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isoflavone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5초

Antioxidant Activity and Isoflavone Profile of Rhynchosia nolubilis Seeds Pickled in Vinegar (Chokong)

  • Kim, Seok-Joong;Shin, Jee-Young;Cho, Moo-Ho;Oh, Young-Sook;Park, Na-Young;Lee, Shin-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44-450
    • /
    • 2007
  •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isoflavone content of chokong, Rhynchosia nolubilis seeds pickled in vinegar at $4^{\circ}C$ for 2 weeks, were investigated. The polyphenol content and 2,2-diphenyl-1-py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were lower in chokong than in raw seeds. Based on isoflavone analysis, the aglycone (daidzein and genistein) content was high in chokong while the content of the corresponding glucosides (daidzin and genistin) was similar to that in raw seeds. Thermal processing, in which seeds were heated in vinegar at $121^{\circ}C$ for 20 min, reduced the polyphenol content but did not affect the DPPH radical-scavenging capacity compared to the pickling process. The heated seeds had a 2.6 to 2.7 times higher glucoside content and 51 to 55% lower aglycone content than chokong, depending on the kind of vinegar used. During pickling and thermal processing, vinegars were more effective at eluting antioxidants and isoflavones from seeds than other solutions such as acetic acid, citric acid and HCl solutions, distilled water, and phosphate buffer (pH 7.0).

대두 및 콩나물 부위별 Isoflavones 함량 비교 (Comparison in Isoflavone Contents between Soybean and Soybean Sprouts of Various Soybean Cultivas)

  • 김은미;이경진;지규만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1호
    • /
    • pp.45-51
    • /
    • 2004
  • In this study, isoflavone (genistein, genistin, daidzein, daidzin) contents in various parts of twelve soybean cultivars and three soy sprouts were determin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UV detector. Three cultivars of soybean were selected and cultured in the lab to produce sprout for five days. Total isoflavone (Total IF) varied greatly among differnt breeds of soybean in range of 99 - 649.9 $\mu\textrm{g}$/g and 522.3 - 1,277.7 $\mu\textrm{g}$/g respectively, domestic and foreign cultivars. There were greatly difference in total IF of various parts of the soybean sprouts. Sprout from the Myunjunamul-kong appeared to have 69% genistein and 22% genistin in head part, and 30% and 62% of daidzin and daidzein, respectively, in root. Meanwhile, the sprouts from Junjori contains most (84%) of daidzein in its root. Sprout from chinese black-soybean had the largest amount of genistein among the sprouts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verage genistein content between three selected black and non-black soys. The glycosidic form of IF were dominant compared to aglycone forms both in soybean and sprouts by 24 times and 12 times, respectively, suggesting that during the sprouts cultivation glycosidic forms could change to aglycone forms. There are no difference in total content between genistein + genistin and daidzein + daidzin in soy and soy sprout. Therfore, considering the total IF contents, the intake of 1 soy sprout is similer to 1.5 times as soybean.

Comparison of 12 Isoflavone Profile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Seed Sprouts from Three Different Countries

  • Park, Soo-Yun;Kim, Jae Kwang;Kim, Eun-Hye;Kim, Seung-Hyun;Prabakaran, Mayakrishnan;Chung, Ill-M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360-377
    • /
    • 2018
  • The levels of 12 isoflavones were measured in soybean (Glycine max (L.) Merrill) sprouts of 68 genetic varieties from three countries (China, Japan, and Korea). The isoflavone profile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data mining methods.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revealed that the CSRV021 variety was separated from the others by the first two principal components. This variety appears to be most suited for functional food production due to its high isoflavone levels. 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PLS-DA) and orthogonal projections to latent structures discriminant analysis (OPLS-DA) showed that there are meaningful isoflavone compositional differences in samples that have different countries of origin.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HCA) of these phytochemicals resulted in clusters derived from closely related biochemical pathways. These results indicate the usefulness of metabolite profiling combined with chemometrics as a tool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foods and identifying metabolic links in biological systems.

생물전환된 품종별 대두 발효물의 주요 지표성분 함량 및 분석법 검증과 항산화 활성 평가 (Assessment of Validation Method for Bioactive Contents of Fermented Soybean Extracts by Bioconversion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 정태동;신기해;김재민;오지원;최선일;이진하;이상종;허인영;박선주;김현태;강범규;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80-68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생물전환에 의한 품종별 대두 5종의 isoflavone 함량, 총페놀 함량, 항산화능 및 isoflavone의 분석법 검증을 시행하였다. HPLC를 이용한 분석법 검증 결과 isoflavone 6종의 표준용액과 우람(S-3) 비발효 및 발효 추출물의 retention time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spectrum 분석 결과에서도 같은 spectrum을 보여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직선성 확인 결과 isoflavone 6종의 검량선의 상관계수 값은 0.9998~1.0000으로 나타나 우수한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정밀성 측정 결과 일내 정밀도에서 0.22~0.88%, 일간 정밀도에서 0.34~1.00%의 높은 정밀도를 나타냈다. 회수율 측정 결과 daidzin은 100.55~110.21%, glycitin은 100.26~112.35%, genistin은 97.67~111.89%, daidzein은 100.95~110.43%, glycitein은 98.56~106.02%, genistein은 101.29~110.25%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Daidzin, glycitin, genistin의 검출한계는 각각 0.14, 0.16, $0.20{\mu}g/mL$로 측정되었으며,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의 검출한계는 각각 0.25, 0.29, $0.20{\mu}g/mL$로 나타났다. Daidzin, glycitin, genistin의 정량한계는 각각 0.44, 0.48, $0.60{\mu}g/mL$를 나타냈고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은 각각 0.75, 0.89, $0.61{\mu}g/mL$로 나타났다. 생물전환에 의한 대두 발효 시 배당체인 daidzin, glycitin, genistein이 모두 비배당체인 daidzein, glycitein, genistein으로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각의 isoflavone을 합한 값인 total isoflavone 함량은 대두 우람(S-3) 발효물에서 $2,074.6{\mu}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비발효 대두 새단백(S-5)에서 가장 낮은 $119.8{\mu}g/g$의 total isoflavone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진풍(S-4) 비발효물이 44.96 mg GAE/g으로 가장 높은 총페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능 측정 결과 FRAP는 대풍2(S-2) 발효물에서 0.22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새단백(S-5) 비발효물에서 0.15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ORAC 지수도 FRAP와 유사하게 새단백(S-5) 비발효물에서 $195.24{\pm}3.08{\mu}M\;TE/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대풍 2(S-2) 발효물에서 $753.79{\pm}6.95{\mu}M\;TE/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신령버섯균사체 액체배양물의 자가분해에 의한 항암성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 분리 (Isolation of Anticarcinogenic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s from a Submerged 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ycelia by the Autolysis Process)

  • 김소영;김영숙;장정순;김보현;라키브 압두르;김곤섭;김정옥;하영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2호
    • /
    • pp.1316-1324
    • /
    • 2014
  • 신령버섯균사체(Agaricus blazei mycelia: ABM)를 대두박이 함유된 액체배지에 배양하고, 이것을 자가분해($53^{\circ}C$, pH 5.5, 120 rpm, 3 hr)하여 항암성이 강한 isoflavone-conjugated glycoprotein (Gluvone 이라 명명)을 분리하였다. Gluvone은 지금까지 알려진 당단백질과는 달리 분자량이 작고(9,400 Da), isoflavone이 결합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Gluvone은 60% 탄수화물(glucose, fructose, ribose), 31% 단백질 및 2% isoflavone (daidzein, genistein)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Gluvone은 S-180 복수암세포, MCF-7 인체유선암세포에 대한 독성이 강하였고, S-180 세포로 유발한 mouse 복수암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산란종계 사료 내 이소플라본 및 Casein Phosphopeptide의 첨가가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soflavone and Casein Phosphopeptide on Hatching Egg Production and Eggshell Quality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 김은집;유선종;김용란;안병기;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671-682
    • /
    • 2006
  • 본 실험은 산란종계 노계에서 이소플라본과 CPP의 첨가 급여가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과 Ca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56주령의 Hy-Line Brown 산란종계 암탉 360수와 수탉 36수를 공시하여 사료 내 Ca을 3.3% 및 3.6% 수준으로 하고 이소플라본과 CPP를 각각 0.2% 및 0.5% 수준으로 첨가한 총 6개의 실험사료(3반복)를 5주간 급여하였다. 주별로 사료섭취량을 조사하였고, 산란율과 난중은 매일 조사하였다. 주별로 생산된 종란으로부터 종란율과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실험사료 급여 후 생산된 계란을 반복구별로 수집하여 난각질 및 난각막 내 glycosaminoglycan과 uronic acid 분석에 이용하였다. 실험 종료 시 반복구별로 평균체중이 비슷한 개체를 선발하여 채혈 후 희생시킨 다음 경골을 적출하였다. 채취한 경골은 화학적 조성의 분석을 위한 시료로 이용하였고, 얻어진 혈액에서 화학성분 및 호르몬 분석을 실시하였다.사료섭취량, 난생산성 및 종란율에서는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료 내 Ca 수준 및 이소플라본 첨가는 난각강도를 각각 유의하게 개선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CPP의 첨가에 의해서는 특별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수정율 및 부화율에서도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골강도 및 경골 내 성분 조성에서 사료 내 Ca 수준 및 이소플라본과 CPP의 첨가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혈중 Ca, P, estrogen 및 calcitonin 농도 역시 처리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는 사료 내 Ca 수준의 증가 및 이소플라본 같은 Ca의 이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서 후기 난각질의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종란 생산성에 대해서는 이소플라본 및 CPP의 첨가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서울 거주 성인 여성의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건강과의 관련성 (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Intake of Soy Isoflavone among Adult Women in Seoul)

  • 이민준;손춘영;박옥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8-230
    • /
    • 2010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대사증후군 및 골다공증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폐경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을 조사하고,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에 따른 각종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강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9.97세이며, 폐경 전 대상자는 45.14세, 폐경 후 대상자는 55.99세였다. 폐경 전 대상자에 비해 폐경 후 대상자는 평균 체질량지수(p<0.01), 허리-엉덩이둘레 비율(p<0.001), 체지방율(p<0.001), 수축기 혈압(p<0.001), 혈당 및 혈중 지질 수준(p<0.05)이 유의적인 차이로 높았고, 골반 및 척추의 골밀도는 유의적언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폐경 후 대상자의 경우 폐경 전 대상자와 비교할 때 빈혈 위험 집단으로 분류된 비율은 낮았으나,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 등 각종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강 위험자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폐경 전 후 조사 대상자의 각 대두식품/음식의 섭취 빈도는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폐경 전 대상자는 47.1%, 폐경 후 대상자는 42.7%가 매일 조림 볶음 콩밥 등의 형태로 콩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부와 된장의 경우 1주일에 1회, 2회, 3~4회 섭취 빈도가 모두 20% 이상으로 나타나 콩, 두부, 된장이 이소플라본의 주요 공급원임을 알 수 있다. 3. 조사 대상자의 하루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은 28.48 mg이었으며, 폐경 전 대상자는 25.48 mg, 폐경 후 대상자는 32.25 mg으로 폐경 후 대상자의 하루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의 분포는 폐경 전 대상자는 3.29~78.36 mg(중간값 24.19 mg), 폐경 후 대상자는 3.18~116.59 mg(중간값 25.94 mg)으로 개인 간의 섭취 수준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폐경 전 대상자의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은 low, middle, high 집단이 각각 8.2 mg, 24.8 mg, 47.5 mg이었다.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체질량지수와 수축기 혈압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헤마토크리트는 이소플라본이 가장 낮은 섭취군과 가장 높은 섭취군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수치가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폐경 후 대상자는 low, middle, high 집단 각각의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이 8.6 mg, 24.6 mg, 63.6 mg 이었으며,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초경 연령은 낮고, 폐경 연령은 높은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질량지수와 허리-엉덩이 비율은 섭취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이 중간 섭취 집단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체지방율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외에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중간 이상 섭취하는 집단에서 수축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중성지방 모두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횡단적 관찰 연구이므로 각종 만성질환의 위험을 나타내는 건강지표들과 태두 이소플라본의 섭취 간에 인과관계를 밝힐 수는 없었으나, 대사증후군 및 골다공증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폐경 후 여성에서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 건강문제와의 관련 가능성을 미약하게나마 보여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만으로 대두 이소플라본의 적정 섭취 기준을 제시할 수 없으나 조사대상자의 이소플라본 섭취 분포에 따라 4분위로 나누었을 때 최하위군에 속하는 하루 15 mg 이하를 섭취하는 경우 그 이상 섭취하는 사람들에 비해 여러 질병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 및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나타난 한국인의 일상적인 식생활을 통한 이소플라본 하루 평균 섭취 수준은 20~35 mg 수준으로 나타난 바 있으므로, 다양한 대두식품을 통해 하루 15~35 mg 이상의 이소플라본 섭취는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종단적 영양 역학 연구와 설험 연구를 통해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만성질환 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 만성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해,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 요법을 위해 대두식품 및 이소플라본의 적정 섭취 수준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발아 고단백 콩의 Lactobacillus brevis 젖산발효에 의한 가바와 이소플라본 함량 및 라디칼 소거활성의 비교 (Comparison of γ-aminobutyric acid and isoflavone aglycone contents, to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high-protein soybean sprouting by lactic acid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brevis)

  • 황정은;모하메드 아지줄 하크만;이진환;주옥수;김수철;이희율;엄봉식;박경숙;조계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18
    • /
    • 2018
  • 본 연구는 발아된 고단백 콩(high protein soybeans, HPSs)으로부터 가바(GABA)와 비배당체 이소플라본(isoflavone aglycones)이 증가된 콩-분말 요구르트(SPY)를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L. brevis로 발효 증자 고단백콩 발아체(FSHPS, 0-4 cm)를 72시간 발효하였다. 발효 고단백콩(FHPS), 0 cm 발효 증자 고단백콩 발아체(FSHPS-0), 1cm 발효 증자 고단백콩 발아체(FSHPS-1), 2cm 발효 증자 고단백콩 발아체(FSHPS-2) 및 4 cm 발효 증자 고단백콩 발아체(FSHPS-4)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각 79.53, 489.93, 877.55, 780.53 및 979.97 mg 이었다. 발효되지 않은 고단백콩 발아체(UFSHPS-1, 1 cm) 및 FSHPS-1의 글루탐산(GA) 및 GABA 함량이 각각 최고 100.31 mg/100 mL 및 101.60 mg/100 mL로 관찰되었다. 또한 FSHPS-1에서 가장 높은 DPPH(63.28%) 및 ABTS(73.28%)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그러나 FSHPS-4에서 isoflavone aglycone 비율이 81.63%로 가장 높았다. 특히, FSHPS-1은 높은 가바 함량과 기능적 특성을 나타내어 두유 산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 of Garlic in the Fermentation of Cheonggukjang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MJ1-4

  • Kim, Jeong Hwan;Hwang, Chung Eun;Lee, Chang Kwon;Lee, Jin Hwan;Kim, Gyoung Min;Jeong, Seong Hoon;Shin, Jeong Hee;Kim, Jong Sang;Cho, Kye M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7호
    • /
    • pp.959-968
    • /
    • 2014
  • The changes in the ${\beta}$-glucosidase activity, total phenolic contents, isoflavone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cheonggukjang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MJ1-4 with and without garlic were investigated. The levels of total phenolic and isoflavone-malonylglycoside, -acetylglycoside, and -aglycone contents increased, whereas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FRAP) assay results increased, but isoflavone-glycoside levels decreased during cheonggukjang fermentation. The levels of total phenolic and total isoflavone contents and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higher in cheonggukjang fermented without garlic (CFWOG) than in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garlic (CFWG) after 24 h of fermentation, but they were lower in CFWOG than in CFWG after 72 h of fermentation. In particular,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henolic, daidzein, glycitein, and genistein were present at concentrations of 15.18 mg/g, $264.4{\mu}g/g$, $16.4{\mu}g/g$, and $31.1{\mu}g/g$ after 72 h of fermentation in CFWG, showing 82.89%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06.32% in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1.47 ($OD_{593nm}$) in FRAP assay,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high antioxidant activity of CFWG might be related to the markedly higher levels of total phenolic contents, isoflavone-malonylglycosides, -acetylglycosides, and -aglycones achieved during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