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logram-like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이기종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간 콘텐츠 자동 가시화 기법 (Automatic Visualization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 김주환;조동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1445-1450
    • /
    • 2020
  • 최근 실감 콘텐츠 체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유사홀로그램(hologram-like)시스템은 공연, 전시, 교육 등에 활발히 적용 및 서비스되고 있다. 이러한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은 피라미드형, 반투명 대형 단일 스크린 형태 등 설치될 장소, 사용 목적, 체험자 인원, 콘텐츠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 투영 면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형태가 서로 다른 이기종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실감 콘텐츠 제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드웨어 구성에 맞추어 즉석에서 자동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의 결과에 따르면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의 구성에 따라 콘텐츠를 매뉴얼하게 재가공하는 노력이 필요 없이 콘텐츠 개발자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투영되는 콘텐츠만을 개발하면 즉석에서 자동으로 보정된 가시화가 진행됨을 알 수가 있었다.

유사홀로그램 가시화 기반 가상 휴먼의 제스쳐 상호작용 영향 분석 (Exploring the Effects of Gesture Interaction on Co-presence of a Virtual Human in a Hologram-like System)

  • Kim, Daewhan;Jo, Dongsik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0호
    • /
    • pp.1390-1393
    • /
    • 2020
  • Recently, a hologram-like system and a virtual human to provide a realistic experience has been serviced in various places such as musical performance and museum exhibition. Also, the realistically responded virtual human in the hologram-like system need to be expressed in a way that matches the users' interaction.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feeling of being in the same space with a virtual human in the hologram-like system, user's gesture based interactive contents were presented, and the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was evaluated. Our approach was found that the gesture based interaction was provided a higher sense of co-presence for immersion with the virtual human.

간섭 홀로그램과 광굴절매질을 이용한 안정한 광 정보보호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Stable Optical Information Security System using Interference Hologram and Photorefractive Material)

  • 김철수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21세기 신지식정보의 창출
    • /
    • pp.64-76
    • /
    • 2001
  • In this paper, A simple image hologram encryption and decryption technique based on the principle of interference are proposed. The technique using the photorefractive material for getting a stable interference pattern is also proposed. And combine these two techniques, I would like to implement a stable optical information security system. In the encrypting process, I would generate binary phase hologram which can reconstruct original image perfectly, and regard this hologram as original image to be encrypted image. And then the hologram is encrypted as randomly generated binary phase image. Reference image is also generated from the encrypted image by applying interference rule. In the decrypting process, I can get a interference intensity by interfering the reference image and the encrypted image in the interferometer. and transform inferference intensity information into phase information. I recover original image by inverse Fourier transforming the phase information. In this process, the intensity information generated by interference of two images is very sensitive to external vibrations. So, I would like to get a stable interference using the characteristic of SPPCM(self pumped phase conjugate mirror) in photorefractive materials, especially BaTiO₃.

  • PDF

A Study on the Angular Characteristics of Photopolymer-based Hologram Recording and Reproducing Light

  • Kwang-pyo, Hong;Jiwoon, Lee;Lee-hwan, Hwang;Soon-chul, Kwon;Seunghyun, 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4호
    • /
    • pp.460-469
    • /
    • 2022
  • Increasing interest in the metaverse world these days, interest in realistic content such as 3D displays is growing. In particular, hologram images seen in movies provide viewers with an immersive display that cannot be seen in conventional 2D images. Since the first discovery of holography by Dennis Gabor in 1948, this technology has developed rapidly. Spatially, this beginning of technology like Optical hologram called analog hologram and Digital hologram such as computer-generated hologram (CGH). In analog and digital holograms, a recording angle and a recording wavelength are having important role when reproducing and display hologram. In the hologram, diffraction of light causes by unexpected formed by the synthesis from interference with object and reference light. When recording, the incident light information and mismatched reproduction light reconstruct the hologram in an undesirable direction. Reproduction light that is out of sync with incident light information with initial condition of recording will cause reconstructed image in an undesirable direction. Therefore, we analyze the holographic interference pattern generated by hologram recording in volume holograms using photopolymer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that vary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reproduced light. Thi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research on various holographic application that may cause as holograms are applied to industries in the future.

플로팅 홀로그램을 통한 융복합 영상시스템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video system trough Floating Hologram)

  • 오승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397-402
    • /
    • 2020
  • 홀로그램은 아날로그 홀로그램과 디지털 홀로그램으로 구분되지만 일반인이 구현하기에는 고가의 장비나 콘텐츠 구현의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정해진 동영상을 통해 무한 반복되는 콘텐츠나 수동적인 관람 등 기존의 정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인터랙션이 가미된 홀로그램 콘텐츠를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유사 홀로그램 중 플로팅 홀로그램을 중심으로 융복합형 영상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홀로그램 인터랙션 요소는 3차원 공간에서 카메라 높이, 3D 모델간의 간격, 모델의 중복, 스케일, 애니메이션, 포지션, 칼라, 3D 모델체인지 등 8가지이며, 관람자가 실시간으로 직접 컨트롤하는 플로팅 홀로그램은 값비싼 홀로그램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플로팅 홀로그램을 쉽게 제작, 융복합 영상시스템을 활용함으로서 보다 대중적이면서도 능동적인 홀로그램 콘텐츠 제작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연구한계점으로는 실제 전시를 통해 개발된 영상시스템과 피드백을 통하지 못한 점이며, 이를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보다 완성된 홀로그램 영상시스템이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1차원 홀로그램을 응용한 표시장치 구성 방법 (Appling 1 Dimensional Hologram to Display Device)

  • 김영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2권9호
    • /
    • pp.19-28
    • /
    • 2005
  • 특정한 각으로 입사하는 가간섭인 평행광선들에 의한 간섭무뉘는 1차원 정보로서 표현되는 회절격자와 흡사한 홀로그램을 구성하며, 이러한 홀로그램을 1차원 홀로그램이라 제안한다. 1차원 홀로그램을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구성이 가능하며, 간단한 광 컴퓨팅구조로서 빠르게 간섭무늬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플로팅 홀로그램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연구 (Study on the Production of Interactive Multimedia Content using Floating Holograms)

  • 최준환;김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25-1630
    • /
    • 2018
  • 최근 영상 표현 방식은 빠르고 다양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차세대 영상 방식 중 하나인 홀로그램은 많은 연구를 통해 발전하고 있으나 실제 구현 방법이 어렵다는 점이 있어 홀로그램의 효과를 비슷하게 나타내는 유사 홀로그램방식을 사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활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유사 홀로그램 방식 중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을 사용하여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며,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을 사용하는 박스 형태의 콘텐츠에 모션 센서를 적용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관객의 참여에 의한 사운드와 영상의 실시간 상호작용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서 홀로그램 활용과 기술의 장단점에 대한 연구 및 보완 방법을 제시한다.

삼각형 간섭계를 이용한 Incoherent 홀로그래피의 수치적 재생에 관한 연구 (Numerical reconstruction of Incoherent Holography using the triangular interferometer)

  • 배유석;이혁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388-390
    • /
    • 1994
  • We are familiar with the holography in these days. For making holography the coherent sources like LASER are used in many fields. But coherent holography has many problems. Coherent holography needs many instrument for practical use like 3-D TV case. In solving the problem we use the non-coherent source. Nowadays many methods like conoscopic holo graphy using anisotropic crystal, shadow casting and interferometric systems are suggested. In this paper we make the hologram using the triangular interferometric systems. [1],[2],[3],[4]. We explain the afocal and double-afocal system which consists of the triangular interferometric system. The holography made in one point and two point cases is imaged on CCD camera and we handle the image data digitally for the reconstruction efficiently. In reconstructing the hologram the Fraunhofer diffraction theory is used. We adopt the rectangular aperture for the convenience of calculation. In the future we must reconstruct the perfect 3-Dimensional object by optical method. For this, we have many problems like resolution problem. We must solve these problem for perfect reconstruction.

  • PDF

이종 유사 홀로그램 시스템 저작 도구 설계 (Design of Authoring Toolkit for Heterogeneous Hologram-Like Systems)

  • 김주환;조동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53-1055
    • /
    • 2019
  • 최근 사용자에게 단순히 체험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같은 내용의 체험을 제공하더라도 더욱 실감있는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현존감 있는 체험을 제공하기 위한 유사 홀로그램(hologram-like)시스템은 고전적인 디스플레이 방식에 빛의 간섭현상을 더해 투영되는 물체가 실제 현장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준다. 이러한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은 공연, 전시, 교육 등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널리 확대가 가능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스템이다.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은 피라미드, 반투명 대형 단일 스크린 등 다양한 형태의 H/W 구성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지만 시스템 내부에 콘텐츠를 표현할 때 마다 H/W 구성 특성에 맞춰 콘텐츠를 매번 재구성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H/W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유사홀로그램 시스템에 표현되는 콘텐츠 구성을 자동적으로 보정하여 다양한 종류의 유사홀로그램 시스템 H/W 를 사용하여도 콘텐츠를 변형없이 적용할 수 있는 저작도구 설계를 제안한다.

cGANs(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기반 3차원 객체의 임의 재생 기법 연구 (A Study on Random Reconstruction Method of 3-D Objects Based on 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cGANs))

  • 신광성;신성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7-159
    • /
    • 2019
  • 홀로그램 기술은 3차원 객체의 생성, 전송, 재생 관점에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지만 현재 여러 가지 한계로 인하여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다. VR, AR을 넘어 새로운 기술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중간 단계로 유사홀로그램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추세다. 홀로그램의 기술의 핵심은 point cloud 형태의 방대한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방대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목적지에서 원본과 같이 재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대한 3차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성된 3차원 객체 정보의 특징점을 전송하여 목적지에서 원본과 비슷한 형태의 객체로 재생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