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xaconazole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s of Hexaconazole on Growth and Antioxidant Potential of Cucumber Seedlings under UV-B Radiation

  • Kim, Tae-Yun;Hong, J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435-1447
    • /
    • 2012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hexaconazole (HEX), a triazole fungicide, on the growth, yield, photosynthetic response and antioxidant potential in cucumber (Cucumis sativus L.) plants subjected to UV-B stress. UV-B radiation and HEX were applied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to cucumber seedlings. The growth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reduced under UV-B treatment, however, this growth inhibition was less in HEX treated plants. HEX caused noticeable changes in plant morphology such as reduced shoot length and leaf area, and increased leaf thickness. HEX was quite persistent in inhibiting shoot growth by causing a reduction in shoot fresh and dry weight. HEX noticeably recovered the UV-B induced inhibition of biomass production. Significant accumutation in anthocyanin and flavonoid pigments in the leaves occurred as a result of HEX or UV-B treatments. HEX permitted the survival of more green leaf tissue preventing chlorophyll content reduction and higher quantum yield for photosystemII under UV-B exposure. HEX treatment induced a transient rise in ABA levels in the leaves, and combined application of HEX and UV-B showed a significant enhancement of ABA content which activates $H_2O_2$ generation. UV-B exposure induced accumulation of $H_2O_2$ in the leaves, while HEX prevented UV-B induced increase in $H_2O_2$, indicating that HEX serves as an antioxidant agent able to scavenge $H_2O$ to protect cells from oxidative damage. An increase in the ascorbic acid was observed in the HEX treated cucumber leaves affecting many enzyme activities by removing $H_2O_2$ during photosynthetic processes.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catalase(CAT), ascorbate peroxidase(APX), superoxide dismutase(SOD) and peroxidase(POD) in the leaves in the presence of HEX under UV-B stress were higher than those under UV-B stress alon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EX may participate in the enhanced tolerance to oxidative stress.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HEX moderately ameliolate the effect of UV-B stress in cucumber by improving the components of antioxidant defense system.

한국자생 개맨드라미의 적심 및 왜화제 처리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nching and Retardants on Growth and Flowering of Celosia argentea native to Korea)

  • 이정호;김규식;송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573-579
    • /
    • 2006
  • 한국 자생 개맨드라미를 초장생장을 억제시켜서 분화식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위하여 적심 및 왜화제처리에 따라서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적심의 횟수가 1회부터 3회까지 증가할수록 초장, 절간장 및 화서장은 월등히 작아지고 화서의 수, 엽수 및 측지수는 증가하였다. Diniconazole 12.5-$50.0mg{\cdot}L^{-1}$, hexaconazole 10.0-$40.0mg{\cdot}L^{-1}$ 및 daminozide 3,400-$13,600mg{\cdot}L^{-1}$의 처리는 개맨드라미의 초장, 절간장 및 엽장 등의 생장을 감소시켰고 화서의 수 및 잎의 수는 증가되었다. 특히 diniconazole $50mg{\cdot}L^{-1}$ 및 daminozide $6,800mg{\cdot}L^{-1}$ 처리는 대조구의 초장이 81.3cm에 비교하여 50cm 이하로 월등히 작았고 화서의 수는 2.7개로 대조구 1개보다는 월등히 많았다. 한편 hexaconazole과 daminozide는 농도 및 처리횟수가 증가할 수록 초장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diniconazole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개맨드라미를 왜화시키기 위해서는 12cm 정도 자란, 생육 초기에 diniconazole $50mg{\cdot}L^{-1}$ 및 daminozide $6,800mg{\cdot}L^{-1}$를 1회 경엽에 살포하거나 $2{\sim}3$회 정도 적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국 논토양과 시설하우스 토양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과 환경 노출성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and Environmental Exposure in Paddy Field Soils and Greenhouse Soils)

  • 박병준;이지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4-139
    • /
    • 2011
  • 분석대상 농약의 토양중 잔류분석법에 따른 검출한계는 0.001~0.005 ppm이었으며 2007년에 전국 논토양 150점에 대한 잔류농약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살균제 carpropamid 등 4종, 살충제 buprofezin 등 4종, 제초제는 butachlor 등 3종 농약이 검출 되었다. 검출빈도는 oxadiazon 성분이 19.3%로 가장 높았고 살균제 hexaconazole 성분이 8.0%, isoprothiolane 2.7%순이었고 검출된 농도는 oxadiazon 0.836 ppm, isoprothiolane 0.810 ppm과 buprofezin 0.5 ppm 수준으로 최고 농도를 보였으나 그 밖의 성분은 대체로 잔류수준이 낮게 검출되었다. 2008년에 전국 시설재배지 토양 152점에 대한 잔류농약 성분을 조사한 결과 살균제 hexaconazole 등 6종, 살충제 cadusafos 등 16종, 제초제는 butachlor 등 7종 농약이 검출 되었고 검출빈도는 endosulfan 38.8%로 가장 높았으며, oxadiazon 성분이 13.2%, 살균제 hexaconazole 성분이 10.5%, isoprothiolane 7.2% 순이었다. 검출된 농도는 chlorfenapyr 5.087 ppm으로 가장 높았으며, chlorothalonil 2.565 ppm, oxadiazon 0.715 ppm, isoprothiolane 0.208 ppm 수준을 보였으나 그 밖의 성분은 대체로 잔류수준이 낮게 검출되었다.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이용한 배 주요병해 방제효과 (Control Effect of Environmental-friendly Organic Materials against Major Pear Diseases)

  • 윤덕훈;박혜준;남기웅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01-406
    • /
    • 2010
  • 배 친환경재배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배 재배에 있어서 경제적 손실이 가장 큰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의 포자비산 요인 및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이용한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점은별무늬병원균 및 배붉별무늬병원균에 있어서 포자의 최초 비산은 온도와 관련이 깊으며, 최대비산은 습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미생물제재인 Trichoderma harzianum-YC459과 황제품(80%)을 대상으로 배검은별무늬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발병율이 무처리 75.3%에 비해 화학농약인 hexaconazole 이 11.7%, 미생물제재가 29.3%와 황제품이 43.3%로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관행 배 재배농가에서 농가관행 방제구와 비교하여 미생물제 및 황제품의 단독 및 교호로 추가 살포한 경우, 배검은별무늬병의 발병율은 다소 낮았으나 처리간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배 재배농가에서 배검은별무늬병은 농가 관행방제구 10.3% 대비 황제품 추가 처리구에서는 7.8%의 발병율은 보여 유의한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배붉은별무늬병은 미생물제와 황 제품을 교호로 추가 살포한 처리구에서 4.3%의 낮은 발병율을 보여 농가 관행방제구 7.1% 대비 유의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국내 유통 농산물 중 EBI계 농약 모니터링과 위해도 평가 (Monitoring of Ergosterol Biosynthesis Inhibitor (EBI)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Agricultural Products and Risk Assessment)

  • 이희정;최원조;이주영;조대현;강찬순;김우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79-1784
    • /
    • 2009
  • 우리 국민의 주식이 되는 쌀(백미)과 콩류, 감귤류, 열대과 일류, 엽채류, 엽경채류, 근채류, 과채류, 버섯류에 속하는 농산물(989건)에 대해 8종의 EBI계 농약의 잔류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8건의 검체에서 농약이 검출되었고 농약 수는 5종이 검출되었다. 기준 미설정 농약은 2종이었으며, 곡류 134건 중 4건 검출로 3.0%, 채소류 471건 중 4건 검출로 0.8%의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그 외 콩류(48건), 견과종실류(72건), 과실류(197건), 버섯류(67건)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으며 부적합율은 0.1%로 나타났다. 국내 미등록농약인 paclobutrazole이 근대에서 잠정허용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EBI계의 검출율은 0.8%로 매우 낮았으며 검출된 농약의 경우도 기준규격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주요 하천수역에서 검출된 농약의 수서생물에 대한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for Aquatic Organisms of Pesticides Detected In Water Phase of Six Major Rivers in Korea)

  • 이지호;박병준;김진경;김원일;홍수명;임건재;홍무기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8-54
    • /
    • 2011
  • 국내 주요 6대 하천수역 내 농약 성수기에 검출된 농약의 검출수준을 조사하였고, 수서 생물 3종(조류, 물벼룩, 어류)의 농약 노출에 따른 위해 기능성을 위해 지수(HQ indexes)에 의해 평가하였다. 총 40지점의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 검출농약은 살균제isoprothiolane, hexaconazole, 살충제 diazinon, chlorpyrifos, prothiofos, 제초제 alachlor, butachlor, molinate의 총 8종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isoprothiolane이 67.5%의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고, 그 이외의 농약은 15~37.5% 범위의 검출빈도를 나타내었다. 검출빈도는 butachlor >, prothiofos >, ch1orpyrifos >, hexaconazole, molinate > diazinon, alachlor순으로 조사되었다. 전 하천수역에서 수서 생물 3종(조류, 물벼룩, 어류)에 대한 위해 지수가 1.0을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수 생태계에 대한 위해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주요 하천수역 내 수서 생물의 위해 가능성에 대한 각 검출 농약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평가한 결과, 수서 생물 종별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조류는 butachlor와 molinate성분에 의해, 물벼룩은 chlorpyrifos, diazinon, prothiofos 성분에 의해, 어류는 chlorpyrifos성분에 의해 위해 지수의 기여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하천 수계별 농약관리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데 있어 필수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riazole계 화합물의 엽면살포 및 토양관주 처리가 백일홍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liar Spray and Soil Drench of Triazole Chemicals on Growth and Flowering in Zinnia elegans)

  • 이승우;안성은;김영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68-573
    • /
    • 2001
  • 본 실험은 triazole계 화합물을 백일홍 'Dream Land Rose'와 'Dream Land Scarlet'에 경엽살포 또는 토양관주처리를 하여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경엽살포처리에서 'Dream Land Rose'의 초장은 tebuconazole, diniconazole, bitertanol에서 크게 감소하였으며 특히, tebuconazole이 가장 큰 왜화효과를 보였고 지상부 생체중도 가장 적었다. 꽃의 직경, 생체중, 건물중도 tebuconazole 고농도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개화소요일수는 약제처리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Dream Land Scarlet'의 초장도 모든 처리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tebuconazole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개화소요일수는 diniconazole에서 단축되었다. 토양관주처리에서 'Dream Land Rose'의 초장은 diniconazole과 myclobutanil에서 감소하였으나 diniconazole이 더 효과적이었다. 개화소요일수는 diniconazole에서 단축되었다. 'Dream Land Scarlet'의 초장은 모든 처리에서 감소하였으며, mycrobutanil $300mg{\cdot}L^{-1}$에서 극심한 억제현상을 보여서 개화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개화소요일수는 diniconazole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Triazole Fungicides Sensitivity of Sclerotinia homoeocarpa in Korean Golf Courses

  • Lee, Ji Won;Choi, Jihye;Kim, Jin-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6호
    • /
    • pp.589-596
    • /
    • 2017
  • Chemical management of dollar spot in turf may lead to the development of Sclerotinia homoeocarpa populations with reduced fungicide sensitiv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istance of S. homoeocarpa isolates to triazole fungicides and to test cross-resistance among three triazole fungicides. A total of 66 isolates of S. homoeocarpa were collected from 15 golf courses across Korea, and tested via in vitro sensitivity assay against hexaconazole, propiconazole and tebuconazole. $EC_{50}$ values of the isolates to these fungicides were distributed in the range of $0.001-1.1\;a.\;i.\;{\mu}g\;ml^{-1}$. Based on the $EC_{50}$ values, twelve representative strains were selected as sensitive isolates including control and insensitive isolates with respect to each fungicide. At a concentration of $0.1\;a.\;i.\;{\mu}g\;ml^{-1}$ for all fungicides, the selected strains were distinguished as sensitive or resistant isolates with the mycelial growth inhibition rate of 50% as the criterion. The $EC_{50}$ values of resistant strains exposed to hexaconazole, propiconazole and tebuconazole were 20-50 times, 50-70 times, and 77 times greater, respectively, than that of the control strains. Two isolates of S. homoeocarpa S0-41 and Sh14-2-1 showed sensitivity toward all the fungicides used, while two other isolates Sh7-5-1 and Sh2-1-1 showed resistance to all fungicides. Each isolate showed similar resistance to the three types of triazole fungicides, whereby cross-resistance of isolates was confirmed in the present study; all three triazole fungicide combinations displayed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s equivalent to or greater than 0.8.

Efficacy of Newer Molecules, Bioagents and Botanicals against Maydis Leaf Blight and Banded Leaf and Sheath Blight of Maize

  • Malik, Vinod Kumar;Singh, Manjeet;Hooda, Karambir Singh;Yadav, Naresh Kumar;Chauhan, Prashant Kumar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2호
    • /
    • pp.121-125
    • /
    • 2018
  • Maize (Zea mays L.; 2N=20) is major staple food crop grown worldwide adapted to several biotic and abiotic stresses. Maydis leaf blight (MLB) and banded leaf and sheath blight (BLSB) are serious foliar fungal diseases may cause up to 40% and 100% grain yield loss,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ies were undertaken to work out the efficacy of chemicals, botanicals and bioagents for the management of MLB and BLSB under field condition for two seasons Kharif 2014 and 2015. Five molecules (propiconazole 25 EC, hexaconazole 25 EC, carbendazim 50 WP, mancozeb 75 WP and carbedazim 12 WP + mancozeb 63 WP), two bioagents i.e. Trichoderma harzianum and T. viridae and three botanicals namely azadirachtin, sarpagandha and bel pathar were tested for their efficacy against MLB. Eight newer fungicides viz., difenconazole 250 SC, hexaconazole 5 EC, carbendazim 50WP, validamycin 3 L, tebuconazole 250 EC, trifloxystrobin 50 WG + tebuconazole 50 WG, azoxystrobin 250 EC and pencycuron 250 SC were evaluated against BLSB.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effects of propiconazole at 0.1%, carbendazim 12 WP + mancozeb 63 WP at 0.125% and sarpagandha leaves at 10% against MLB pathogen, whereas validamycin at 0.1% and trifloxystrobin 25 WG + tebuconazole 50 WG at 0.05% were found effective against BLSB. The slow rate of disease control virtually by the bioagents might have not shown instant effect on plant response to the yield enhancing components. The identified sources of management can be used further in strengthening the plant protection in maize against MLB and BLS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