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terotrophic bacteria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21초

동해 연안역의 박테리아 생산력과 유기물질의 분해능 (Bacterial Productivity and Degradability of Organic Compounds in the Coastal Area of East Sea)

  • 이기성;고동규;김근호;이영근;최청일;최영길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59-69
    • /
    • 1999
  • 동해 연안역의 부영양화 상태 및 종속영양세균에 의한 유기물질 분해능을 조사하기 위해서 대진, 갈남, 포항, 울산의 4개 지역의 연안역을 대상으로 1994년 7월부터 1995년 4월까지 4회에 걸쳐 종속영양세균군집, 오염의 신호화합물, 세균의 생산력, 종속영양활성도 및 세포외 효소활성도 등을 분석하였다. 중금속내성균의 수는 포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종 유기인을 이용하는 세균군집을 조사한 결과 유기인(C-P)화합물이 많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폐수, 가정하수 및 농업폐수 등이 많이 유입되는 정점에서 이들 유기인 화합물을 분해하고 산화 환원시키는 세균군집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 세균의 출현빈도는 산업폐수, 가정하수 그리고 농업용수의 유입예측지표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세포외 효소활성도는 울산 처용암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종속영양 세균수와 세균의 생산성 등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Poly-P와 DNA의 경우, 정점별로는 포항이 가장 높았고, 울산, 갈남, 대진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종속영양세균의 분포양상과 매우 일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종속영양 활성도는 정점별, 계절별 변화가 매우 심하였다. 세균의 생산력은 하계에 가장 높고 추계와 동계에 낮았다가 춘계에 다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나 종속영양세균의 계절적 변화양상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세균의 군집, poly-P함량, 세균의 생산력, 종속영양활성도 및 세포외 효소활성도 등의 분석자료는 부영양화 상태 및 유기물질의 순환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입상 활성탄 여과지에서 세균의 재성장과 생물막 형성 세균의 분리 및 동정 (Bacterial regrowth in biofilms formed in granular activated carbon filter adsorbers and the bacterial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 이규철;권순복;이병기;박종근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5-212
    • /
    • 2008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biofilm formation, bacterial regrowth, and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the granular-activated carbon (GAC) filter adsorbers (FAs) used in water treatment plants. In 2005 and 2006, raw water, settled water, GAC FA by depth, and filtered water were collected twice a year from water treatment plants (WTPs) B and S. The number of heterotrophic bacteria, including mesophilic and psychrophilic bacteria, in such collected waters was investigated along with the total number of coliforms therein. Heterotrophic bacteria were detected in most samples, mainly at the surface layers of the GAC FAs, and fewer such bacteria were found in the lower and bottom layers. An increase in the bacterial number, however, was observed in the samples from various depths of the GAC FAs in WTPs B and S compared with the surface layers. An increase in the bacterial number was also detected in the filtered water. This may indicate that there is a regrowth of the bacteria in the GAC FA. Considering, however, that heterotrophic bacteria were not found in the filtered water, it can be deduced that most bacteria are removed in the chlorination process. Coliforms were detected at the surface layer of the GAC FAs, but their regrowth was not observed. MicroLog systems were used to identify the bacteria community distribution. Eight genera and 14 species, including Pseudomonas spp., were detected in WTP B, and 8 genera and 9 species, including Aeromonas spp., in WTP 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lucidate their role in the biofilms in water treatment processes.

수동천에서의 세균의 분포와 생리적 활성도 (Bacterial Abundance and Heterotrophic Activity in Sudong Stream)

  • 최성찬;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2-338
    • /
    • 1988
  • 북한강 수계의 지류인 수동천에서 1986년 7월부터 1987년 3월까지 4개의 정점으로부터 종속영양 세균의 크기와 생리적 활성도를 조사하였다. 총 세균수는 0.8-$25.2\times 10^{5}$ cells/ml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글루코오즈 흡수능 $V_{max}$은 0.006-24.39mg-C/l/hr의 변화폭을 보여주었다. 계절적인 분포에 있어서 $V_{max}$값은 여음에 높고, 겨울에 낫은 뚜렷한 계절적 양상이 판찰 되었으나 콜로니 생성균 수의 변화는 특정적 양상을 볼 수 없었다. 지역적으로는 인간활동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상류 정점에서 세균수와 생리적 활성도가 가장 낮으며, 유기 오염물질이 대량 유입되는 쟁점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수푼을 나타내어 이러한 유입 현상이 전 수동천 생태계의 세균 군집의 크기 및 생리적 활성도의 변화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이 관찰되었다.

  • PDF

소양호 세균 군집의 계절적 분석 (Seasonal analysis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in lake Soyang)

  • 강찬수;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8-384
    • /
    • 1989
  • The numerical taxonomy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in Lake Soyang was analysed. 95, 115, 88 and 75 strains which were isolated at each season from spring in 1987 to winter in 1988 were clustered by single matching coefficient. The diversity indices (H') were in the range of 0.511-1.684, and the community was most diverse in spring. THe seasonal variation of generic composition was significant. Of the domonant genera, Acinetobacter, Pseudomonas, and Flavobacterium were representative.

  • PDF

상수관망에서 Chlorite-Monochloramine 소독제를 이용한 질산화 세균 및 종속영양세균의 제어 (Combined Chlorite-Monochloramine Application for Controlling Nitrifying and Heterotrophic Bacteria in Drinking Water Distribution System)

  • 박세근;김영관;최성찬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1-3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암모니아 산화세균과 종속영양세균을 포함한 세균 생물막에 대한 chlorite ($0.66{\pm}0.01mg/L$)의 영향을 monochloramine ($1.77{\pm}0.03mg/L$)의 존재 유무에 따른 조건에서 알아보았다. Chlorite 단독 또는 monochloramine과 함께 적용한 경우에서 공히 생물막과 물 시료에 존재하는 암모니아 산화세균은 검출한계($0.6MPN/cm^2$ and 0.2 MPN/ml)에 근접한 수준으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chlorite/monochloramine으로 함께 첨가했을 때의 저해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종속영양세균의 경우 암모니아 산화세균과 달리 chlorite에 의한 저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chlorite/monochloramine으로 적용한 경우 생물막과 물 시료에서 종속영양세균의 개체 수는 대조군 대비 각각 3.1 log와 3.0 log 감소하는 상당한 저해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상수관망에 형성된 생물막에 존재하는 질산화 세균과 종속영양세균에 대한 효과적 제어방법중의 하나로 chlorite와 monochloramine 혼합사용의 성공적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군산부근 조간대에서의 해양종속영양 세균의 계절적 분포와 특성 (Season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terotrophic Marine Bacteria in the Intertidal Zone Near Kunsan of Yellow Sea, Korea)

  • 이건형;김상진;이원호;이다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31-336
    • /
    • 1990
  • Annual distribution of hiterotrophic marine bacteria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the intertidal waters and sediments in the vicinity of Kunsan of Yellow Sea, Korea. Annual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marine bacteria ranged from $ 7.5*10^{2}$ to $1.1*10^{5}$ c.f.u./ml in water and from $1.6*10 ^{4}$ to $4.8*10^{6}$ c.f.u.per g dry sediments. As for the morphological distribution measured by epifluorescence microscopy, rod-form bacteria were distributed more than 74% of total observed bacteria during surveying periods. Average biovolume of sampled bacteria ranged from $3.19\;+-\;0.59*10^{-2}$ to $6.19\;+-\;0.76*10^{-2}$ $\mu$$m^{3}$ for coccus-form bacteria. Isolated bacteria showed various utilization of carbon sources such as glucose, maltose, lactose, xylose and arabinose, and showed tolerance at various range of salinity. It was isolated 82 genus in seawater and 114 genus in sediments. Dominant genera were Pseudomonas, Vibrio, Flavobacterium and Acinetobacter in seawater, and Pseudomonas, Acinetobacter, Vibrio, and Mycobacterium in sediments.

  • PDF

상수도관망에서 분리한 잔류염소 내성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lorine-Resistant Bacteria Isolated from Water Pipe Network)

  • 현재열;윤종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34-341
    • /
    • 2011
  • The free residual chlorine of tap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266 faucets on the water pipe network in Daegu City, was between 0.1 and 0.79 mg/L. On microorganic tests, general bacteria and the coliform goup were not detected and thus the tap water was turned out to be fit to drink. In particular, samples of which free residual chlorine was 0.1 mg/L and over were cultured in R2A agar media at $25^{\circ}C$ for 7 days, and as a result heterotrophic bacteria were detected in 65.9% of samples; (1). The closer tap water got to the faucet from the stilling basin, the lower residual chlorine concentration became but the more the bacterial count became. And, more bacteria were detected in the R2A agar medium than in the PCA medium. (2). In the case of separated strains, most colonies were reddish or yellowish. 16S rRNA sequence was identified as Methylobacterium sp. and Williamsia sp., and yellow strain was identified as Sphingomonas sp., Sphingobium sp., Novosphingobium sp., Blastomonas sp., Rhodococcus sp. and Microbacterium sp. White strain was identified as Staphylococcus sp. (3). Sterilized tap water in polyethylene bottles was inoculated with separated strain and was left as it was for 2 months. As a result, bio-film was observed in tap water inoculated with Methylobacterium sp. and Sphingomonas sp. It was found that heterotrophic bacteria increased when free residual chlorine was removed from tap water in the water pipe network. Thus, there is a need to determine a base value for heterotrophic bacteria in order to check the cleanliness of tap water in the water pipe network.

군산 인근 해역에서 종속영양 세균의 분포, 평균체적 및 세포외 효소활성력 (Distribution, Biovolume and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the Sea near Kunsan,Korea)

  • 이건형;김재원;김정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7권1호
    • /
    • pp.79-90
    • /
    • 1994
  • 1991년 11월부터 1992년 8월까지 총 8회에 걸쳐 금강하구에서 고군산군도까지 6개 정점을 대상으로 종속영양 세균의 분포와 평군체적 및 세포와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해양성 종속영양 세균은 1.0X103~5X105 c.f.u./ml의 범주에서 분포하였으며, 간균이 45~72%를 차지하였다. 또한 구균의 평균체적은 (7.69$pm$0.18)X10-2~(8.18$pm$0.38)X10-2$mu$m3, 간균은 (6.09$pm$0.29)X10-2~(7.72$pm$0.41)X10-2$mu$m3의 범주에서 변화하였다. 세포외 효소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glucosidase의 활성은 0~3.49$mu$M/l/hr, chitinase의 활성은 0~1.25$mu$M/l/hr, phosphatase는 0~11.95$mu$M/l/hr, amylase는 0~3.80$mu$M/l/hr의 범주에서 측정되어 세포외 효소활성은 여름철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측정효소중 phosphatase의 활성이 가장 높았다. 종속영양 세균의 분포와 세포외 효소활성은 수온과 유입되는 유기물의 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세균의 체적의 크기는 세포외 효소 활성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었다.

  • PDF

남해 퇴적토에서 종속영양 세균의 분포 및 세포의 효소 활성력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of Bacteria in the Sediment of South Sea, Korea)

  • 김상진;이건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383-390
    • /
    • 1992
  •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남해해역 ($123^{\circ}$/30'E-$128^{\circ}$/30'E, $32^{\circ}00N-34^{\circ}$ 30'N)을 대상으로 퇴적토 시료를 1988년 7월 31일부터 8월 10일, 1989년 3월 9일 부텨 3월 13일에 걸쳐 2회 채취하였다. 퇴적토시료는 숙성된 해수와 증류수를 각각 넣은 ZoBell 2216 E 평판배지를 사용하여 해양 세균과 담수 새균을 계수하였고 종속영양 세균분포와 세포외 효소활성을 측정 분석하였다. 종석영양세균의 분포는 하계의 경우 해양 세균과 담수 세균 각각 $0.3{\times}10^{6}~15{\times}10^{6}/cm^{3}$ sediment, $0.3{\times}10^{7}~30{\times}10^{7}/cm^{3}$ sediment, $0.01{\times}10^{6}~19{\times}10^{6}/cm^{3}$ sediment로 나타났다. 1989 년 춘계, sediment 표층 종속영양 세균의 절대값은 정점에 따라 1988 년 하계에 비해 최고 100배 이상으로 상승하였고, 대부분의 정점에서 많은 세균수를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총세균에 대한 담수세균의 비율은 하계보다 춘계에 항승하는 결과를 나타냇다. 퇴적토 함수율은 하계보다 춘계에 낮게 나타났으나 유기물량을 나타내는 회분량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춘계에는 하계에 비해 입자가 큰 최적토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나 유기물의 유입이 많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때 남해해열 퇴적토 세균군집은 계절에 따라 매우 높은 분포를 보이고 이 요인으로는 육수의 유입으로 인한 영향을 들 수 있다. 또한 춘계에 해수의 혼합으로 무기영양물질 공급이 일어나고 이어 증식한 프랑크톤이 침강하여 퇴적토에 유입되므로써 세포외 효소 활성력이 높은 세균에 의해 고분자물질이 분해되고 이로 인한 영양물질 공급이 세균상승의 원인 중 하나일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종속영양 질산화- 호기적탈질 세균 Stenotrophomonas sp. CW-4Y의 분리와 질소제거 특성 (Isolation and Nitrogen Removal Characteristics of Heterotrophic Nitrification-Aerobic Denitrifying Bacteria, Stenotrophomonas sp. CW-4Y)

  • 이은영;이창원
    • KSBB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72-80
    • /
    • 2014
  • CW-4Y was identified as Stenotrophomonas sp. by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its 16S rDNA gene sequence. Nitrogen removal by CW-4Y was analyzed in relation to the ammonium concentration, presence of organic carbon, carbon source, and carbon-to-nitrogen ratio (C/N). Stenotrophomonas CW-4Y has heterotrophic nitrification and aerobic denitrification abilities. Stenotrophomonas CW-4Y utilized only glucose as carbon sources, and heterotrophic nitrification and aerobic denitrification were observed regardless of the type of nitrogen source. The maximum ammonium removal rate of CW-4Y was 80 $mg-N{\cdot}L^{-1}{\cdot}d^{-1}$ and its denitrification rate of 192 $mg-N{\cdot}L^{-1}{\cdot}d^{-1}$ at $NO_3{^-}-N$ (about 280 ppm) in shake culture experiments at a C/N ratio of about 15 was about 30 times higher than those of other bacteria with the same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