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isting Techniqu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872년 황룡사구층탑 찰주 드잡이 방법 추론 연구 (A Reasoning on the Central Column Hoisting Technique at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in 872)

  • 박민창;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5호
    • /
    • pp.7-16
    • /
    • 2021
  • According to 「Hwangnyongsa Temple Central Column Record」 among the remaining documents, under reconstruction the pagoda of Hwangnyongsa&s 9th floor was completed in July 872 on the lunar calendar. At that time, King Kyeongmun worried about sarira under its central column, saying the central column does not move, and then He ordered to lift the central column. So his servants lifted it on November 6th 872 and checked the sarira and put it back on November 25th on the lunar calendar. 「Hwangnyongsa Temple Central Column Record」 did not document how to lift the central column which is tens of meters. therefore, this study inferred the way the central column of the pagoda of Hwangnyongsa was lifted in 872, left as a mystery. For that, this study set various hypotheses and it researched and analyzed hoisting technique that is a way to lift the pagoda of Hwangnyongsa and a column. In conclusion, this study inferred the most suitable hoisting technique for the pagoda of Hwangnyongsa at that time,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of each chapter.

석탄하역기 붐 호이스팅 실린더의 구조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uctural Safety of the Boom Hoisting Cylinder of a Coal Handling Machine)

  • 최용훈;곽효서;김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12호
    • /
    • pp.1265-1273
    • /
    • 2015
  • 석탄하역기는 화력발전소의 주 원료인 석탄을 체인 버킷을 구동하여 선박으로부터 컨베이어 벨트로 하역하는 장비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석탄하역기의 하역위치에 따라 붐 각도를 제어하는 유압시스템인 붐 호이스팅 실린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전량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꺼운 실린더에서 접촉면압의 이론 값을 FEM 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 값과 비교하여 접촉면압 해석기법의 타당성을 확립하였고, 이를 통하여 브이 실을 갖는 붐 호이스팅 실린더에서 작동유의 누설 여부 판단과 접촉면압을 최대로 갖는 브이 실 형상을 설계하였다. 또한, 실린더의 스트로크에 따른 구동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최대 출력 상태에서의 붐 호이스팅 실런더의 구조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시뮬레이션 기반의 타워크레인 설치 생산성 분석 (A Productivity Analysis of Tower Crane Installation Progress Based on Simulation Technique)

  • 김윤식;조재경;김민지;조규만;현창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3-40
    • /
    • 2010
  • 근래에 들어 건축공사의 규모가 점차 대형화 고층화 되어 가고 있으며, 건설 작업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양중장비의 사용이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그 필요성이 높아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타워크레인 관련 연구들을 진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주로 타워크레인 선정, 위치 최적화, 양중시간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타워크레인의 설치에 관한 연구문헌은 부재하다. 따라서 건설현장에서는 장비업체 작업자들의 경험에 의한 주관적인 판단과 기술보조에 의해 수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타워크레인 설치 프로세스의 생산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일반화 모델을 제시함으로서 현장 관리자들이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