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xaconazole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Hexaconazole의 처리가 수박의 생육 및 박의 ethylene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xaconazole on growth of watermelon(Citrullus lanatus Schrad) and ethylene evolution of gourd(Lagenaria siceraria Standl))

  • 김수정;이정명;강충길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8-112
    • /
    • 1998
  • Hexaconazole의 처리가 수박의 생육 및 박의 ethylene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약제처리 방법에 따른 수박 생장의 억제효과는 경엽처리가 현저하게 효과적인데 반하여 토양관주 처리에서는 효과가 없거나 미미하였다. Hexaconazole 경엽처리시 수박생장은 약제처리 7일후에는 농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신장, 마디수가 억제된 반면 약제처리 42일후에는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Hexaconazole 처리시 수박의 암꽃 착화위치는 착과부위인 제 2번 암꽃까지의 길이생장 및 마디수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고, 측지길이에 미치는 영향은 제 2, 제 3마디에서 현저하게 억제되었는데 이는 처리시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Hexaconazole 처리시 박의 ethylene 발생량은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ethylene 발생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약제처리 5일까지는 계속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하였다.

  • PDF

살균제 hexaconazole의 잉어(Cyprinus carpio L.) 장기 중 분포 (Distribution of the fungicide hexaconazole in internal organs of carp (Cyprinus carpio L.))

  • 이은영;박인영;김병석;박연기;유오종;박경훈;김균;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17-221
    • /
    • 2007
  • 살균제 hexaculazole(1-(6-chloro-3-pyridytmethyl)-N-nitroimidazolidin-2-ylideneamine)의 잉어(Cyprinus carpio L.) 체내 장기중 분포를 구명하기 위하여 hexaconazole를 환경추정농도인 $0.32\;mg\;kg^{-1}$로 처리한 시험수에 잉어를 지수조건에서 4일간 노출시켰다. 수중의 hexaconazole은 잉어체내에 흡수되어 노출 2일차에 최대 흡수량을 나타내었으며, 다른 장기에 비해 쓸개에서 농도가 가장 높았다. 처리 후 2일차의 쓸개중hexaconazole의 농도는 간 중 잔류량의 약 25배, 신장 중 잔류량의 67배이었다. 이 결과를 근거로 할 때 잉어체내에 흡수된 hexaconazole의 주요 배설경로는 담도로 추정되었다.

식물생장억제제와 Triazole계 살균제 처리에 의한 'New Guinea' 임파첸스(Impatiens hawkeri hybrida) 삽수의 발근촉진 (Rooting Promotion of 'New Guinea' Impatiens (Impatiens hawkeri hybrida) Cuttings by Treatment of Plant Growth Retardants and Triazole Fungicides)

  • 이승우;노경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6호
    • /
    • pp.823-826
    • /
    • 2000
  • 본 실험은 왜화제인 daminozide, chlormequat, hexaconazole, uniconazole, paclobutrazole과 triazole계 살균제인 diniconazole, myclobutanil, difenoconazole, tebuconazole, bitertanol 등이 'New Guinea' 임파첸스의 삽수발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왜화제 처리에 의한 부정근의 형성은 'Papete'와 'Anguilla'에서 daminozide를 제외한 모든 약제에서 촉진되었으며 hexaconazole, uniconazole과 paclobutrazole 처리에서 chlormequat보다 더 많은 부정근이 형성되었다. 최장근의 길이와 근권은 'Papete'에서 chlormequat, hexaconazole, uniconazole 및 pac1obutrazol의 비교적 높은 농도에서 감소되었으나 'Anguilla' 품종에서는 차이가 적었다. 한편, triazole계 살균제처리에 의한 부정근의 형성은 'Papete'와 'Martinique' 품종에서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Pagopago'에서는 큰 영향이 없었다. 최장근의 길이와 근권은 'Martinique'와 'Pagopago'에서 'Papete'에 비하여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발근촉진을 위하여 triazole계 살균제들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 PDF

땅콩의 생화학성분에 미치는 Hexaconazole의 영향 (Influence of Hexaconazole on Biochemical Constituents of Groundnut)

  • ;;;차병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35-341
    • /
    • 2008
  • 인도에서 온실조건 하에 땅콩을 재배하면서 ergosterol 생합성 저해제인 hexaconazole 5% SC를 추천농도($500\;mL\;ha^{-1}$) 및 고농도($2,000\;mL\;ha^{-1}$)로 처리하고 그 영향을 관찰하였다. Phaeoisariopsis personata(Berk and Curt)에 의한 점무늬병 방제능력과는 별도로 땅콩식물체의 생화학적 구성성분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hexaconazole 5% SC를 분무한 식물체에서 다양한 시간 간격으로 잎 표본을 채취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엽록소, 가용성 단백질, 총페놀함량 등 식물 구성성분과 질산환원효소의 역가에 심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방어관련 효소, 즉 peroxidase의 활성 유도 또한 관찰하였으나, isozyme 양상에는 차이가 없었다. 더욱이, 처리한 식물에서 수확한 토양의 땅콩에서도 탄수화물과 기타 구성성분들의 양적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살균제 hexaconazole의 홉착 및 용탈 특성 (Adsorption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fungicide hexaconazole)

  • 경기성;이병무;임양빈;이영득;한성수;최주현;김진화;류갑희;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6-53
    • /
    • 2004
  • 살균제 hexaconazole의 용탈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토양 흡착과 담수토양중 용탈을 시험하였다. 토양홉착성은 Fretmdlich 홉착등온식에 부합하였으며, Kf값은 10.56-18.01로써 토양 용탈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Hexaconazole의 용탈량은 숙성잔류물 함유 토양보다는 신생잔류물 함유 토양에서, 벼 무 재배구보다는 벼 재배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컬럼 표토에 처리한 방사능의 대부분 약 86-99%가 표토로부터 5cm 부위에 분포하였다. 이상의 결과와 $K_{oc}$값이 1,400-1,552이고 Grotmdwater Ubiquiy Score (GUS) index가 1.25-1.35인 점을 고려할 때 hexaconazole은 비용탈성 농약(improbable leacher)으로 분류되어 수도재배지에서의 용탈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종 농약 다성분 분석법을 이용한 농산물 중 hexaconzole 분석 (Analysis of Hexaconazole in Agricultural Products using Multi Class Pesticide Multiresidue Method)

  • 최수정;황인숙;조태희;이재인;이인숙;육동현;박원희;김무상;김건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66-371
    • /
    • 2015
  • 농산물 중 hexaconazole 분석을 위해, GC-NPD를 이용하여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을 적용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Hexaconazole의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 유효성 검증은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로 하였다. 0.025~5.0 mg/L의 농도에서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0.999이상의 우수한 직선성을 보였다. 상추에 0.04~4.0 mg/kg을 첨가한 농약의 회수율은 89.42~94.15%였고, RSD는 7.78%이하의 재현성을 나타냈다. 검출한계는 0.04 mg/kg였고, 정량한계는 0.11 mg/kg였다. 일간 및 일내 정밀도는 각각 2.42~3.49%와 4.90~7.78%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다종농약 다성분 분석법을 이용한 hexaconazole 분석은 매우 정확하고, 높은 재현성을 보여, 농산물 중 hexaconazole 분석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밀 잎집눈무늬병의 발생에 파종량이 미치는 영향과 방제 약제 선발 (Effects of Different Seeding Rates on Disease Incidences of Wheat Sharp Eyespot and Selection of Fungicides)

  • 박종철;이은숙;조광민;이미자;강천식;최재성
    • 식물병연구
    • /
    • 제18권1호
    • /
    • pp.10-16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 육성 밀 3품종을 이용하여 파종량과 밀잎집눈무늬병의 발생정도를 조사하고, 이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한 약제를 선발하기 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파종량이 기준량의 2배로 증가할 때 발병률이 약 13% 증가하였다. 그러나 감수성인 조품밀만이 2배량 파종시에 발병률이 높아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잎집눈무늬병의 방제 약제 선발을 위해 배지상에서 약제별 효과를 검정한 결과, Triazole 계통인 Hexaconazole EC과 Tebuconazole EC는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하지만 strobilurin 계통의 Pyraclostrobin EC과 Trifloxystrobin SC는 균사 억제 효과가 약하였다. 식물체에 직접 처리하여 약효를 검정한 결과, in vivo 활성과 in vitro 활성은 유사하게 나타났고 예방효과가 치료효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Hexaconazole EC와 Tebuconazole EC의 예방효과는 각각 64%와 73%였고, 치료효과는 각각 45%와 39%였다. 본 연구결과는 Hexaconazole EC와 Tebuconazole EC가 밀에 발생하는 입짚눈무늬병의 방제제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살균제 hexaconazole 토양잔류물의 벼 재배 microecosystem(pot)중 행적 (Behavior of the soil residues of the fungicide hexaconazole in a rice plants-grown microecosystem (pot))

  • 경기성;이병무;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98-209
    • /
    • 2004
  • 살균제 hexaconazole의 벼 및 토양 중 행적을 구명하기 위하여 $[^{14}C]$hexaconazole의 신생 및 숙성 토양 잔류물을 함유한 microecosystem(pot)에서 42일간 벼를 재배하였다. 28일간의 숙성기간중 방출된 $^{14}CO_2$의 양은 총처리방사능의 0.11%이고 주당 평균분해율은 0.03%이었다. 42일간의 벼 재배기간중 방출된 $^{14}CO_2$의 양은 숙성토양에 벼를 재배하지 않은 처리구와 벼를 재배한 처리구에서 각각 총처리방사능의 0.67%와 1.17%인 반면 숙성하지 않은 신생토양의 경우는 각각 1.25%와 1.72%로서 숙성토양보다는 신생토양에서, 벼를 재배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재배한 경우에 무기화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휘발율은 미미하였다. 벼 재배 후 방사능은 주로 토양에 분포하였으며, 벼에 흡수된 방사능은 벼 지상부의 선단으로 집적되었다. 토양중 추출불가 결합잔류물의 양은 벼를 재배할 경우 증가하였으며, 그 분포양은 humin>fulvic acid>humic acid순이었다. 후작물인 배추에 흡수이행된 $^{14}C$는 hexaconazole의 신생 및 숙성잔류물을 함유한 벼 재배토양에서 각각 총처리 방사능의 2.36%와 3.69%로써 소량이 흡수이행되었으며, 신생잔류물보다 숙성잔류물의 이용률이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