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mountain lak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Dinophyceae Fluctuations in Two Alpine Lakes of Contrasting Size During a 10-Year Fortnightly Survey

  • Trevisan, R.;Pertile, R.;Bronamonte, V.;Dazzo, F.B.;Squartini, 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6호
    • /
    • pp.754-762
    • /
    • 2012
  • Colbricon Superiore and Inferiore are two small adjacent high-mountain lakes located in the Paneveggio Natural Park (Italy) that offer the rare opportunity to study two iso-ecologic water environments differing only by area and volume in a ratio of 2:1 and 3:1, respectively. We took advantage of this setting to investigate phytoplankton dynamics, compare variability and productivit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basins, and assess size-dependent issues. The phytoplankton group of the Dinophyceae was chosen as the indicator organisms of ecological perturbation owing to their high sensitivity to environmental variations, as well as their acknowledged nature of versatile proxy to report global climatic change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over 10 years with fortnightly samplings. Results indicated that (a) the Dinophyceae communities in the smaller lake were significantly more resistant to changes exerted by the fluctuation of lakewater transparency and pH; and (b) the smaller lake sustained a consistently higher production with an average Dinophyceae density 1.73 fold higher than that of the larger lake.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show that the chemical parameters in the smaller lake display higher time-related fluctuation while being spatially homogeneous and that such conditions correlate with a higher stability of the Dinophyceae assemblage. The use of this setting is also proposed as a model to test relationships between ecosystem production and physical stability.

Short Wave Solar Radiation Features in Eastern Mongolia

  • Tuvshinjargal, D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5-78
    • /
    • 2003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solar radiation features of landscape in Eastern Mongolia and their space and tim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o many foreigners, the name Mongolia conjures up images of the vast steppes of Central Asia. And, indeed, the extensive grasslands of the steppe make up the heart of Mongolia-geographically and economically. Steppe covers nearly the entire far eastern part of Mongolia, extending west in a narrowing band just south of the Khangai and Khan Khokhii mountains all the way to the Depression of the Great lakes. Eastern Mongolia is recognized as one of the last remaining untouched grassland steppes in the world. Landscape of Eastern Mongolia divided by 19 types that belongs to High Mountain, Middle Mountain and low mountain steppe. Only 5.6% of the total land area is covered by forest. Eastern Mongolian steppe is homeland of migratory rare and endangered birds and about 2.0million freely migrating gazelles. According to Mongolian scientists, there is growing evidence of fundamental changes in the Eastern steppe ecosystems in terms of increasing aridity during the last 70 years. As estimated average annual temperature h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0.7oC, soil moisture, energy supply has been changing. These processes closely interrelated into water and energy cycle of steppe ecosystem.

  • PDF

Application of a support vector machine for prediction of piping and internal stability of soils

  • Xue, Xinhu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8권5호
    • /
    • pp.493-502
    • /
    • 2019
  • Internal stability is an important safety issue for levees, embankments, and other earthen structures. Since a large part of the world's population lives near oceans, lakes and rivers, floods resulting from breaching of dams can lead to devastating disasters with tremendous loss of life and property, especially in densely populated areas. There are som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internal stability of dams, levees and other earthen structures, such as the erodibility of the soil, the water velocity inside the soil mass and the geometry of the earthen structure, etc. Thus, the mechanism of internal erosion and stability of soils is very complicated and it is vital to investigate the assessment methods of internal stability of soils in embankment dams and their foundations. This paper presents an improved support vector machine (SVM) model to predict the internal stability of soils. The grid search algorithm (GSA) is employed to find the optimal parameters of SVM firstly, and then the cross - validation (CV) method is employed to estimat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the GSA-SVM model. Two examples of internal stability of soils are presented to validate the predictive capability of the proposed GSA-SVM model. In addi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GSA-SVM model, the predictions from the proposed GSA-SVM model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traditional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BPN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GSA-SVM model is a feasible and efficient tool for assessing the internal stability of soils with high accuracy.

조선 초 성임의 석가산에 조명된 상징성과 형태적 구현 (Symbolism and Formal Embodiment Lighted in Seokgasan of Seong-im in the Early Joseon)

  • 윤영조;윤영활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9-169
    • /
    • 2012
  • 석가산(石假山)은 고려시대 창안되어 조선시대로 전승, 발달된 한국전통기법으로 산수자연의 풍치를 축경적으로 재현한 한국의 창조적 석정문화(石庭文化)이다. 이 연구는 조선 초 문신인 성임(成任, 1421-1484)의 한양 인왕산 저택에 조영한 석가산을 대상으로 관련 옛 문헌을 근거로 하여 성임이 조영한 석가산의 역사적 의미와 상징성 그리고 형상과 구조를 구현해 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성임의 석가산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구명할 수 있었다. 조선 초 성임의 석가산은 고려 중기 만월대 본궐 뜰에 처음 조성한 지변형(池邊形) 석가산의 구조적 형태를 계승하고 있고, 석가산이란 명칭도 성임의 저택 원림에서 처음 '석가산'이라고 명명되고 있다. 그리고 조선 초 성임의 석가산에는 신선사상 등 여러 철리적(哲理的) 함의(含意)가 고려시대보다 더 응축되어 상상의 공간으로 표상되고 있으며, 중국의 여러 명산명호의 모사가 고려조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고려시대 보이지 않던 석가산 조영목적에 정서적인 안정과 치유를 위한 실용성이 나타나고 있다. 성임의 석가산은 고려시대 석가산의 계승적 차원의 역사적 의미와 형상과 구조적 틀을 확인 해 볼 수 있는 조경사적 가치가 높은 기록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GIS 자료와 CFD 모델을 이용한 수원시 지표 바람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Surface Wind Characteristics in Suwon City Using a GIS Data and a CFD Model)

  • 강건;김민지;강정은;양민준;최석환;강은하;김재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2호
    • /
    • pp.1837-1847
    • /
    • 2021
  •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과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이용하여 수원시 전역을 대상으로 바람길을 조사하였다. 최근 10년간 수원 종관기상관측소(ASOS 119)에서 측정한 평균 풍속을 이용하여 16방위의 유입 풍향에 대한 수치 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원시는 산악 지형으로 둘러싸인 분지에 위치하고, 수원시 서부와 남부에는 장애물이 적은 농경지와 호수 평지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수원시 중부에는 낮은 산과 언덕이 곳곳에 산재하고 있고, 넓은 도로들과 하천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서풍(주풍)과 동풍(평균 풍속이 강한 풍향) 경우를 상세하게 분석하고 16방위 풍향 빈도수를 가중치로 사용하여 평균한 풍속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수원시의 상세 바람특징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수원 북부 지역은 높은 산악 지형에 의해 복잡한 흐름이 형성되었고, 풍상측(풍하측) 산사면에서 강한(약한) 바람과 상승(하강)기류가 모의되었다. (2) 풍하측 산사면에서는 골짜기를 따라 바람길이 형성되어 주거지역으로 비교적 강한 기류가 유입되었다. (3) 강풍 지역이 수원 서부와 남부의 장애물이 없는 넓은 지역에서 모의되었다. (4) 도심지에서는 건물에 의한 마찰과 흐름 차단으로 인해 풍속이 감소하고 복잡한 흐름장이 형성되었다. 도심지 주거 지역의 바람길은 넓은 도로와 하천, 호수, 저수지 등 장애물이 적은 지역을 따라 형성되었다.

중국 전통서원의 수체계와 수경관의 구성적 특성 (A Study on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Water Systems and Landscapes in Traditional Chinese Seowons)

  • 마서효;노재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3호
    • /
    • pp.74-100
    • /
    • 2022
  • 본 연구는 중국 서원의 특성을 구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서원 고유의 수경관 특성을 준거할 수 있는 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문헌조사와 현장 관찰조사를 바탕으로 악록서원을 비롯한 중국의 대표적인 전통 서원 10개소의 입지와 내·외부의 수체계 그리고 수경관의 연출 특성을 조사 분석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국 서원의 수체계는 내부와 외부 수체계로 이원화되며 보편적으로 외부에 2개, 최다 3개의 수체가 중첩된 양상을 보였다. 외부 수체계에 입각한 서원의 입지유형은 양면환수형 4개소, 환산면수형 3개소 그리고 삼면환수형, 사면환수형, 의산방수형이 각각 1개소 등 총 5개 유형으로 분류됨에 따라, 배산면수형(일명 배산임수형)의 전형을 보이는 한국 서원과 비교할 때, 매우 적극적인 친수성을 보였다. 외부 수체계의 수형(水形)은 곡류형(46.0%), 계류형(36.0%), 광형(廣形)과 부정형(각 9.0%)으로 구분되었으며 수태(水態)는 계(溪, 31.8%), 강(江, 27.3%), 샘과 우물(泉·井, 13.6%), 폭(瀑, 9.1%), 호(湖, 4.5%) 그리고 지(池, 4.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원 내부 수체계 상의 수경관은 악록서원에서 7개소, 만송서원에서 4개소 순으로 상대적 수경관의 수가 많았다. 조사대상 10개 서원에서는 확인된 총 27곳의 세부 수경관은 지당(池塘)과 반지(伴池)를 포함하여 총 6개 유형으로 분류됨으로써 한국 서원보다 다양성이 매우 높았다. 주목할 만한 것은 중국 전통 서원의 내부 수경관에는 최소한 반지나 방당(方塘)이 1개소 이상 연출되는 예제적 질서가 잘 드러났다. 특히 한국 서원에서는 보기 어려운 반지는 42.8%를 차지하여 중국 서원의 대표적인 수경관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주희의 「관서유감」 시에 근거한 남계서원의 방당 또한 방형의 반지로 취급한다면 수경관에서 차지하는 반지의 비중은 거의 50%에 육박한다. 지당의 형태는 방형(28%), 자유곡선형과 원형(각 24%), 반월형(20%), 계류형(3.8%)로 구성되었는 바, 이는 방형 일색의 한국 서원과는 매우 다른 특성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 서원의 내부 수경관 관련 조형물은 정(亭)과 교(橋) 11개소(26.8%), 방(坊) 5개소(16.5%), 문(門)과 누(樓) 4개소(1.4%), 재(齋)가 2개소(6.2%) 그리고 헌(軒)·사(祠)·대(臺)·각(閣)이 각 1개소(3.1%) 등 총 10개 유형으로 확인되었으며 서원 내부의 정자는 경관정(景觀亭 27.2%), 비정(碑亭, 18.2%), 연집정(宴集亭, 54.5%) 등 3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전반적으로 정자, 반교를 갖는 반지 그리고 패방은 중국 서원 내부 수경관을 지배하는 연계성 높은 주요 구성요소임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