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me Economics, HE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4초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s applied Problem Based Learning focusing on 'food and nutrition' unit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김윤주;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9-56
    • /
    • 2018
  • 최근 일반교육 교육과정을 통해 장애학생의 성인생활 자립 역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반교과인 가정교과는 사명지향적인 학문으로써 장애학생들의 개인생활과 가정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가정교과에서 식생활 교육은 학생들의 자립성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면서 식생활 교육과 식생활 연구가 부족한 특수교육 상황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수업을 실행한 후 이 수업이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단일 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학과정에 다니는 학생 6명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이들 학생들에게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을 6차시 실행한 후 이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1~3차시 주제는 식품 선택과 보관방법이고, 4차시 주제는 샌드위치 재료를 구입하여 보관하는 것이며, 그리고 5~6차시 주제는 샌드위치를 만들어 선물하는 것이다.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PBL 적용 가정과 식생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기 위해서 먼저 학생의 흥미를 유발하며 실생활에서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개발하였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 수업 과정과 학습 자료를 제작한 후 가정교육학 교수 1인과 특수교육 전문가인 교사 3인으로부터 선정된 문제와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의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수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측정도구는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 평가 도구, 문제해결력 관찰 평가와 학생용 자기평가 도구, 학생 수업만족도 평가지, 교사의 수업행동 평가지, 수업 관찰 일지로 구성되며 이 도구들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을 받은 6명 학생 모두가 100점 만점인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 점수에서 사전보다 사후에서 평균 30점 높아졌고 14점 만점인 문제해결력 점수는 사전보다 사후에서 평균 5점 더 높아졌다. 따라서 이 수업은 지적장애 학생들의 식품 선택과 보관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효과를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지적장애 학생들은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시간에 열심히 참여하였으며 이 수업에 만족감을 느꼈다. 특수교육 전문가인 교사 3인은 이 수업에 대해서 실습을 위한 수업 준비 시간이 오래 걸린 점이 다소 아쉬웠지만 교수·학습 과정안이 타당하게 철저히 준비되었고 학생 간 상호작용이 적절하였으며 문제중심학습 수업 흐름에 맞는 진행을 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은 지적장애 학생들이 식품 선택과 보관부터 안전하고 건강한 음식을 만드는 종합적인 식생활 기술을 습득하여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식생활 관련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전국의 특수학교의 장애학생들에게 PBL을 적용한 가정과 식생활 수업뿐만 아니라 의생활, 주생활, 소비생활, 아동·가족생활, 자원관리 전 영역을 다루는 가정교과가 특수학교에서 정식교과로 도입되기를 제언한다.

의복과 인물이 첫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erson ana Costum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First Impression)

  • 이인자;송선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38
    • /
    • 1982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person and costume on the formation of first impression. 4 Models were choosen who had sporty, intellectual, social and cute impression. Tried on them sporty, intellectual, social and cute costumes, 16 pictures of them were taken four ty four method, and those were shown to 640 college girl students in Seoul to check the change of imp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sporty costume to he perceived as sporty than either the social or intellectual and cute costume. 2) The social person to he perceived as social than either the sporty on intellectual and cute person. 3) The intellectual costume to be perceived as intellectual than either the sporty or social & cute costume. 4) The cute costume to be perceived as cute than either the sporty or social and intellectual costume.

  • PDF

Jean Paul Gaultier의 Haute Couture 작품에 표현된 미적 특성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in Jean Paul Gaultier's Haute Couture Work)

  • 김선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9
    • /
    • 2006
  • This study examines the 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haute couture work of Jean Paul Gaultier, who represents the fashion in France and is famous for avant-garde and experimental works through dismantling, from the first haute couture collection in 1997 to the present. The materials for the study are the precedent studies, the related literature, and the photographs of the works and the interview articl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fashion journals. Three characteristics are revealed in his works. First of all, he provided a transcendental fashion different from the established wearing or ornamental ways by dismantling the dichotomies between male and female, time and space, and beauty and ugliness. Second, he reflected the decadent beauty recognized as representing women's sexual and provocative expression based on exposure, suppression, perversion, and grotesque manifestations by shaping an esthetic value within a different point of view. Finally, he was characterized as being transcendental with an eclectic fusion of intercultural differences or dynamics, items in costume formation, time and space, and eastern and western. This transcendental expression, Gaultier's desire for creativeness, can be an ideal characterizing this era.

식생활 기명.기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itchen utensils)

  • 정경예;이효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9-124
    • /
    • 1994
  • The kitchen utensils, a part of dietary life, are tableware and everything needed for cooking, storing foods, arranging and housekeeping. This study has been made on the classification in comparison with utility regarding both the shape and the quality of material. The classifications by the quality of material were ceramicware, woodenware, metalware and stoneware. he classifications by the utility were utensils for cooking, utensils for storing and keeping, utensils for arranging, utensils for grinding and utensils for special use. At the stage of migrating and gathering provisions they needed only simple utensils, but by cultivating, fixing their residence and producing crops they prepared and developed all sorts of kitchen utensils to serve various purposes, social rank, poverty and wealth, season and ceremony.

  • PDF

부친부재가 자녀의 성장에 끼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ther Absence on the Child Development)

  • 이정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5-93
    • /
    • 1979
  • 1. Partly because of Freud's greatemphaiss on the important of the child's successful weathering of the oedipal crisis and on the need to home both parents present if that period is to be successfully resolved, there has been a good deal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absent father on the child's development. 2. Compared with boys whose fathers remained at home, boys were more immature and less secure in identification with their fathers. Some evidence suggests that father-absent children, particullarly boys suffer unusual difficulties in social relations wit their peers. 3. Emphasis on family quality , harmony, or climate as more important than father's absence, person is another recurrent finding among studies that attempt to analzed family factors in relation to juvenile deliquency. 4. The fatherless boys were more often judged to be anxious about sex and to be more effminated. 5. The sex-role problems of the boy without a father probably refect a number of factors, obviously they relate in part to the simple fact that he has not had a man around to provide a model of maliness. 6. Father is important to a girl's sex-role development not only because he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sex typing but also because he provides her with an opportunity to relate intimately to a man and to learn what it is like to invest emotionally in a male. 7. It is conceivable that children of broken marriages are more sensitive to martial problems and more ready than others to end an unhealthy relationship ; 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y are less likely to enter into a healthy one. 8. In some cultures it simply reflects the extreme amount of intimacy mother has with her son as compared with the amount of time compared with the amount of time father has available to spend with him.

  • PDF

고등학교 가정과학의 운영실태 및 교과에 대한 담당교사들의 인식 -부산시, 울산시, 경남지역 일반계 고등학교 가정과학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The Current Practice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Highschool Home Economics Education -Focusing on Busan, Ulsan and Kyoungnam Area-)

  • 김상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61-77
    • /
    • 2005
  • 본 연구는 부산시, 울산시, 경남지역에 소재하는 일반계 고등학교 중 여자고등학교와 남녀공학에 근무하는 가정과학 담당 교사 70명을 대상으로 가정과학의 운영실태와 교과에 대한 인식을 통하여 향후의 수시개정에 대비하고 보다 바람직한 가정과학의 교육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2004년 10월 20일$\~$11월 26일까지에 걸쳐 조사대상학교로 설문지를 우송하는 우편설문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보면, 가정과학은 여고일수록 총학급 규모가 클수록 가정과학을 이수하고 있었으며, 근무교사 수도 많았다. 수업내용으로 다루고자 하는 영역을 살펴보면, $70\%$의 교사들이 4-5개 대영역을 선택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가족생활과 식생활 영역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였다. 가정과학의 수업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은 학생들의 흥미부족과 참고서 부족으로 나타났다. 가정과학 고과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들은 가정과학이 기술${\cdot}$가정과는 연계성이 높다고 보고 있었으며, 교과목 표면에서 진로와 직업탐색에서 취약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가정과학의 교과내용에 대한 필요도는 전반적으로 높게 인식되었으나, 교사들이 본 학생들의 흥미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특히 가족생활과 식생활 영역에 관해서는 필요도와 흥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기능을 많이 다루는 의생활과 주생활 영역에서는 필요도와 흥미도가 낮게 나타났다. 미래 요구도 면에서는 교과내용의 전반에 걸쳐서 다소의 수정/개선과 강화가 요구되고 있었는데, 그 중에서도 '소비자역할과 보호' 및 '가족의 영양과 건강' 에 대해서는 강화, '편물과 자수', '의복의 디자인과 제작'은 내용적 축소가 요구되고 있었다. 향후 추가되어야 할 내용으로는 최근의 가정 및 사회의 변화 현상을 반영할 필요가 제기되었고, 교사들은 가정과학이 지닌 문제점으로 교과내용의 과다, 중복, 진부성, 심화수준의 불충분함 등을 지적하고 있었다.

  • PDF

단식(斷食)이 고탄수화물(高炭水化物) 고단백(高蛋白) 고지방식이(高脂肪食餌)로 성장(成長)한 흰쥐의 체구성(體構成) 성분(成分)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tarvation on Body Composition in Rats Previously Fed with High Carbohydrate, High Protein, or High Fat Diet)

  • 전연숙;나혜복;김경아;김미경;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2호
    • /
    • pp.35-43
    • /
    • 1977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by the body composition in 4 groups of Sprague-Dawley rats during starvation previously fed with standard, high Carbohydrate, high protein or high fat diet. A) In different internal organs and skeletal muscles, the weights were differently reduced during starvation. Especially the weight reduction of liver was the highest level at $50{\sim}70%$, and adrenal gland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death due to starvation, body weight decreased morethan 40% comparing to the initial body weight and epididmal fat pads disap peared completely. B) In rats starved to death,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 were following; lipid content was markedly reduced, while protein was similar to that of zero day starvation, ash increased slightly and water content increased. C) Five days starvation did not change body composition and body weight significantly. D) Effects of succeeding starvation after feeding 4 different diets were not significant, and it seemed that 4 different diets did not affect life span due to starvation.

  • PDF

가정과 교육과정에 담긴 사회정서학습 요소 및 시사점 (Elements and Implications of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in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 조현섭;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34
    • /
    • 2023
  • 본 연구는 청소년기 학생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과 건강한 관계를 맺으며 건강한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이론적 관점으로서 사회정서학습(SEL)에 주목하여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사회정서학습의 의미와 핵심역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정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교과 역량,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성취기준에 사회정서학습의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한 시사점은 첫째, 학교 현장에서 따로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을 도입하지 않아도 가정과수업의 명시적 교육을 통해 사회정서학습 핵심역량이 충분히 함양될 수 있다. 둘째, 가정과교육은 실천을 강조하는 교과이기 때문에 사회정서학습의 역량들을 학교 밖에서의 실제적 삶과 연계하여 적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정서학습의 최종목표인 부모와 가정과의 연계를 중시하고 건강하고 안전하며 정의로운 커뮤니티 형성은 가정과교육의 목표와 유사성이 높으므로 가정과교육을 통해 사회정서학습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

가정과 교사의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관심과 실행에 대한 인식 - CBAM 모형에 기초하여- (Home Economics teachers' concern o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Home Economics classes: Based on the concerns based adoption model(CBAM))

  • 이인숙;박미정;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7-134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에서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그리고 실행 실태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의 중학교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체계적 표집과 편의 표집을 하여 우편과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된 187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도구는 주로 Hall(1987)이 개발한 혁신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 수준에 대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그 외는 선행연구를 기초하여 개발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자료는 SPSS/window(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관심 단계는 정보적 관심 단계(85.51)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개인적 관심 단계(85.18), 운영적 관심 단계(81.88), 지각적 관심 단계(82.15), 강화적 관심 단계(68.80), 협동적 관심 단계(61.97), 그리고 결과적 관심단계(59.76)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 수준은 기계적 실행 수준(수준 3; 21.4%)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탐색 수준(수준 1; 20.9%), 정교화 수준(수준 5; 17.1%), 사용하지 않는 수준(수준 0; 15.0%), 준비 수준(수준 2; 10.2%), 통합 수준(수준 6; 5.9%), 갱신 수준(수준 7; 4.8%), 일상화 수준(수준 4; 4.8%) 순이었다. 셋째,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실행 실태를 조사한 결과, 반 이상의 가정과 교사(56.1%)는 가정과 수업에서 인성 교육에 치중하고 있으며, 31.0%의 교사는 창의 인성 교육을 모두 실행한다고 응답하였다. 반면 소수의 교사(6.4%)는 창의성 교육을 실행한다고 응답하였고 같은 수의 교사(6.4%)는 창의성과 인성 교육 어느 것도 실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가정과 교사의 창의 인성 교육 요소의 실행 정도를 조사한 결과, 창의 인성 교육 요소의 실행은 평균은 5점 만점에서 3.76이었고 창의성 요소의 평균은 3.59, 인성 요소의 평균은 3.94로 보통보다 높았다. 창의성 교육 요소의 실행 정도에 대해서, 개방성/민감성(3.97)을 가장 많이 실행하였고 다음으로 문제해결능력(3.79), 호기심/흥미(3.73), 비판적 사고(3.68), 논리/분석적 사고(3.63), 문제발견능력(3.61), 독창성(3.57), 유추성(3.47), 유창성/융통성(3.46), 정교성(3.46), 상상력(3.37), 몰입/공감(3.37)의 순으로 실행하였다. 인성 교육 요소는 실천력(4.07)을 가장 많이 실행하였고, 다음으로 협동/배려/공정(4.06), 자기관리능력(4.04), 시민의식(4.04), 진로개발능력(4.03), 환경친화능력(3.95), 책임(감)/소유(3.94), 의사결정능력(3.89), 신뢰/정직/약속(3.88), 자율성(3.86), 글로벌역량(3.55)의 순으로 실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 인성 교육을 실행할 때 어려운 점으로, 많은 가정과 교사(64.71%)는 창의 인성 교육을 실행할 수업 자료가 부족한 데 있다고 하였으며, 40.11%의 교사는 창의 인성 교육의 연수 기회가 적은데 있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38.50%의 가정과 교사는 창의 인성 교육에 대한 평가 기준을 설정하거나 평가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25.67%의 교사는 창의 인성 교육 방법을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창의 인성 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해서, '창의 인성 교육과 관련된 학생들의 체험활동의 확대'(4.34), '창의성과 인성을 중시하는 가정과 수업 문화 조성'(4.29), '학생 발달 단계에 적합한 창의 인성 교육 내용'(4.27), '창의 인성 교육을 담당할 교수 인력 확보'(4.21), '창의 인성 교육의 개념과 가치 확립'(4.09), '지역 사회 기업 등과 연계한 창의 인성 교육 추진'(3.94)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 PDF

학교 교육과정에서 행복개념의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 기술.가정교과에서 행복역량강화를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Happiness in the School Curriculum - Focusing to enhance Capabilities of Happiness 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

  • 박명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17-132
    • /
    • 2012
  • 소득이 일정수준에 도달하고 기본욕구가 충족되면 소득이 증가해도 행복지수는 올라가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의 대표적 사례가 이스털린의 역설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민소득이 2만 달러가 넘었는데도 삶의 질은 높지않고 유엔의 행복보고서에서는 한국의 행복지수가 10점 만점에서 5.8점으로 150개 중 56위에 머무르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연구의 목적은 첫째, 행복역량은 교육을 통해 강화될 수 있는가? 둘째, 기술 가정 교과의 가정교과 영역의 행복역량교육 강화교과로서의 타당성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이론적 연구와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개인당 GNP 2만 달러에 달하는 경제수준에 와 있는 국가로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통해 행복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을 펼쳐야 하며 행복은 교육을 통해 강화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특히 행복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생활경험을 통해 행복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기술 가정교과의 가정교과 영역이 행복역량 강화를 위해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