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conomics textbook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8초

소셜 네트워크 분석(SNA)을 이용한 실과(기술·가정)교육 분야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 Analysis on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김은정;이윤정;김지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6호
    • /
    • pp.603-617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Practical Arts (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From 958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8 i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JKPA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JHEEA), and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KJTEA), 958 keyword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using NetMiner 4. When the general network structure was analyzed, keywords such as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students were high in the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and textbook,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student,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invention were high in the node betweenness centrality. The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a four-cluster solution was most appropriate: cluster 1, technology and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cluster 2, curriculum studies and practical problem; cluster 3, relationships; and cluster 4,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three journals showed differences in the knowledge network structure: The topics of JKPAE and JKHEEA focused on general content knowledge and curriculum, while the topics of KJTEA were spread across invention and creativity education, and curriculum studies.

2009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2'의 가정생활영역에 나타난 Noddings의 행복 교육 활성화 요소 분석 (An Analysis on the Elements of Activating Happiness Education Suggested by Noddings Reflected in the Home Economics Par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Volume 2 of 2009 Curriculum Revision)

  • 이연숙;유세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91-112
    • /
    • 2014
  • 연구는 Noddings가 제안하는 행복교육 활성화 영역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요소를 추출하고, 이러한 요소가 2009개정교육과정의 중학교 '기술 가정 2'의 가정생활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단원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도 되었다. 분석대상이 된 교과서는 M 출판사 교과서이며 분석대상 교과서의 구성 체제 요소는 대단원 도입, 중단원 도입, 소단원 도입, 목표 진술, 본문 진술, 활동과제, 표/그림/사진, 보충 및 심화 학습자료, 중단원 및 대단원 마무리 부분이다. 교과서 분석 시 반영 여부 판단 Noddings 저서에서 사용된 '단어', '개념', '관점', '내용진술', '절차'와 교과서의 여러 구성체제의 요소가 어떻게 유사한가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단원마다 행복교육 활성화 영역을 반영하는 비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단원이 반영 비율이 가장 높았고, '진로와 생애설계'단원이 반영 비율이 가장 낮았다. 둘째, '기술 가정 1'과 '기술 가정 2'의 가정생활 영역 단원 모두 행복경험 활성화를 위해 Noddings가 제안하는 개인 생활영역 및 공적 생활영역의 요소가 반영되었지만, 개인 생활영역과 관련된 요소가 공적 생활영역과 관련된 요소 보다 좀 더 높게 반영되어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의 구성 체제 요소의 모든 부분에 Noddings가 제안하는 행복교육 활성화 영역들이 대부분 반영되었지만, 특히 도입, 수업목표, 본문진술, 표/그림/사진 자료에서 행복교육 활성화 영역의 세부요소를 반영하는 비율이 좀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중학교 가정과 학습내용에 대한 예비중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Recognition of Contents in Home Economics Subject among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 황선화;정영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5-50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degrees of contents in Home Economics textbook for middle school students among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t is for developing better Home Economics textbook. Thre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 1) To find the recognition degrees of the fact that Home Economics subject is supposed to utilize for not only girls, but boys students in middle schools in 1996 among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2) To find the degrees of necessity in each field of Home Economics subject among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3) To find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degrees of understandings, attitudes, and sills of Home Economics subject between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tilized to 1,205 sixth grad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Pus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1) It was low that the recognition degrees of the fact that Home Economics subject is supposed to utilize for both girls and boys in middle school among both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is result implies that it is important to important to disseminate the curriculum change in Home Economics practice to the public. 2) It was high that the recognition degree of necessity in each field of Home Economics subject among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recognition degree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is , $\circled1$the recognition degrees of students were lower than their parents; $\circled2$ the recognition degrees of parents who have high education were higher than those who have low education ; $\circled3$ the recognition degree of an environmental field was highest. 3)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pre-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the recognition degrees of understandings, attitudes, and skills of Home Economics subjects: The recognition degrees of girls fathers showed higher scores than boys fathers those of in understandings and skills of Home Economics subject. The recognition degrees of girls father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of girls in attitudes of Home Economics subject.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핵심개념 '관계' 단원에 구현된 교과역량 분석 (Analyses of Subject Competencies of the Units Related to Core Concept 'Relation'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Curriculum)

  • 김수민;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역량 '실천적문제해결능력'과 '관계형성능력'의 분석준거를 설정하고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서의 핵심개념 '관계' 관련 단원을 분석준거에 따라 분석하는 데 있다. 12종 출판사의 중학교 '기술·가정 2' 교과서의 핵심개념 '관계' 관련 단원에서 활동과제를 중심으로 개발된 분석 준거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 구현된 교과역량이 출판사별로 차이가 많았다. '실천적문제해결능력'은 A교과서, E교과서와 G교과서가 높게 나타났고 반면 D교과서의 빈도가 가장 낮았다. '관계형성능력'은 K교과서, A교과서가 높게 나타났고 가장 낮은 빈도를 보인 것은 J교과서였다. 둘째, '실천적문제해결능력'과 '관계형성능력'의 역량별 하위요소 중심으로 12종 교과서 전체의 활동과제들을 살펴보면, 우선 '실천적문제해결능력'의 가치판단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이어서 논리적 사고, 실천적 추론, 의사결정 등으로 나타났다. '관계형성능력'에서는 가족관계와 공동체의식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의사소통, 갈등관리, 타인존중 등의 순으로 나타났지만, 환경 및 생태의식은 구현되지 않았다. 이와 같이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12종 교과서의 핵심개념 '관계' 관련 단원은 교육과정의 세부목표에서 제시된 두 교과역량을 대체로 구현하고 있다.

초.중학교 실과(기술.가정)교과서의 가족관련 단원 내용 비교분석: 구조기능론과 건강가정 관점에서 (A Content Analysis of the Family-related Uni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Practical Arts.Home Economics Textbooks :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Structural Functionalism and Healthy Family)

  • 김자영;조병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37-153
    • /
    • 2008
  •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within the 7th Curriculum from two theoretical Perspectives: structural functionalism and healthy family. A quantitative and in-depth content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the five elements of family structure, family role, family relation, communication, dating and pregnancy. A healthy family Perspective was found in relation to the elements of family type and family role from the in-depth analysis of the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the five elements reflected a strong structural-functionalist tendency. In both levels, the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a structural-functionalist viewpoint was prevalent in the graphical components of the textbooks, including pictures, diagrams and graphs.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부모됨의 준비에 관한 내용분석: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함의 (Content Analysis of 'Preparing for Parenthood' Chapter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Implications for Pre-Parent Education Aimed at Adolescents)

  • 김소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73-90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ays to implement pre-parent education for adolescents in regular classes at school. This was achieved by investigating whether the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igh-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reflected the goals of pre-parent education. The main texts and activities of chapters with 'preparing for parenthood' in the title from 12 high-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textbooks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three pre-parent education goals of developing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parenthood, learning parenting knowledge and skills, and reinforcing parental capac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xtbook contents and activities reflected the three goals of pre-parent education in a balanced manner. Second, both the contents and activities of textbooks tried to motivate students to perceive parenthood and parenting through reflection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own parents. Third, because the textbooks encouraged students to consider parenthood and parenting, they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undertaking pre-parent education to reinforce their parental capacities. Using such textbooks in regular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lasses is expected to provide students with an opportunity to consider parenthood and shape their perceptions and attitudes accordingly, thereby allowing adolescents to prepare themselves for parenthood and become good parents.

중등학교 가정과 실험학습 교구.설비기준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eria Appropriateness of Experimental Materials & Facilities in Home Economics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 강혜숙;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1-85
    • /
    • 1993
  • Because of the specificity of subjects belong to middle school curriculum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f function training is very important. but it pointed out that the existing standards are out-dated, and because of it , it incongruent to our realities. Therefore, whenever the curriculum o education and the national textbook are reorgrnized periodically, the reform of standards of educational materials & facilities must be followed by it. But in my opinion, in korean middle school, especially in Home Economics Education, educational facilities are not reformed at a proper time. Therefore to enhance the qualities of experimentation/practi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the first place, the preparation for the given conditions of standards of educational materials & facilities are needed. But the educational faciliti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ave many problem not only in the qualitative aspect but also in the quantitative aspect. And in addition to it, lost of educational facilities which cannot match contents of national textbook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exist. Therefore this thesis aims at examining comprehensively the problem of experimentation /practice of experimental materials & faciliti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onnect with content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olding several problems of experimentation/practi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in middle school, grouping ; the principles and ways concerning the innovation experimental materials & facilitie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by which many teachers and students make sure of more efficient teaching/studying, and obtaining basic data which guarantee the ability of innovation concerning problems of the education of experimentation/practi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Method are : 1)grasp our educational realities with my original(question). 2)Integrate/analyse results of 1) 3)check the frequency, percentage with methods of X$^2$-test,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s’. 4)suggest my own alternative proposal.

  • PDF

중학교 가정 교과 교과서와 타 교과 교과서 '가족생활' 영역의 중복성 분석 - 2009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The analyses of duplicated contents of 'Family life' unit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 김엘리;유난숙;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5-10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에 따라 집필된 가정 교과서의 '가족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가정 교과와 타 교과 교과서와의 비교를 통해 중복되는 내용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가정 I II" 교과서와" 도덕 I II", "사회 I II", "과학 I II III", "체육" 교과서를 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2009 개정 교육과 정 중학교 "가정 I II" 교과서의 '가족생활' 영역과 타 교과 교과서와의 중복 내용은 "도덕"교과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과학", "체육", "사회" 교과 순이었다. "도덕"교과서는 "가정" 교과서의 가족생활 영역과 전 단원에 걸쳐 중복된 내용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가정" 교과서와 중복된 내용으로 "과학"과 "체육"은 내용요소 '인간 발달 과정' 중 '청소년의 성적 발달' 내용이었고,"사회"는 '인간발달의 이해' 중 '청소년의 정서 사회적 발달'에 대한 내용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가정"교과의 '가족생활' 영역과 "과학", "체육", "사회" 교과가 중복된 내용이 있었으나 가정교과가 타 교과에 비해서 건강한 개인 및 가정생활 영위라는 목표 하에 포괄적인 내용을 제시하였으며 도덕, 사회, 체육과는 달리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구체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실천을 유도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족생활' 영역에 대한 수업은 가정 교과를 중심으로 도덕, 과학, 체육, 사회 교과의 중복된 내용에 대해서 학년별 연계를 파악하고 융합하여 수업한다면 보다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일본 중등학교 가정교과서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분석 (Content Analyses of Housing Unit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in Japan)

  • 장상옥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5-183
    • /
    • 2010
  • 본 연구는 일본 중등학교 가정 교과서 주생활영역 교육내용 분석을 통하여 우리의 가정 교과서 주생활영역 집필, 내용 수시보완 및 교육내용 재구성 시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대상은 현재 사용되는 2009년판 중학교의 '기술 가정' 교과서 '가정분야' 2종과 고등학교의 '가정총합' 6종이며, 분석내용은 외형체제, 본문내용, 용어해설, 읽기자료, 표자료 및 활동자료의 내용이었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을 학교급의 증가에 따라 학습의 연계성을 갖고 계통성 있게 심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주생활영역의 학습목표를 학생들에게 명확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개정되는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가정교과서의 주생활영역은 학년별, 학교급별로 교육내용의 연계성을 갖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2009년 교육과정에 제시된 한 시점에 집중이수하는 방식은 교육효과가 낮을 것이므로 교육과정의 검토가 요망된다. 둘째,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구성 시 관점은 생활의 주체인 개인이나 가족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근접환경, 광역환경 차원을 반영하여 학습자가 자신과 사회와의 관계를 중시하고, 지구환경을 생각하며,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셋째, 주생활영역의 교육내용 구성 시 수준은 학교급별 이해수준을 감안하여 이해도가 낮은 중학교에는 실험이나 실습과 같은 체험활동을 포함하고, 고등학교에는 스스로 문제를 연구하고 실생활에 적용하며 실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PDF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mart education programs on clothing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김영애;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5-172
    • /
    • 2013
  • 본 연구는 가정교과 의생활 영역의 여러 가지 주제 중에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영역 교육프로그램에 적절한 주제를 선정하여, 선정된 주제를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섬유의 종류와 특징'을 주제로 자기주도적 지능형 맞춤학습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위해 연구자가 디지털교과서를 제작하였으며 이를 학생들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의복 재활용'을 주제로 소통을 위한 협력 학습 모형을 설계하였으며 구글 문서도구와 페이스북을 통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협력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문가들로부터 평가를 받았는데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다양한 평가 영역을 제외하고는 5점 만점에서 모두 4.5 이상을 받았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스마트교육을 기반으로 한 의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이 소통하고 공유하며, 협업 능력 및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