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to cellular carcinoma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각종(各種) 간질환(肝疾患)에서의 B형(型) 간염(肝炎) Virus 표식자(標識子) 발현(發顯)에 대한 임상적(臨床的) 고찰(考察) (Clinical Significance on the Serologic Profiles of HBV Markers in Various Liver Diseases)

  • 유병희;이충규;김종화;김광일;이종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9-55
    • /
    • 1983
  • By radioimmunoassay, serologic markers of Hepatitis B Virus were studied in 44 patients with acute viral hepatitis, 10 patients with chronic persistent hepatitis, 10 patients with chronic active hepatitis, 44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and 25 patients with primary hepato cellular carcinoma. The results were follows: 1) HBsAg was present in 77.2% of AVH, 40% of CPH, 80% of CAH, 55.1% of LC and 68 % of PHC. In this HBsAg positive groups, all but one in liver cirrhosis had Anti-HBc. 2) Anti-HBs was most commonly detected in CPR and accompanied by Anti-HBc except one case in AVH. 3) Anti-HBc was the only marker detected in 11.4% of AVH, 20% of CPH, 20% of CAH, 16.3% of LC and 8% of PHC. 4) HBeAg was most commonly found in HBsAg-positive CPH but Anti-HBe was most frequently detected in PHC. 5) The absence of HBV markers was noted in 2.3% of AVH, 10% of CPH, 8% of PHC except CAH and LC.

  • PDF

악성간암환자의 유전체자료 심볼릭 나무구조 모형연구 (Symbolic tree based model for HCC using SNP data)

  • 이태림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5호
    • /
    • pp.1095-110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악성간암환자의 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찾기 위하여 반응변수를 악성간암 환자의 생존을 임상변수의 정보와 SNP유전인자를 통합한 자료를 대상으로 이해하기 쉬운 나무구조 생존모형과 심볼릭자료분석을 실시하여 영향을 주는 유의한 인자 뿐 아니라 그 임계치를 구하여 임상적으로 유용한 결과를 찾아 임상에 적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악성간암환자의 임상자료를 계량화하여 통계적 예후진단 모형을 구함으로써 임상변수 간 숨겨진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생존기간 군에 따른 예측 분류모형을 구하여 현시적으로 진단후 예후에 영향을 주는 중요 임상변수와 유전체변수 그 임계치를 구하여 임상에서의 치료계획에 중요한 근거를 제시했다. 심볼릭데이터 분석 결과 정상, 만성 간염, 간염, 악성간염 등의 4개 군으로 구성된 1840명의 대상자를 분석 5 유전체의 20개 SNP가 밝혀진 바 있다. 즉 IL10-ht2가 악성간암의 발병에 매위 강한 관련이 있고 TGFB L10P-Prosms가 만성 간염 환자 중 악성간암 발생 위험을 줄여주는 유전체로 밝혀졌다. SNP변수와 질병군의 컴셉트 변수에 따라 상관정도를 원의 반지름 길이로 상대적으로 나타내 줌으로써 가장 판별력 있는 심볼릭변수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었다. 임상자료와 유전체자료를 통합하여 심볼릭 나무구조 생존모형을 구하여 생존기간을 군으로 한 나무구조모형을 유의한 변수와 기준치와 함께 구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