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rbal medicine safety

검색결과 588건 처리시간 0.027초

두시를 이용한 하태독법의 NC/Nga 생쥐에서 DNFB로 유발된 피부손상 완화 효과 (Effects of Hataedock with Douchi on 2,4-dinitrofluorobenzene-induced Atopic Dermatitis-like Skin Lesion in NC/Nga Mice)

  • 송지훈;안상현;천진홍;박선영;김호현;김기봉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9-115
    • /
    • 2016
  • Hataedock is a Korean medical treatment that administers herbal extracts orally to newborn infants. This method is used for alleviating harmful heat and excreting fetal wastes by meconiu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effect of Hataedock method with Douchi on 2,4-dinitrofluorobenzene (DNFB)-induced atopic dermatitis (AD). The 3-week-old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e control group (Ctrl), the AD-induced group (AE), and the Hataedock-treated group (GT). Only the GT group was treated with Hataedock at the 3rd week. After 28 days from Hataedock treatment, we induced AD-like dermatitis to the AE and GT group by DNFB. The effects of Hataedock were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In the epithelium, PKC-positive reaction of the GT group was decreased by 57%. In the dermal papillae, IL-4-positive reaction was decreased by 34%. In the dermis, the distribution of degranulated mast cells was decreased and substance P-positive reaction was decreased by 49%. In the skin tissue, edema was decreased and MMP-9-positive reaction was decreased by 71%. Tissue damage such as epithelial cell hyperplasia, infiltration of granulocyte and lymphocyte, and capillary distribution were also decreased. The Hataedock method with Douchi maintained skin barrier and inhibited skin-damaging factors via regulating Th2 differentiation. In conclusion, Hataedock has a potential for preventative treatment of AD.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immune-regulating mechanism and verify the safety and efficacy of the Hataedock method.

Escherichia coli O157:H7에 감염된 마우스에 대한 염소산나트륨과 한약재 복합추출물 합제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Sodium chlorate and Korean Herbal Extracts against Mice infec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 차춘남;이여은;손송이;박은기;최현주;김석;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1-86
    • /
    • 2012
  • 본 연구는 황련, 감초, 오미자 그리고 산수유 한약재 복합추출물의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와, 한약재 복합추출물과 염소산나트륨 합제의 $E.$ $coli$ O157:H7 감염 마우스에 대한 항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약재 복합추출물, CGSC10을 이용하여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 확인 시험을 수행한 결과, CGSC10 5, 10, 그리고 20%를 첨가한 배지에서 30시간 동안 배양한 후, $E.$ $coli$ O157:H7의 성장이 각각 34.7, 60.2, 그리고 76.4% 억제되는 효과가 관찰되었다. 또한, $E.$ $coli$ O157:H7을 감염시킨 마우스에 CGSC10, 염소산나트륨, 그리고 CGSC10와 염소산나트륨 합제(CGSCS10)를 음용수를 통해 투여한 결과, 투여 3일째부터, 모든 투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E.$ $coli$ O157:H7의 균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으며($p$ < 0.001), 투여 7일째에는, 10% CGSC10, 15mM 염소산나트륨, 그리고 CGSCS10을 투여한 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E.$ $coli$ O157:H7의 균수가 각각 27.1, 67.7, 그리고 83.3% 정도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CGSCS10을 $E.$ $coli$ O157:H7에 감염된 마우스에 음수로 투여할 경우, 감염증상을 완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바로 약침의 한약재 확인시험 및 HPLC-DAD를 통한 표준화 연구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Shinbaro Pharmacopuncture Using Herbal Medicines Identification Test and HPLC-DAD)

  • 이진호;김민정;이재웅;김미령;이인희;김은지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1-9
    • /
    • 2015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an evaluation and standardization of herbal components in order to establish the efficacy and safety of Shinbaro pharmacopuncture. Methods : Among the raw materials of Shinbaro pharmacopuncture, the components Cibotii Rhizoma, Eucommiae Cortex, and Ledebouriellae Radix were assessed through ingredient verification experiments using thin-layer chromatography(TLC) and ultraviolet rays(UV) lamps. In addition, we standardized Acanthopanacis Cortex and Achyranthis Radix through validation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diode array detector(HPLC-DAD). Results : As result appeared a blue-white fluorescence under ultraviolet rays; changed to dark green after adding 1 % ferric chloride solution(due to Cibotii Rhizoma), and presented a yellow-green fluorescence when mixed with an ethyl ether under UV lamps by way of the ethyl ether layer, confirming Eucommiae Cortex. Ledebouriellae Radix was confirmed as dark brown spots at Rf values of 0.56 and 0.71 using TLC. Additionally, Acanthopanacis Cortex and Achyranthis Radix HPLC test results showed that linearity was $R^2{\geq}0.99$, and detection limit and quantitation limit were 0.23 to $1.29{\mu}g/mL$, and 0.71 to $3.90{\mu}g/mL$, respectively. Furthermore, precision and accuracy were confirmed to have relative standard deviation(RSD) values of 0.10 to 1.89 % and 96.19 to 103.72 %, respectively. Shinbaro pharmacopuncture did not have any overlapping or interference from other peaks in detection under the abovementioned analysis conditions. Conclusions :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maintenance of Shinbaro pharmacopuncture validity was possible by means of quality control of Cibotii Rhizoma, Eucommiae Cortex, and Ledebouriellae Radix through ingredient identification and Acanthopanacis Cortex and Achyranthis Radix through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HPLC) analysis. Further, we hop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strategy of herbal industry acupuncture.

유통 환제의 유해 중금속 함량 및 위해도 평가 (The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Herbal Pills)

  • 이성득;이영기;김무상;박석기;김연선;채영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5-387
    • /
    • 2012
  • 시중에서 유통 중인 환제 31종 93건을 수집하여 유해 중금속 (납, 카드뮴, 비소 및 수은)의 함량을 조사하고 유해성을 평가하였다. 중금속 중 납, 카드뮴, 비소는 Microwave dirgestion system를 이용하여 질산 분해 후 ICP-MS를 사용하였고, 수은은 시료를 수은분석기에 직접 주입하여 측정하였다. 중금속의 위해성 평가는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과 비교하여 %PTWI를 산출하였고 또한 참고섭취량(RfD)과 발암잠재력(SF)을 이용하여 비발암위해도와 발암위해도를 평가하였다. 전체 시료의 중금속의 평균 함량(mg/kg)은 납 0.87, 카드뮴 0.08, 비소 2.87 및 수은 0.16이었고, 재료별 평균 함량(mg/kg)은 표피 0.63, 열매 3.94, 잎 1.42, 뿌리 1.05, 종자 0.16, 해조류 22.31 및 기타 10.17이었다. 납은 전체 시료인 31개 중 28개 시료에서 0.01 mg/kg이상 검출되었으며 카드뮴은 31개 중 24개 시료에서 0.01 mg/kg이상 검출되었고, 비소는 31개 중 29개 시료에서 0.01 mg/kg 이상 검출되었다. 또한 수은은 31개 중 29개 시료에서 0.01 mg/kg 이상 검출되었다. 시료 중 석류환과 칡환은 납의 함량이 높았고, 톳환은 수은의 함량이 높았으며 다시마와 톳환은 비소의 함량이 높았다. 중금속의 위해지수 (비발암위해도)는 표피 0.09, 열매 0.51, 잎 0.33, 뿌리 0.21, 종자 0.02, 해조류 4.84, 기타 0.05이었다. 납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0.77로, 국제식품 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25의 3.1% 수준이었으며, 납의 초과발암위해도는 표피 $1.95{\times}10^{-7}$, 열매 $1.45{\times}10^{-6}$, 잎 $2.14{\times}10^{-7}$, 뿌리 $6.27{\times}10^{-7}$, 종자 $1.99{\times}10^{-8}$, 해조 $3.61{\times}10^{-7}$, 기타 $9.64{\times}10^{-8}$이었으며, 전체 시료에서는 $4.24{\times}10^{-7}$로 산출되어 평생 동안 섭취할 경우 천만명당 4명의 비율로 암이 발생하는 수준이었다. 카드뮴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0.06로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7과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참고섭취량(RfD) 0.001 mg/kg/day의 0.9%이었다. 비소의 평균 주간섭취량(${\mu}g$/kg/week)은 2.14이었으나, 비소의 %PTWI는 2010년 비소 독성에 대한 기존의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값의 유지가 적절하지 못하다는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140)의 판단 하에 폐지되어 비교할 수 없었고,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참고섭취량(RfD) 0.3 ${\mu}g$/kg/day을 기준으로 평가하면 참고섭취량(RfD)의 98.3%이었다. 또한 미국 환경보호청(U.S.EPA)의 발암 잠재력(SF)값을 적용하여 시료 중의 비소종이 모두 무기비소일 경우 초과발암위해도를 산출한 결과 표피 $1.54{\times}10^{-5}$, 열매 $7.24{\times}10^{-5}$, 잎 $1.23{\times}10^{-4}$, 뿌리 $2.02{\times}10^{-5}$, 종자 $3.25{\times}10^{-6}$, 해조 $2.18{\times}10^{-3}$, 기타 $5.67{\times}10^{-6}$이었고, 전체 시료에서는 $3.38{\times}10^{-4}$이었으나, 농산물 중의 무기비소 비율 약 23%를 감안하면 $7.78{\times}10^{-5}$이었으며, 비소 함량이 높게 나타난 해조류를 제외한 다른 시료들의 초과발암위해도는 $9.20{\times}10^{-6}$이었다. 수은의 주간 평균섭취량(${\mu}g$/kg/week)은 0.026로 국제식품첨가물위원회(JECFA)의 잠정주간 섭취허용량(PTWI) 5의 0.5%의 수준이었다. 유통 환제에서 중금속의 함량을 분석하고 위해성을 평가한 결과 중금속이 비교적 높게 검출된 일부 시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시료에서 자연 함량의 수준으로 측정되어,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황기에 표고버섯 균사체를 배양한 추출물이 항암효과 및 알레르기 억제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ycelia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Mushroom-Cultured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on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 배만종;김광중;김수정;예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8-13
    • /
    • 2007
  • 황기를 이용하여 황기균사체를 접종, 배양하여 얻어진 황기균사체 추출액의 간암세포, 유방암세포, 자궁경부암세포 그리고 고형암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3가지 암세포의 형태변화 및 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은 황기균사체 추출물이 황기추출물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황기균사체를 간암세포에 3 mg/mL로 처리했을 때 65.23%, 유방암세포에 5 mg/mL로 처리했을 때 69.42%의 높은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있었다. 자궁경부암세포에서는 황기균사체를 3 mg/mL로 처리했을 때 황기를 처리했을 때보다 암세포 증식억제효과가 23.82%더 높았다. 특히 간암세포와 유방암세포에서 황기균사체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강력한 암세포 증식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형암 억제효과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황기균사체 추출물이 47%의 고형암 억제효과가 있었고, 황기추출물보다 고형암 억제 효과 10% 더 높았다. 히스타민 유리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compound 48/80 처리군에 비해 황기추출물은 7.6%, 황기균사체 추출물은 44.6%의 히스타민 분비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한방기능성 소재에 균사체 배양기법의 접목으로 효능의 상승과 복합기능을 기대할 수 있겠다.

한약재의 벤조피렌 함량 및 추출물에서의 이행률에 대한 연구 (Study on Benzo(a)pyran Content and its Transfer Ratio in Extracts of Medicinal Herbs)

  • 윤혜민;이은주;임광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6권6호
    • /
    • pp.832-84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건조하기 어려운 원료한약재 5 품목(총 50 건)을 대상으로 벤조피렌 함량 및 물 추출물과 연조엑스 제조단계에서의 벤조피렌의 이행률을 HPLC/FLD로 측정하였다. 벤조피렌의 검량선은 3~40 ng/mL의 농도 범위에서 상관계수($R^2$)가 1.000으로서 우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원료한약재의 벤조피렌 검출 범위는 불검출 ${\sim}37.54{\mu}g/kg$이고, 검출평균은 $6.73{\mu}g/kg$이었다. 그 중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고시(2009-302호) 기준인 $5{\mu}g/kg$ 이상 검출된 시료는 15건(30%)이었다. 특히 황련의 벤조피렌 함량은 $37.54{\mu}g/kg$으로서 가장 높았다. 물 추출물, 연조엑스 및 물 추출 후 찌꺼기에서 벤조피렌의 검출 범위는 각각 불검출${\sim}2.31{\mu}g/kg$, 불검출${\sim}2.28{\mu}g/kg$$2.18{\sim}21.91{\mu}g/kg$으로 분석되었다. 물 추출물(탕제)와 연조엑스의 제조에서 벤조피렌은 이행되지 않거나, 특히, 현삼에서 물 추출물과 연조엑스의 경우에 각각 최대 8.9%와 최대 9.8%의 이행률을 보였다. 따라서 원료한약재에 비해 물 추출물 및 연조엑스에서 벤조피렌 함량이 각각 90.0% 이상까지 감소하였다.

광물성 생약 중 중금속의 모니터링 (The monitoring of some heavy metals in oriental mineral medicines)

  • 한은정;정재연;박경수;강인호;강신정;김연제
    • 분석과학
    • /
    • 제21권6호
    • /
    • pp.480-48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시중에 유통중인 광물성 생약에서의 중금속(Pb, Cd, As, Hg)에 대해 모니터링 하였다. Pb, Cd, As의 경우 시료 전처리는 습식분해법으로 하였으며, ICP-MS를 이용하여 검출하였고 Hg의 경우 AMA를 이용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모니터링의 결과 전체 시료(92)의 25.81%(24)가 Pb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능자광(85.5 mg/kg), 부석(41.2 mg/kg), 진사(20.4 mg/kg)에서 기준치(0.5 mg/kg)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Cd의 경우 전체 시료(92)의 9.68%(17)가 함유되어있었으며, 능자광(345 mg/kg), 부석(0.44 mg/kg), 진사(2.78 mg/kg)에서 기준치(0.3 mg/kg) 이상으로 검출되었고, 전체 시료(92)의 24.73%(23)가 As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능자광(5.72 mg/kg), 조산화납(22.2 mg/kg), 황화제이수은(10.0 mg/kg), 진사(12.5 mg/kg), 흑운모(14.6 mg/kg)에서 기준치(3 mg/kg)이상으로 검출되었다. Hg의 경우는 전체 시료(92)의 76.34%(78)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전체 13 종 광물 중 10종에서 기준치(0.2 mg/kg) 이상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광물성 생약재의 품질 평가와 안전관리를 보완하여 광물성 생약에 대한 신뢰성과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Review on Clinical Trials of Black Seed (Nigella sativa) and Its Active Constituent, Thymoquinone

  • Tavakkoli, Alireza;Mahdian, Vahid;Razavi, Bibi Marjan;Hosseinzadeh, Hossein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9-193
    • /
    • 2017
  • Objectives: Nigella sativa (black seed or black cumin), which belongs to the Ranunculacea family, is an annual herb with many pharmacological properties. Among its many active constituents, thymoquinone (TQ) is the most abundant constituent of the volatile oil of Nigella sativa (N. sativa) seeds, and it is the constituent to which most properties of this herb are attributed. Methods: PubMed-Medline, Scopus, and Web of Science databases were searched to identify randomized control trials (RCTs) investigating the therapeutic effects of N. sativa and/or TQ. In this review, we investigated the clinical uses of N. sativa and TQ in the prevention and the treatment of different diseases and morbidity conditions in humans. Results: Black seed and TQ are shown to possess multiple useful effect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several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and auto-immune disorders, as well as metabolic syndrome. Also, other advantages, including antimicrobial, anti-nociceptive and anti-epileptic properties, have been documented. The side effects of this herbal medicine appear not to be serious, so it can be applied in clinical trials because of its many advantages. Conclusion: Some effects of N. sativa, such as its hypoglycemic, hypolipidemic and bronchodilatory effects, have been sufficiently studied and are sufficiently understood to allow for the next phase of clinical trials or drug developments. However, most of its other effects and applications require further clinical and animal studies.

Screening of Antiviral Medicinal Plants against Avian Influenza Virus H1N1 for Food Safety

  • Lee, Jang-Hyun;Van, Nguyen Dinh; Ma, Jin-Yeul;Kim, Young-Bong;Kim, Soo-Ki;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45-350
    • /
    • 2010
  • Various extracts from 30 medicinal plant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viral activity against influenza virus A/Puerto Rico/8/34 (H1N1) and cytotoxicity in MDCK cell culture. The plant material (30 g) was extracted with methanol (300 mL) at room temperature for 24 h, after which the methanolic extracts were filtered, evaporated, and subsequently lyophilized. Evaluation of the potential antiviral activity was conducted by a viral replication inhibition test. Among these medicinal plants, Tussilago farfara, Brassica juncea, Prunus armeniaca, Astragalus membranaceus, Patrinia villosa, and Citrus unshiu showed marked antiviral activity against influenza virus A/H1N1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15625 mg/mL to 1.25 mg/mL, 0.3125 mg/mL to 10 mg/mL, 5 mg/mL to 10 mg/mL, 0.625 mg/mL to 10 mg/mL, 0.625 mg/mL to 10 mg/mL, and 0.3125 mg/mL to 5 mg/mL, respectively. The extracts of Tussilago farfara showed cytotoxicity a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2.5 mg/mL, whereas the other five main extracts showed no cytotoxicity at concentrations of 10 mg/mL. Taken together,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methanolic extracts of the six main plants might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H1N1.

Sub-acute toxicity and effect of Hwangryunhaedok-tang on human drug-metabolizing enzymes

  • Jin, Seong Eun;Lee, Mee-Young;Seo, Chang-Seob;Shin, Hyeun-Kyoo;Cho, Jae-Woo;Ha, Hyekyu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30
    • /
    • 2017
  • Objectives: Hwangryunhaedok-tang (HHT; Huanglianjiedu-tang, Orengedoku-to), a traditional herbal formula, is used for treating inflammation, hypertension, gastritis, liver dysfunction, cerebrovascular diseases, dermatitis and dementia.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sub-acute toxicity of HHT in Sprague-Dawley (SD) rats, and its effect on the activities of human microsomal cytochrome P450s (CYP450s) and UDP-glucuronosyltransferases (UGTs). Methods: Male and female SD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HHT once daily at doses of 0, 500, 1000 and 2000 mg/kg for 4 weeks. We analyzed mortality, clinical observations, body weight, food consumption, organ weights, urinalysis, hematology, serum biochemistry, and histopathology. The activities of major human CYP450s (CYP1A2, CYP3A4, CYP2B6, CYP2C9, CYP2C19, CYP2D6, and CYP2E1) and UGTs (UGT1A1, UGT1A4, and UGT2B7) were assessed using in vitro fluorescence- and luminescence-based enzyme assays, respectively. Results: No toxicologically significant changes related to the repeated administration of HHT were observed in both male and female SD rats. The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value was more than 2000 mg/kg/day for both sexes. HHT inhibited the activities of human microsomal CYP1A2, CYP2C19, CYP2D6, and CYP2E1, whereas it weakly inhibited the activities of CYP2B6, CYP2C9, CYP3A4, and UGT1A1. In addition, HHT negligibly inhibited the activities of human microsomal UGT1A4 and UGT2B7 with $IC_{50}$ values in excess of $1000{\mu}g/mL$. Conclusions: Our findings indicate that HHT may be safe for repeated administration up to 4 weeks. In addition, these findings provide information on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HHT when co-administered with conventional dru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