의 수학화 경험을 위해, 초보적인 상황의 문제를 기반으로 수를 분할하는 문제로 일반화하여, 수의 분할에 관한 일련의 문제 및 상황을 제공하는데 적절한 수 분할 모델을 고안하고, 그것을 탐구하는 교수단원 <분할 모델의 탐구>를 Wittmann의 교수단원 사상에 따라 설계한다. 이 연구에서 설계하는 <분할 모델의 탐구>는 (1) 실마리 문제 (2) 분할 관점에서의 통합 (3) 분할 모델의 정의 (4) 분할 모델을 활용한 탐구의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 교수단원이 예비중등수학 교사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수학화를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둘째, 예비교사들로 하여금 학교수학과 학문수학의 연결을 볼 수 있게 한다. 셋째, 에비교사들의 수학적 창의력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