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ney quality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1초

유과의 품질규격 유지를 위한 외형 정보 측정 시스템 설계 및 적용 연구 (System Design and Application of External Feature Extraction for Quality Maintenance of Yukwa)

  • 조성호;김태정;황헌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51-258
    • /
    • 2013
  • Korean oil and honey Yukwa has been paid attention as formal cake for traditional national seasons' holiday and religious service. Quality of Yukwa, however, has been maintained arbitrarily by each Yukwa manufacturer. Since even same Yukwa had severe differences in size, weight, and pattern, it has given the negative effect to the consumer. Yukwa industries need to setup the quantitative quality specifications instead of qualitative ones to maintain the uniformity of Yukwa quality. Efficient and economical inspection and process control system should be developed. In developing quality standards of Yukwa, features which can measure quality quantitatively in real time should be properly chosen. Existing quality features such as acidity, oxidization, hardness, viscosity, and texture were measur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base destructive methods. Many research and developments have been performed i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hemical transition states of those quality features as environment or storage condition changes. Most methods, however, require either off-line or complex treatment or time consuming process of analysis in evaluating quality features. Consumer, however, selects products mostly based on the external features such as shape, size, and color. Therefore, critical visual quality features should be chosen and the efficient real time measurement system must be developed. In this paper, computer image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were developed and software modules were developed to extract the quantitative data of those features in real-time. Computer image processing system will promote in maintaining uniform quality of Yukwa and establishing quality standards of Yukwa.

지황정과 제조 과정 중 졸임 횟수에 따른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hmannia glutinosa JungKwa during Preparation)

  • 김현정;민새롬;김미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2-69
    • /
    • 2014
  • Jungkwa is a traditional Korean dessert preserved in honey or sucr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hmannia glutinosa Jungkwa (RJ). RJ was prepared after six repeated cycles of boiling-cooling. After blanching fresh Rehmannia glutinosa (600 g) for 5 min at $100^{\circ}C$, Rehmannia glutinosa was boiled in sucrose syrup (sucrose 720 g in water 600 g) for 60 min and then cooled for 24 hr. Moisture, pH and color values of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in the Hunter color system of Jungkwa decreased as the number of boiling-cooling cycles increased, whereas acidity, $^{\circ}Brix$ and reducing sugar contents of syrup increased. Total phenol content increased in by the 6th boiling-cooling cycle. Antioxidant activities, including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in RJ by the 6th boiling-cooling cycle. Based on these result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Rehmannia radix Jungkwa was improved according to an increasing number of boiling-cooling cycles due to increased total phenol contents.

생강즙 및 집청이 약과의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ger and Soaking on the Lipid Oxidation in Yackwa)

  • 이주희;박금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3-97
    • /
    • 1995
  • 한국 고유의 후식인 약과에 생강즙을 첨가하여 관능검사와 저장에 의한 지방의 산패를 조사하였다. 생강즙의 첨가량은 밀가루 1cup에 0tea spoon(t.s)에서 2t.5이 반죽으로 가능하였으며, 질감, 모양, 색에서는 유의적인 치지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향 맛, 전체적인 선호 In에서 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생강즙 1t.5, 1.51 j, 2.0 1.5를 첨가한 약과들은 위의 세가지 평가 부문에j,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이들 사이에서는 향에 대한 평가만을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생강즙의 첨가는 튀김과 저장시 일어나는 지방산화를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이 효과는 생강즙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시럽이나 꿀로 집청하여 저장한 약과가 집청하지 않고 저장한 약과보다 지방의 산화가 억제되었다. 이 효과는 꿀로 집청한 약과가 시럽으로 집청한 약과보다 크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생강즙의 첨가와 시럽이나 꿀로 잡청함으로써 약과를 상온에서도 좋은 품질로 유지하면 서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본초연의》에 수록된 황납침(黃蠟沈)의 이명(異名)과 기원, 생성기전, 성상, 효능 (Synonyms, Origin, Formation mechanism, Description and Efficacy of Hwangnapchim in Elucidation of Materia Medica)

  • 하재진;김인락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29-36
    • /
    • 202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x the synonyms, origin, formation mechanism, description, and efficacy of Hwangnapchim in Elucidation of Materia Medica. Methods : Through searching histories and herbal classics, We categorized the contents, and compared with Aquilariae Lignum Resinatum. Results : The synonyms of Hwangnapchim were classified by 3 categories : Napchimhyang-type, Ganamhyang-type and Ginamhyang-type. In early period, it was called by Napchimhyang-type, named after its description that was similar to beeswax. Afterward it was called by Ganamhyang-type or Ginamhyang-type, because of the name "Kynam" that was called by in its producing region. And there were records of producing region of Vietnam, Cambodia, and being from abroad, while those of Vietnam were most frequent. According to custom duties of Ming Dynasty, Hwangnapchim was 17.5 times as expensive as Agarwood. Hwangnapchim shared main producing region, original plant, and process of formation with Agarwood. Therefore, its original plant was Aquilaria crassna, but added honey during formation process. Hwangnapchim was classified 5 types according to its description, the highest quality was Yu-gyeol, resembled beeswax, and easily recovered if get a scar. Hwangnapchim had a fragrance at room temperature, a spicy flavor, and the efficacy of blocking urine and fec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Vietnam was major producing area of Hwangnapchim, and that it shared same origin with Agarwood, but it had different description, efficacy, and higher prices because of being added honey during formation.

Maxent 모델을 이용한 호박벌과 양봉꿀벌의 수분 잠재환경 비교 분석 - 서울시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Pollination Potential Environment of Apis millifera and Bombus ignitus Using the Maxent Model - Focused on Seoul -)

  • 김윤호;조용현;배양섭;김태종;손인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5-36
    • /
    • 2021
  • The honey bee has a crucial ecological status for maintaining the natural ecology system. Pollination mediations by honey bees are recognized as an efficient way to enhance the quality of biological diversity and green areas in the nature and the urban ecological system. However, the population of bee around the world is decreasing and we do not know exactly how bees react to the physical environment in the urban area.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the improvement of pollination services in the Korean urban ecological system. It aims to induce and review environmental variables which have high relations with the activities of pollination mediation insects in the urban area. The study established a Maxent model using five urban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reflect the ecology of Bombus ignitus and the place information where Bombus ignitus appears in 18 spots of Seoul city, and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on Apis millifera. Bombus ignitus preferred places with more natural environments such as mountain forest areas and vicinities of streams. They preferred Stratified Tree Area the most among the vegetation types existing in the urban area. Comparing chicken models, both species saw their response value drop as the building coverage rose. In the case of Apis millifera and Bombus ignitus variables, the response value of both species was high in 10 out of 20 typ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pollination services in the Korean urban area an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materials for the future urban planning.

당종류와 최종가열온도가 다른 결착제로 제조한 찰현미 쌀엿강정의 물리화학적, 관능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Brown Waxy Rice Yetgangjeong Prepared Using Different Sugar Types of Binders and End Heating Temperature)

  • 노준희;김현진;최은옥;이경애;신말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63-471
    • /
    • 2014
  • Yetgangjeong is a traditional Korean rice cookie which used rice syrup (Chocheong) to bind fried rice grains. Brown waxy rice and binders prepared using different sugar types and end heating temperatures were assessed to improve the textural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and to promote global consumption. Binder was made by mixing different ratios of starch syrup, rice syrup, honey, sugar, and trehalose, and the binder mixture was heated up to a temperature of $100^{\circ}C$ or $105^{\circ}C$. Specific electrical conductivity of binder containing ST (starch syrup and trehalose) showed the lowest values (9.51 and 9.77), and binders containing the rice syrup showed increased values for specific electrical conductivity. The fructose content was higher in the binder mixture containing C (starch syrup and sugar) than in the binder mixture containing ST, but it did not affect the end temperature. Viscosity of the binder was 123.90-175.20 cP and the binder showed higher viscosity at the end heating temperature (EHT) of $100^{\circ}C$ compared at EHT of $105^{\circ}C$. The fracturability of brown rice yetgangjeong prepared using different sugar types was higher at EHT of $100^{\circ}C$ than at that of $105^{\circ}C$ and it was reduced with an increase in the rice syrup content. However, the hardness of yetgangjeong was lower at $100^{\circ}C$, unlike fracturability. With respect to sensory evaluation, its moistness and stickiness decreased, but the crunchiness increased with addition of trehalose instead of sucrose. The overall eating quality score of yetgangjeong was higher at EHT of $105^{\circ}C$ than at that of $100^{\circ}C$ in every experiment and the highest score was found for SHT (starch syrup, honey and trehalose) with 20% rice syrup at EHT of $105^{\circ}C$ (20%RSHT105 (starch syrup, honey, and trehalose containing 20% rice syrup)).

수밀력 우수 꿀벌 계통 판별을 위한 계통 특이 분자마커 개발 (Identification of a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 for the Detection of Enhanced Honey Production in Hoenybee)

  • 김혜경;이명렬;이만영;최용수;김동원;강아랑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47-154
    • /
    • 2017
  • 꿀벌은 화분매개 뿐만 아니라, 양봉산물을 생산하는 주요한 산업곤충 중 하나이다. 최근 농촌진흥청과 예천곤충 연구소에서는 국내 최초로 수밀력 우수 꿀벌 품종인 '장원벌'을 선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원벌 계통 특이 분자 마커 개발을 위해 장원벌 부계인 D계통 특이적인 분자 마커를 개발 하고자 Sequence-Based Genotyping (SBG) 분석을 수행하였다. SGB 분석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보존 육성중인 A, C, D, E, F 5개 기본종 계통에 대해 수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1,029개 SNP를 확보 할 수 있었다. 이후 A, C, D, F, E 기본종 계통 및 $D{\times}F$ 교배계통에 대한 SNP filtering 및 validation을 통해 최종적으로 AmD6 및 AmD9 두 개의 SNP 마커를 선발 하였으며, genotyping 분석을 통해 AmD9 마커가 장원벌 부계인 D 계통을 100% 구분 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마커를 통해 D 계통 및 장원벌을 보다 정확하게 판별하고 육종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벌꿀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의 간단지표로서의 400 nm 흡광도 (Absorbance as Simple Indicator for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ney)

  • 표수진;김종식;이동희;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55-56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다양한 지역(강원, 경기, 경남, 경북, 광주, 대구, 대전, 부산, 울산, 전남, 전북, 충남, 충북의 66개 시군), 다양한 밀원(밤꿀 41종, 아카시아꿀 42종, 때죽꿀 5종 및 잡화꿀 62종)에서 2018년 생산된 150종 벌꿀의 유용성분, 항산화 활성 및 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하고 분석인자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벌꿀의 성분 및 생리활성은 밀원에 의해 차별화되며, 양봉농가 및 지역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벌꿀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분석 결과, 밤꿀에서 가장 높은 88.6±29.8 및 1.2±0.82 mg/100 g을 나타내었다. 반면, 단백질 함량은 때죽꿀에서 가장 높은 21.2±5.1 mg/100 g을 나타내었으며, 400 nm에서의 흡광도는 밤꿀에서 0.161±0.044의 흡광도를 나타내어 다른 여타의 꿀보다 확연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모든 벌꿀 시료는 1 mg/ml 농도까지 적혈구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DPPH, ABTS, nitrite 소거능 및 환원력 평가 결과 밤꿀에서 우수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분석인자간의 상관성을 계산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과 ABTS 양이온 소거능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0.726)가 확인되었으며, 400 nm 흡광도는 폴리페놀 함량과 0.644, ABTS 소거능과 0.661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2017년 및 2018년 벌꿀의 품질인자간 상관관계 비교 결과, 벌꿀 종류 및 채취 년도에 따라 유용성분 및 항산화 활성간의 상관계수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400 nm 흡광도 측정은 간편하고 경제적인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평가법으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현재 밀원별 벌꿀의 폴리페놀 성분에 대한 분석 연구 및 400 nm 흡광 물질 분석이 진행 중에 있다.

착과방법이 참외의 착과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lination Method on Fruit Setting and Quality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박소득;김주환;김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3-88
    • /
    • 2005
  • 참외 착과 생력화 및 품질향상을 위하여 사계절꿀참외에 성주토좌호박을 합접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와 착과제 처리구를 비교하였다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 비하여 착과제 처리구에서 과중이 무겁고 과육두께가 두꺼운 경향이었으나 당도 및 경도는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2월 하순부터 3월 상순까지의 착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의 $95\%$에 비하여 꿀벌은 $46\%$, 호박벌은 $45\%$로 착과율이 낮았으나, 3월 중순부터는 꿀벌, 호박벌 방사구 및 착과제 처리구 공히 착과율이 $98\%$이상으로 높아 참외 시설재배시 벌을 이용한 착과 시기는 3월 중순이후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과실의 색도는 착과제 처리구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우수한 경향이었으며 특히 a값이 높았다. 발효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의 $28.1\%$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각각 $95\%,\;9.1\%$천 매우 낮았으며, 백립중은 착과제 처리구의 0.08g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각각 0.17g, 0.15g으로 무거워 백립중이 무거우면 무거울수록 발효과율이 감소하였다. 기형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다소 높았으나 상품과율은 착과제 처리구의 $62.5\%$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각각 $82\%$$80.3\%$로 높았다. 과실의 감모율을 조사한 결과, 착과제 처리구에 비하여 꿀벌 및 호박벌 방사구에서 수확한 과실의 감모율이 적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꿀벌 및 호박벌의 도입으로 참외 착과 생력화가 가능하고 품질향상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포장재 종류별로 포장재가 두꺼울수록 greening의 진행이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Greening을 수치화 할 수 있는 엽록소 함량은 역시 저장온도가 낮은 $1^{\circ}C$$10^{\circ}C$보다 낮았고, 역시 이산화탄소 농도가 가장 높았던 50um LDPE필름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는데 포장재 내부의 이산화탄소 함량과 총 엽록소 함량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상관계수(r)가 $1^{\circ}C$에서 0.926 $10^{\circ}C$에서는 0.997로 고도의 상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Greening을 제외한 외관상 품질은 저온인 $1^{\circ}C$에서 높게 유지되었고 포장재별로는 $1^{\circ}C$에서는 50um LDPE 필름이 $10^{\circ}C$에서는 25um LDPE필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비타민 C 함량도 저온에서 높게 유지되었으며 필름종류별로는 25um와 50um LDPE 필름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치콘의 저장 및 유통시 $1^{\circ}C$에서는 50um LDPE 필름이 $10^{\circ}C$에서는 25um LDPE 필름이 포장재로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약간의 빛으로 greening이 급격히 진행되므로 판매과정에서 암조건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따라서 우리나라 집단급식소의 위생관리 실태를 완전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자들이 급식소의 위생관리 실태조사에 참여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에틸포메이트의 비표적생물에 대한 급성독성 및 sodium silicate의 약해저감 효과 (Acute toxicity of ethyl formate to nontarget organisms and reduction effect of sodium silicate on ethyl formate-induced phytotoxicity)

  • 김경남;이유빈;김유림;김동현;김채은;조예린;박준영;유용하;이병호;이성은
    • 환경생물
    • /
    • 제41권3호
    • /
    • pp.193-203
    • /
    • 2023
  • 에틸포메이트(Ethyl formate)는 자연상에서 발생되는 천연살충제로서 훈증방식으로 검역단계에서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해충의 방제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메틸브로마이드의 대체제로서 주로 사용되며 인축에 독성이 약하고 식물에 대한 약해가 적다. 이러한 에틸포메이트를 농업해충방제를 훈증제로 사용하기 전에 유용생물체에 대한 독성과 수박, 애호박, 참외에 대한 식물독성 및 발생한 식물독성의 저감화 방안을 강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에틸포메이트 2시간 훈증처리 후 지렁이, 꿀벌, 누에에 대한 LC50 값은 각각 39.9, 7.09, 17.9 g m-3였다. EF에 대한 감수성 정도는 LC50 값 기준 지렁이, 누에, 꿀벌 순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에틸포메이트 훈증처리는 꿀벌에 대하여 강한 독성을 유발하였다. 식물독성은 7.5 g m-3 농도로 처리된 수박 잎에서 관찰되었으며 10.0 g m-3 농도로 처리 시 수박 잎의 가장자리는 까맣게 타들어 가는 산에 의한 약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다른 박과 식물인 애호박 및 참외에는 10 g m-3 농도처리 시 잎에 강한 약해를 보였고 이를 저감하기 위하여 사용된 sodium silicate는 10% 및 20% 처리 시 약해의 저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에틸포메이트 훈증처리 시 비표적생물에 대한 급성독성연구와 대상작물의 약해발생을 저감하는 연구는 에틸포메이트의 효율적인 농업해충 방제를 위한 중요한 결과를 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