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Polymer

검색결과 3,754건 처리시간 0.032초

4차 암모늄염 촉매를 이용한 Poly(GMA)에의 이산화탄소 직접 고정화 (Direct Incorporation of Carbon Dioxide to Poly(GMA) Using Quaternary Ammonium Salt Catalysts)

  • 성충기;김경훈;문정열;천승우;나석은;박대원
    • 공업화학
    • /
    • 제10권1호
    • /
    • pp.129-134
    • /
    • 1999
  • 4차 암모늄염 촉매 존재하에서 poly(glycidyl methacrylate)[poly(GMA)]에 이산화탄소를 직접 부가시켜 poly[(1,3-dioxolane-2-oxo-4-yl)methyl methacrylate][poly(DOMA)]를 합성하였다. 4차 암모늄염 촉매는 높은 이산화탄소 고정화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양이온의 크기가 클수록, 짝음이온의 친핵성이 강할수록 높은 촉매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이산화탄소 부가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고압 회분 반응기에서 이산화탄소의 압력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실시한 속도론적 고찰 결과 반응속도는 poly(GMA)와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대하여 각각 1차 반응이었고, 이때 반응속도상수 k는 $0.69L/mol{\cdot}h$이었다. DMSO를 용매로 사용한 경우 $80^{\circ}C$에서의 $CO_2$의 Henry 상수 H'는 $6.8{\times}10^{-4}mol/L{\cdot}KPa$로 나타났다.

  • PDF

통신 항법용 다중대역 안테나 내장 스킨구조의 지상시험평가 (Ground Test & Evaluation of Conformal Load-bearing Antenna Structure for Communication and Navigation)

  • 김민성;박찬익;조창민;전승문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11호
    • /
    • pp.891-89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전투기 주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는 안테나 내장 스킨구조(CLAS)의 새로운 시험평가 절차를 제시하였다. 대수 주기 패치형 안테나를 통신항법용 다중대역 안테나로 설계하였다. 탄소/유리 섬유 강화 적층 복합재(CFRP/GFRP)를 공력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 사용하고 안테나 성능 향상을 위해 하니컴 층을 적층하였다. 여러 재질로 구성된 다층구조의 안테나 내장 스킨구조를 고온의 오븐에서 경화하였다. 내장된 안테나의 이득, 전압 정재파비, 방사패턴을 0.15GHz~2GHz 주파수 범위에서 무반향 챔버시설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안테나 내장 스킨구조의 구조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장, 전단, 피로, 충격 하중을 부가하는 구조시험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구조시험 후에 안테나 성능시험을 수행하여 초기 값과 비교하므로써 구조시험이 안테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새로 개발한 안테나 내장 스킨구조 시험평가 절차를 통신항법용 CLAS에 적용하여 설계개선이 필요한 점을 발견하였다.

산소플라즈마 전처리된 Polyethylene Naphthalate 기판 위에 증착된 ZnO:Ga 투명전도막의 특성 (Properties of ZnO:Ga Transparent Conducting Film Fabricated on O2 Plasma-Treated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rate)

  • 김병국;김정연;오병진;임동건;박재환;우덕현;권순용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75-180
    • /
    • 2010
  •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CO) films are widely used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Among TCO materials, zinc oxide (ZnO)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for its high optical transmission and electrical conduc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O_2$ plasma pretreatment on the properties of Ga-doped ZnO films (GZO) on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substrate were studied. The $O_2$ plasma pretreatment process was used instead of conventional oxide buffer layers. The $O_2$ plasma treatment process has several merits compared with the oxide buffer layer treatment, especially on a mass production scale. In this process, an additional sputtering system for oxide composition is not needed and the plasma treatment process is easily adopted as an in-line process. GZO films were fabrica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process. To improve surface energy and adhesion between the PEN substrate and the GZO film, the $O_2$ plasma pre-treatment process was used prior to GZO sputtering. As the RF power and the treatment time increased, the contact angle decreased and the RMS surface roughness increased significantly. It is believed that the surface energy and adhesive force of the polymer surfaces increased with the $O_2$ plasma treatment and that the crystallinity and grain size of the GZO films increased. When the RF power was 100W and the treatment time was 120 sec in the $O_2$ plasma pretreatment process, the resistivity of the GZO films on the PEN substrate was $1.05\;{\times}\;10^{-3}{\Omega}-cm$, which is an appropriate range for most optoelectronic applications.

다층 RIE Electrode를 이용한 아크릴의 O2/N2 플라즈마 건식 식각 ([O2/N2] Plasma Etching of Acrylic in a Multi-layers Electrode RIE System)

  • 김재권;김주형;박연현;주영우;백인규;조관식;송한정;이제원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642-647
    • /
    • 2007
  • We investigated dry etching of acrylic (PMMA) in $O_2/N_2$ plasmas using a multi-layers electrode reactive ion etching (RIE) system. The multi-layers electrode RIE system had an electrode (or a chuck) consisted of 4 individual layers in a series. The diameter of the electrodes was 150 mm. The etch process parameters we studied were both applied RIE chuck power on the electrodes and % $O_2$ composition in the $N_2/O_2$ plasma mixtures. In details, the RIE chuck power was changed from 75 to 200 W.% $O_2$ in the plasmas was varied from 0 to 100% at the fixed total gas flow rates of 20 sccm. The etch results of acrylic in the multilayers electrode RIE system were characterized in terms of negatively induced dc bias on the electrode, etch rates and RMS surface roughness. Etch rate of acrylic was increased more than twice from about $0.2{\mu}m/min$ to over $0.4{\mu}m/min$ when RIE chuck power was changed from 75 to 200 W. 1 sigma uniformity of etch rate variation of acrylic on the 4 layers electrode was slightly increased from 2.3 to 3.2% when RIE chuck power was changed from 75 to 200 W at the fixed etch condition of 16 sccm $O_2/4\;sccm\;N_2$ gas flow and 100 mTorr chamber pressure. Surface morphology was also investigated using both a surface profilometr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RMS roughness of etched acrylic surface was strongly affected by % $O_2$ composition in the $O_2/N_2$ plasmas. However, RIE chuck power changes hardly affected the roughness results in the range of 75-200 W. During etching experiment,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OES) data was taken and we found both $N_2$ peak (354.27 nm) and $O_2$ peak (777.54 nm). The preliminarily overall results showed that the multi-layers electrode concept could be successfully utilized for high volume reactive ion etching of acrylic in the future.

GFRP 보강근으로 보강된 바닥판의 보강비에 따른 정적 및 피로성능 평가 (Evaluation of Static and Fatigue Performances of Decks Reinforced with GFRP Rebar for Reinfocement Ratio)

  • 유영준;박영환;최지훈;김장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491-497
    • /
    • 2014
  • 철근의 부식은 철근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성능 저하에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FRP는 비부식성 재료이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보강근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러 종류의 FRP 보강근이 개발되었으나 아직 활용 실적은 많지 않은 상황이다. 그 이유로는 FRP 보강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단/장기 검증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GFRP 보강 바닥판에 대한 피로성능을 관찰하기 위해서 길이 4000 mm, 폭이 3000 mm, 높이 240 mm인 실제 크기의 교량 바닥판을 도로교설계기준을 준용하여 제작한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하부 보강비를 변수로 설정하였으며 DB-24 하중이 바닥판 중앙에 집중 작용하는 것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용하중의 3.5, 4.5, 5.0배에 해당하는 다양한 하중을 2백 만회 이상 반복 재하하여 GFRP 보강 바닥판의 피로성능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거더가 횡구속된 GFRP 보강 바닥판의 최대성능은 보강근비에는 민감하지 않았고, 피로성능은 보강비보다는 적용하중의 크기에 민감하며, 바닥판이 200만회 이상 반복재하에 저항하기 위해서는 재하되는 집중하중의 크기는 최대하중의 58% 수준 이하이어야 하며, 이 연구의 실험 대상 GFRP 보강 바닥판의 피로수명은 철근 콘크리트 바닥판의 수명 예측값보다는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FRP 보강 콘크리트 바닥판의 기존 예측값보다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리브를 갖는 FRP 판과 고인성섬유보강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합성보의 파괴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Failure Behavior of Composite Beams with DFRCC and FRP Plank with Rib)

  • 강가람;유승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6-23
    • /
    • 2016
  • 고인성섬유보강콘크리트는 기존의 콘크리트에 비해 인성을 크게 개선한 재료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의 여러 분야에 적용 가능한 건설 신재료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인성섬유보강콘크리트와 리브를 갖는 FRP 판을 인장 보강재 및 영구거푸집으로 활용한 합성보의 파괴거동에 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비교를 위해 일반콘크리트와 PVA계열인 RF4000과 PP계열인 PP-macro의 섬유를 사용하였으며, 각각 RF4000+RSC15, PP-macro+RSC15를 혼입하여 합성보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FRP 판에 잔골재를 미부착한 경우는 보의 중앙에 발생한 휨 균열이 크게 벌어지면서 FRP 판과 콘크리트가 미끄러짐에 의한 파괴형태를 보여주고 있음으로 잔골재 부착은 필수적 사항이라 판단되며, 파괴모드에 대한 섬유보강재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FRP 판에 잔골재를 부착한 실험 결과는 1200, 2000mm 모두 콘크리트와 FRP 사이에 충분한 부착이 형성되었다. 일반콘크리트보다 섬유보강재를 혼입한 경우 최대 하중이 높게 나타났고, 그 중 PP계열의 섬유보강재를 혼입한 경우 최대 하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균열이 섬유보강재에 의해 지연되면서 FRP 리브와의 합성작용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해저 유동관내 하이드레이트 형성 방지를 위한 PVCap의 억제효과에 관한 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Inhibition Effect of PVCap to Prevent Formation of Hydrate in Subsea Flowline)

  • 김영민;최준호;이정환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6-64
    • /
    • 2020
  • 해양 가스전의 다양한 생산환경에서 PVCap의 하이드레이트 억제 성능을 평가하고자 PVCap 농도, 과냉각 온도, 염수 농도, MEG 혼합 농도 변화에 따라 하이드레이트 지연시간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고압의 하이드레이트 반응 실험 장치를 제작하였으며, 하이드레이트 평형 조건 및 지연시간 측정결과를 선행 실험과 비교함으로써 실험장치의 신뢰성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과냉각 온도 6.1, 9.2, 12.1℃조건에서 PVCap 농도 0.1~1 wt%의 억제 성능을 분석한 결과, 과냉각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PVCap으로 인한 지연시간이 감소하였다. 염수 농도가 3 wt%에서 7 wt%까지 증가하였을 때, PVCap 폴리머 체인의 구조 저하가 발생하여 PVCap 0.5 wt% 조건에서 최대 78%까지 지연시간이 감소하였다. MEG 10 wt%와 PVCap을 혼합한 HHI(hybrid hydrate inhibitor)의 경우, 아억제(under-inhibition) 영향으로 PVCap 1 wt%에 비해 지연시간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MEG 20 wt%인 HHI에서는 하이드레이트 억제 효율이 1.7배 증가하였다.

고체산화물연료전지 공기극의 재료개발동향 (Cathode materials advance in solid oxide fuel cells)

  • 손영목;조만;나도백;길상철;김상우
    • 에너지공학
    • /
    • 제19권2호
    • /
    • pp.73-80
    • /
    • 2010
  •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는 청정에너지기술로써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전환한다. SOFC는 열병합발전과 결합하여 80%이상의 효율을 올릴 수 있으며 천연가스와 바이오가스 등 연료에 대한 융통성이 폴리머전해질막연료전지(PEMFC)보다 높다. YSZ전해질과 함께 SOFC에 주로 채용되는 공기극 재료는 아직까지 Sr이 첨가된 $LaMnO_3$(LSM)이다. LSM 이외에, 혼합전도성을 가지는 페로브스카이트로서 Sr첨가 $LaCoO_3$(LSCo), $LaFeO_3$(LSF), $LaFe_{0.8}Co_{0.2}O_3$(LSCF)는 공기극 임피던스가 LSM에 비해 현저히 낮아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SOFC전극의 소결온도에서 YSZ과 고체반응을 일으키는 문제점과 열팽창 계수가 YSZ와 격차가 크게 나는 문제점 때문에 전극 제조가 복잡하다. 따라서 전해질과의 화학적 안정성 및 유사한 열팽창계수(TEC)를 가지면서 우수한 전기화학활성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해야할 중요한 문제로 남는다.

감의 연화와 관련된 세포벽다당류의 변화 (Softening Related Changes in Cell Wall Polysaccharides of Persimmon)

  • 김순동;박남숙;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8-162
    • /
    • 1986
  • 감의 연화에 따른 세포벽다당류의 조성과 함량 및 gel여과를 통한 개략적인 분자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세포벽의 함량은 연화된 감에서 현저히 감소되었는데 구체적으로 ionically associated pectin (IAP )은 59%, covalently bounded pectin (CBP)은 60%, $0{\sim}3N$ KOH soluble hemicellulosic fraction($HF_2$)은 74%가 감소된 반면 4N KOH soluble hemicellulosic fraction($HF_2$)과 cellulosic fraction(CF)은 큰 변화가 없었다. 신선한 감과 연화된 감의 IAP와 CBP 구성다당류의 조성은 uronic acid외에 hemicellulose에 유래한 Pentose와 hexose가 함유되어 있었고 연화에 따라 IAP에서는 pentose가 CBP에서는 hexose가 감소되었다. 개략적인 분자량은 IAP의 400만과 25만의 Peak이 130만과 6만으로, CBP의 경우는 400만이상의 Peak이 60만과 20만으로 CBP에서의 저분자화 정도가 현저하였다. $HF_1$$HF_2$ 역시 polyuronide의 함유율이 높았는데, $HF_2$가 현저하였다. 또 연화에 따라 $HF_1$은 pentose가 $HF_2는$ uronic acid와 hexose의 손실율이 높았다. $HF_1$의 연화에 따른 재략적인 분자량은 200만의 peak이 2개로 분리 되었고 $HF_2$는 수백만 단위의 거대분자가 만단위까지 저분자화 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의 연화는 CBP에 인결된 hemiceldlose중 특히 $HF_2$의 저분자화와 CBP자체의 분해 내지가용화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Prebiotic Properties of Levan in Rats

  • Jang, Ki-Hyo;Kang, Soon-Ah;Cho, Yun-Hi;Kim, Yun-Young;Lee, Yun-Jung;Hong, Kyung-Hee;Seong, Kyung-Hwa;Kim, So-Hye;Kim, Chul-Ho;Rhee, Sang-Ki;Ha, Sang-Do;Choue, Ryo-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348-353
    • /
    • 2003
  • Generally, two different types of fructose polymer are found in nature. One is inulin, whose fructosyl residues are linked mainly by a ${\beta}-(2,1)-linkage$, while the other is high-molecular-weight levan, whose fructosyl residues are linked mainly by a ${\beta}-(2,6)-linkage$. In contrast to the extensive studies on the prebiotic properties of inulin, there has been no report on the effect of levan on the large bowel microflora in viva. Therefore, to examine whether dietary levan can be used as a prebiotic,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one of two diets for 3 weeks: 1) basal diet plus sucrose; 2) basal diet plus 10% (wt/wt) levan. The cecal bowel mass, cecal and colon short-chain fatty acids (SCFAs), pH, and microflora were then compared. The intake of the levan-containing die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cecal weight and wall weight. The analyses of the SCFAs in the cecal and colonic contents revealed that levan was converted into acetate, butyrate, and lactate, which resulted in acidic conditions. The intake of levan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microorganisms by 5-fold and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LAB) 30-fold in the feces. Accordingly, the current work shows that levan can be used as a prebiotic for stimulating the growth of LAB in an animal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