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ve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3초

The Effect of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on Phagocytic activity of septic Neutrophil in vitro

  • Eun-A Jang;Hui-Jing Han;Tran Duc Tin;Eunye Cho;Seongheon Lee;Sang Hyun Kwa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11-219
    • /
    • 2023
  •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is an active component of propolis obtained from honeybee hives. CAPE possesses anti-mitogenic, anti-carcinogenic, anti-inflammatory, and immunomodulatory activities in diverse systems, which know as displays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s lipoxygenase activities, protein tyrosine kinase, and nuclear factor kappa B (NF-κB) activa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PE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human neutrophil phagocytosis. Human neutrophils were cultu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CAPE (1, 10, and 100 µM) with or without LPS. The pro-inflammatory protein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interleukin [IL]-6 and IL-8) levels were measured after 4 h incubation. To investigate the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 we measured the level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 including phosphorylation of p38,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s 1 and 2 (ERK1/2) and c-Jun N-terminal kinase (JNK). Next, to evaluate the potential phagocytosis, neutrophils were labeled with iron particles of superparamagnetic iron oxide nanoparticles (SPIONs, 40 nm) for 1 h in culture medium containing 5 mg/mL of iron. The labeling efficiency was determined by Prussian blue staining for intracellular iron and 3T-wight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CAPE decreased the activation of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including ERK1/2 and c-Jun, and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NF-α and IL-6, but had no effect on the signaling pathways of p38 and cytokine IL-8. Furthermore, images obtained after mannan-coated SPION treatment suggested that CAPE induced significantly higher signal intensities than the control or LPS group.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PE regulates LPS-mediated activation of human neutrophils to reduce phagocytosis.

양봉농가의 경영형태와 기술수준 분석 (Analysis of Honeybee-Keeping Management Types and Skills Level in Korea)

  • 김안식;김석은;김계웅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3권1호
    • /
    • pp.59-66
    • /
    • 2011
  • 본 조사연구는 2008년 1년간 우리나라 253개 양봉농가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경영형태를 분석하고 기술 및 기반수준을 평가하여 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경영지표 설정에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봉농가의 평균 봉군관리 수는 145.89군으로 조사되었다. 관리자의 연령별로는 통계적 유의성(p<0.05)이 인정되었는데 55세 미만 연령그룹에서 평균 191.68군으로 가장 많이 사육하고 있었으나, 연령이 많을수록 봉군 수는 적게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별로도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는데, 15년 이상 고경력 농가에 평균 175.96군을 사육하고 있었으며, 경력이 높은 농가에서는 더욱 많은 봉군을 관리하고 있었다. 거주지별과 학력별간 모두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경영형태별로는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01)가 인정되었는데 고정양봉은 평균 82.99군 이었으나 이동양봉은 220.18군을 경영관리하고 있었다. 양봉장은 농가주변(57.8%)에서 가장 많이 위치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은 산간지(30.3%)에서 양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별 양봉장의 위치 분석에서는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는데, 산간지는 젊은 연령층(36.9%)에서 많이 사육하는 반면에 농가주변은 노년층(65.4%)에서 주로 많이 사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별 분석에서도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01)가 인정되었는데 산간지(40.0%)에서는 산간마을 거주자가 많이 사육하고 있는 반면에 농가주변에서는 산간마을이나 중소마을 거주자 서로 모두 비슷하게 사육하고 있었다. 그러나 경력별, 학력별 및 형태별간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양봉농가는 부업고정양봉(35.7%)으로 경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연령층별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는데, 젊은 연령그룹에서는 전업이동양봉(38.8%)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노년층에서는 부업고정양봉(43.2%)을 주로 경영하고 있었다. 경력별로도 고도의 유의성(p<0.001)이 인정되었는데, 저경력 층에서는 부업 고정양봉(46.6%) 경영이었으나 고경력 층 그룹은 전업 이동양봉(40.3%)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거주지별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봉농가는 벌꿀은 물론 프로폴리스, 종봉 분양, 화분, 로열 젤리, 매개봉군 순으로 양봉 생산물을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5년 이하 저경력 층은 주로 프로폴리스, 화분 등을 생산한 반면에 고경력 층에서는 주로 프로폴리스, 분양 종봉 등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간마을 양봉 농가는 주로 프로폴리스, 화분 등을 얻고 있으나, 중소마을 양봉 농가는 프로폴리스, 분양 종봉 등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정과 이동양봉농가 모두 프로폴리스, 화분 등을 주로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양봉농가 기술보유 수준 및 기반수준은 5점만점 중 각각 평균 3.11점과 2.86점으로 모두 중등수준으로 평가되었다. 경력별간에는 기술수준이나 기반수준 모두 고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저경력보다 고경력 농가에서 기술수준 평균3.33점과 기반수준 평균 3.02점으로 더 높게 평가되었다. 그러나 연령층간이나 거주지간의 기술수준이나 기반수준평가 모두 서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항원감작식품과 어린이 알레르기 질환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Allergen Sensitization and Allergic Disease in Childhood)

  • 문은경;배형철;;남명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7-344
    • /
    • 2007
  • 2005년 3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어린이 74명(남 47, 여 27, 1-4세)을 대상으로 식품에 대한 IgE 특이 항체량을 검사하였다. 알레르기 증상을 나타낸 어린이의 연령은 영 유아(0-3세)가 34명, 4-6세가 24명, 7-9세가 8명, 10세 이상이 8명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 어린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한 어린이가 21종류의 식품 중 3종류, 4종류, 5종류의 식품에 반응을 보인 어린이는 각각 10명, 21명, 15명으로 나타났다. IgE 항체반응에서 class 2 미만으로 나타난 어린이의 식품은 콩 28명, 우유 29명, 치즈 21명, 난백 7명, 돼지고기 18명으로 나타났고 class 2 이상은 콩 20명, 우유 17명, 치즈 24명, 난백 20명, 돼지고기 21명으로 나타나 이러한 식품들이 주로 식품 알레르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가족력에서는 알레르기 증상을 나타낸 비율이 남아는 45.5%, 여아는 50%로 절반 정도로 나타났고, 가족 중 알레르기 질병의 병력은 아토피 피부염은 26%, 아토피 비염은 10.5%,아토피 피부염과 아토피 비염은 31.5%, 두드러기 21.0%, 천식 10.5%이었다. 섭식력은 모유와 분유를 혼합하여 섭취한 어린이가 분유만 섭취한 어린이, 모유만 섭취한 어린이보다 높았다. 알레르기 유발식품으로 제한하는 식품은 계란과 우유 12.5%, 우유 2.5%, 계란 10.0%등이었다.

월동용 양봉사의 환기팬 작동방식에 따른 온 ${\cdot}$ 습도 조절효과 (Control Effe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by Ventilation Fan Operation Methods in Wintering Honey Bee House)

  • 이종원;이현우;이석건;김란숙;최광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7-13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양봉사 내부환경을 보다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환기팬 작동방식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진 환기팬 작동방식에 대한 연 구결과를 양봉사에 직접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양봉사 내부의 온도 및 습도변화에 대한 시율레이션과 실험결과를 비교 ${\cdot}$ 분석하여 양봉사 설계시 양봉사 열환경 해석 프로그램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환기팬 작동방식별 양봉사 내부환경의 조절 성능을 분석하였다. 기 개발된 양봉사 열환경 해석 프로그램은 앞으로 양봉사 설계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외부기온이 비슷한 조건에서는 환기팬 작동방식 B의 경우가 A의 경우보다 양봉사의 내부온도가 대체로 더 낮았으며, 평균적으로 벌통 내부는 2.8$^{\circ}C$, 양봉사 내부는 2.1$^{\circ}C$ 더 낮았다. 이것은 Lee 등(1998b)이 제시한 환기팬 작동방식에 따라 양봉사 내부의 승온억제를 최고 2.8$^{\circ}C$까지 할 수 있다는 내용을 뒷받침하는 실험결과이다. 환기팬 작동방식 A와 B 모두 꿀벌이 월동하기에 적합한 상대습도 범위 (50~75%) 였으나, 방식 B가 A 보다 양봉사 내부 습도의 최고 및 최저편차가 약 2%, 평균습도가 약 5% 적게 나타나 습도환경조절에 있어 좀 더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환기팬 작동방식 B는 A 에 비하여 양봉사 내부환경조절 성능이 더욱 우수하고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Prevalence of Nosema and Virus in Honey Bee (Apis mellifera L.) Colonies on Flowering Period of Acacia in Korea

  • Hong, In-Pyo;Woo, Soon-Ok;Choi, Yong-Soo;Han, Sang-Mi;Kim, Nam-Suk;Kim, Hye-Kyung;Han, Sang-Hoon;Lee, Man-Young;Lee, Myeong-Lyeol;Byeon, Kyu-Ho
    • Mycobiology
    • /
    • 제39권4호
    • /
    • pp.317-320
    • /
    • 2011
  • Honey production from approximately 1.6 million colonies owned by about 199,000 Korean beekeepers was almost 23,000 metric tons in 2009. Nosema causes significant losses in honey production and the virus decreases population size. We initiated a survey of honey bee colonies on the blooming period of Acacia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Nosema and virus in 2011. Most Korean beekeepers have moved from the south to north of Korea to get Acacia nectar for 2 mon. This provided a valuable opportunity to sample bees originating from diverse areas in one location. Twenty hives owned by 18 beekeepers were sampled in this year. Nosema spore counts ranged from zero to 1,710,000 spores per bee. The average number of nosema spores per bee was 580,000. Approximately 95% of the colonies were infected with Nosema, based on the presence of spores in the flowering period of Acacia. This indicates that Nosema is the predominant species affecting honeybee colonies. Also, the seven most important honeybee viruses were investigated by reverse transcription-PCR. Among them, four different viruses were detected in samples. Black queen cell virus was present in all samples. Chronic bee paralysis virus was detected in 10% of samples. Deformed wing virus was present in only 5% of the samples. Prevalence of Sacbrood virus was 15%. However, Cloudy wing virus, Israel acute paralysis virus and kashmir bee virus were not detected in any of samples.

꿀벌응애에 대한 신규화합물 K16776의 살비효과 (Acaricidal Activity of A Newly Synthesized K16776 against Honeybee Mite, Varroa destructor (Acari: Varroidae))

  • 오만균;안희근;김현경;윤창만;김진주;김태준;이동국;정근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2-196
    • /
    • 2008
  • 꿀벌(Apis mellifera)의 중요 해충인 꿀벌응애(Varroa destructor)에 대한 한국화학연구원과 동부하이텍이 공동으로 개발한 신규화합물 K16776(6.6 EC)과 꿀벌응애 방제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amitraz(20 EC), 점박이응애 방제약으로 등록된 5종의 약제, 그리고 꿀벌응애 방제약으로 사용되고 있는 중국약제 2종에 대한 살비활성($15{\times}7.5{\times}7.5\;cm$)을 소형용기와 야외 벌통에서 수행하였다. 소형용기에 K16776과 amitraz는 100%의 살비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꿀벌에 대해서는 독성이 없었다. 그 외 acequinocyl, bifenazate, chlorfenapyr, fenpyroximate, milbemectin은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야외 벌통에서 실험한 결과, K16776은 250배와 500배에서 각각 98.7%와 88.6%의 높은 살비활성을 보였으며, 꿀벌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mitraz도 500배와 1,000배에서는 각각 100%와 90%의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중국약제인 초살산만편과 왕스는 각각 56.9%와 66.7%의 살비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신규화합물인 K16776는 꿀벌응애 방제약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꿀벌과 호박벌 그리고 서양뒤영벌의 여름철 시설수박 화분매개활동 비교 (Comparison of the pollination activities among honeybee, Apis mellifera, and bumblebees, Bombus ignitus and B. terrestris in the watermelon houses on summer season)

  • 이상범;최영철;박관호;하남규;황석조;김승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41-47
    • /
    • 2012
  • 여름철의 시설수박에서 인공수분을 대체할 수 있는 화분매개곤충을 선발하기 위하여 화분매개곤충을 방사하여 인공수분과 비교하였다. 여름철 시설수박 하우스의 고온과 낮은 습도 등으로 인하여 화분매개환경이 매우 열악하여 호박벌과 서양뒤영벌은 외부로 탈출하는 일벌수가 많고 화분매개활동수가 적어져서 경제적인 수분과 착과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꿀벌은 외부 탈출일벌이 야간 발생하였으나, 많은 일벌이 수박꽃에서 충분한 화분매개활동을 하여 인공수분과 같은 경제적인 수분에 도달하였고, 생산물도 인공수분구와 같이 정상적으로 생산되었다. 따라서 여름철 시설수박하우스에서 수박꽃의 수분은 꿀벌은 화분매개곤충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뒤영벌은 사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A Retrospective Study on the Clinical Safety of Bee Venom Pharmacopuncture at Craniofacial Acupuncture Points for the Treatment of Facial Disorders

  • Lee, Chang Hee;Yoon, Jin-Young;Shim, Sung-Eun;Kim, Jeong Hyun;Kim, Jun-Yeon;Kim, Ha-Na;Hwang, Ji-Min;Kim, Jung-Hyun;Goo, Bon Hyuk;Park, Yeon-Cheol;Seo, Byung-Kwan;Baek, Yong-Hyeon;Nam, Sang-Soo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6권4호
    • /
    • pp.245-250
    • /
    • 2019
  • Backgrou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linical safety of Bee Venom (BV) pharmacopuncture at craniofacial acupuncture points.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of 108 patients diagnosed with peripheral facial paralysis, trigeminal neuralgia, or facial spasm who were admitted to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at Gangdong, from April 1st, 2017 to August 30th, 2017. Patients were allocated into either, Group 1 (the non-allergy group of patients who did not have an allergic reaction to BV) or Group 2, the group who had allergic reactions to BV. To evaluate the clinical safety of BV pharmacopuncture after each treatment, several criteria were used to measure any side effects: outcome, Common Terminology Criteria for Adverse Events scale, Mueller HL scale, treatment decision after adverse reaction, causality, measures performed for patients with adverse reactions, and efficacy assessment. Results: BV pharmacopuncture delivered in 0.1-0.2 mL at a concentration of 1:30,000 at the craniofacial acupuncture point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eline characteristics between non-allergy Group 1 and allergy Group 2. Amongst the 108 patients, 11 reported side effects after BV pharmacopuncture treatment. These adverse events included rash (n = 7), pruritus (n = 5), swelling (n = 1), vesicles (n = 1), erythema (n = 1), and hives (n = 1). All side effects resolved without sequelae. Conclusion: In this study, BV pharmacopuncture delivered at low doses at the craniofacial acupuncture points, resulted in 10% of patients experiencing non serious side effects suggesting that BV pharmacopuncture was clinically well tolerated.

프로폴리스의 생물학적 특성 (Biological Properties of Propolis Isolated from Honeybees)

  • 김성국;우순옥;장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7호
    • /
    • pp.686-697
    • /
    • 2021
  • 프로폴리스는 꿀벌에 의해 생산된 수지 물질로 벌집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꿀벌은 다양한 나무와 식물에서 배출된 수분을 침과 밀랍과 섞어서 프로폴리스를 생산한다. 프로폴리스는 기원전 300년경부터 상처를 치료하는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프로폴리스에는 플라보노이드, 페놀계 화합물, 밀랍과 같은 많은 생리 활성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프로폴리스의 기능적 요소들 때문에, 프로폴리스에는 생물학적 응용을 위한 넓은 스펙트럼이 있다. 프로폴리스와 프로폴리스의 생물학적 활동의 화합물은 각각 과즙의 출처와 추출 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프로폴리스의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를 포함한 반미생물 활동이 가장 잘 알려진 특징이다. 면역조절 메커니즘의 경우 아르테필린 C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주로 조절 화합물로 확인되었으며 각 화합물은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고 T 림프구에 면역억제 반응을 일으킨다. 프로폴리스는 항염증 효과를 통해 암세포 증식 억제, 종양 신호 전달 캐스케이드 차단, 항혈관신생 등 항종양 활성을 보였다. 그러나 프로폴리스의 더 많은 응용을 위해서는 과즙의 원천 분석, 프로폴리스 화합물의 식별, 프로폴리스 분자 메커니즘, 화합물 시너지 효과의 조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Detection of microbial organisms on Apis mellifera L. beehives in palm garden, Eastern Thailand

  • Sirikwan Dokuta;Sumed Yadoung;Peerapong Jeeno;Sayamon Hongjaisee;Phadungkiat Khamnoi;Khanchai Danmek;Jakkrawut Maitip;Bajaree Chuttong;Surat Hongsibs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1호
    • /
    • pp.17-23
    • /
    • 2024
  • Background: Honey bees play a crucial role in pollination and ecological balance. Apis mellifera L. colonies, especially those located in specific geographic regions, such as the palm garden in Eastern Thailand, are susceptible to potential threats from microbial contaminants. Understanding and detecting microbial organisms in these beehives is essential for the preservation of bee health, honey production, and the broader ecosystem. However, the problem of microbial infection and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is more severe and continuously increasing, resulting in a health, economic, and social cri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microorganisms in A. mellifera beehives in palm gardens in Rayong province, Eastern Thailand. Results: Ten swabs in transport media were swabbed and obtained from different parts of each beehive (1 swab per beehive), for a total of 10 hives. Traditional microbial culture-based methods, biochemical test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disc-diffusion) tests were used to detect microbial organisms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bacteria. The swab tests from nine beehives resulted in the detec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63.64%), Gram-negative bacteria (27.27%), and fungi/yeast (9.09%). These microorganisms are classified as a group of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 spp. and made up 40.91% of the bacteria discovered. Other bacteria found were Coryneform bacteria (13.64%), Pantoea spp. (13.64%), Bacillus spp. (9.09%), yeast (9.09%), glucose non-fermentative Gram-negative bacilli (9.09%), and Pseudomonas spp. (4.55%). However, due to the traditional culture-based and 0biochemical tests usually used to identify the microbial organisms in clinical specimens and the limitation of identifying some environmental microbial species, the results of the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cannot reveal if the organism is resistant or susceptible to the drug. Nevertheless, drug-sensitive inhibition zones were formed with each antibiotic agent. Conclusions: Overall, the study supports prevention, healthcare, and public health systems. The contamination of microorganisms in the beehives may affect the quality of honey and other bee products or even the health of the beekeeper. To avoid this kind of contamina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wear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while harvesting honey and other bee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