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p Joint Correction Exercis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편평족 중학생의 고관절 교정 운동 프로그램과 발교정구 착용 유무가 안정시 종골 기립 각도, 발목의 가동범위, 코어 근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rrective Hip Joint Exercises and Foot Orthotics on RCSP, Ankle's Range of Motion, and Core Muscle Strength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Pes Planus)

  • 김남희;이경옥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1-412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ip joint exercises and orthotics on RCSP, ankle's range of motion, and core muscle strength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pes planus. Method : Out of the original pool of 200 students, 60 students with pes planus (RCSP < -2)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selected 60 students were then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first group was a combined orthotics and exercise group (12 students), the second was the orthotics-only group (9 students), the third was the exercise-only group (8 students), and the last was the control group (10 students). Exercise groups worked out twice a week for 60 minutes per session over 8 week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rrective hip joint exercises and orthotics. The dependant variables consisted of kinematic and kinetic variables. The kinematic variables were RCSP, and ankle's range of motion (dorsiflexion and plantarflexion). The kinetic variables were muscles forces that consist in core muscle strength, which are hip joint adduction, abduction, and flexion muscles force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via SPSS 18.0 with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and a paired t-test was used. Results : The left foot was more responsive to the treatments, both exercise and orthotics, than the right foot. RCSP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left foot for the first and third groups. Only the first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hip joint adduction, abduction, and flexion muscles' strengths. As for the ankle's range of motion of the left foot, plantarflexion showed improvement when treated with exercise, orthotics, or both. Conclusion : This study found that exercise is more effective in correcting RCSP and foot orthotics is more effective in reinforcing core muscle strength. Future studies should expand on these result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kle, hip, and pelvis.

특발성 내반슬 여대생의 고관절 가동범위와 등속성 근력 (Range of Motion and Isokinetic Strength of Hip Joint in the College Women with Idiopathic Genu Vara)

  • 김제영;임승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210-217
    • /
    • 2014
  • 본 연구는 곧은 다리를 가지고 있는 여대생과 특발성 내반슬이 있는 여대생들의 고관절 ROM과 등속성 근력에 대해 비교 분석하여 내반슬의 교정을 위한 운동치료적 접근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새롭게 개발된 운동장비 발로아(2013, Balloa/Adonia/Korea) 동작과정을 통해 휜다리 가진 실험자 내전근 대퇴부와 심층근의 상태를 실험하여 그의 효과와 적용성을 검토한 결과 내반슬이 있는 사람에게는 고관절 외회전 ROM을 증가시키기 위한 신장기법과 고관절 내회전근의 활동성을 억제시키고 외회전근을 단련시킬 수 있는 운동기법이 필요하다. 발로아 기구는 고관절 외회전 ROM을 증가시키며 둔근과 심층근, 내전근을 강화시키며 근력강화 기능으로 내반슬 환자의 교정운동에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인체에서 기혈(氣穴) 순환 회복을 위한 기혈테라피의 효과 탐색 (Exploring the Effect of Qihyul-therapy for Recovery of Qi Circulation in Body)

  • 김용필;이형환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3-70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둔부근육의 협착, 틀어진 체형, 어깨 통증이 있는 기혈순환이 나쁜 대상자들을 상대로 기혈테라피의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었다. 방법: 기혈테라피와 교정 기혈운동을 사용 하였다. 결과: 기혈테라피를 시술하기 전에 둔부 근육이 거의 움직이지 않았지만, 시술한 후에는 근육의 탄력이 회복되었고 회색으로 경화되었든 피부의 색상도 밝아지었고 항문 괄약근에도 힘이 생기었다. 대상자의 체형이 우측으로 -7°가량 틀어지면서 우측 팔이 좌측팔에 비해서 약 6 cm정도 길었었으나, 체형교정 후에는 우측 팔의 길이가 약 5 cm 정도 줄어들었고, 틀어졌던 체형이 거의 평형을 이루었다. 목 및 어깨교정 후에는 쇄골과 목의 간격이 7 cm로 간격이 넓어졌고, 승모근을 풀어준 후에는 10 cm로 넓어졌으며, 어깨통증이 많이 완화 되었다. 골반교정 후 둔부통증이 완화되었고, 고관절의 위치가 바르게 돌아왔다. 좌측으로 45°각도 틀어졌던 우측다리가 바르게 교정이 되었으며, 4 cm 정도 길었던 우측 다리의 길이도 좌우가 같아졌다. 둔부통증 및 무릎통증도 완화되었다. 골반교정 기혈운동 후에 대상자 1의 고관절의 위치가 바로 잡히어 좌측으로 45°각도 틀어졌던 우측다리가 바르게 교정이 되었고, 4 cm 정도 길었던 우측 다리의 길이도 좌우가 거의 같아졌다. 대상자2는 교정 전에는 무릎이 붙지가 않았고, 오른쪽 무릎이 왼쪽에 비해서 위로 5 cm 정도 올라갔었으며, 발목이 좌측에 비해서 30° 각도로 굽어져 있었는데, 교정 후에는 두 다리의 무릎이 안정되게 붙일 수 있게 되었고, 무릎의 높이도 같아 졌으며, 발목꺾임이 각도도 정상으로 교정이 되었다. 결론: 꾸준하게 기혈테라피와 척추교정 및 골반교정 기혈운동을 한다면 틀어졌던 체형도 바르게 회복되고, 아픈 통증도 완화되어 관련 질환들을 예방 및 치유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