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patic

검색결과 3,819건 처리시간 0.039초

Relationships of hepatic histopathological findings and bile microbiological aspects with bile duct injury repair surgical outcomes: A historical cohort

  • Guilherme Hoverter, Callejas;Rodolfo Araujo Marques;Martinho Antonio Gestic;Murillo Pimentel Utrini;Felipe David Mendonca Chaim;Elinton Adami Chaim;Francisco Callejas-Neto;Everton Cazzo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5-332
    • /
    • 2022
  • Backgrounds/Aims: To analyze relationships of hepatic histopathological findings and bile microbiological profiles with perioperative outcomes and risk of late biliary stricture in individuals undergoing surgical bile duct injury (BDI) repair. Methods: A historical cohort study was carried out at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Fifty-six individuals who underwent surgical BDI repair from 2014-2018 with a minimal follow-up of 24 months were enrolled. Liver biopsies were performed to analyze histopathology. Bile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repair procedures. Hepatic histopathological findings and bile microbiological profiles were then correlated with perioperative and late outcomes through uni- and multi-variate analyses. Results: Forty-three individuals (76.8%) were females and average age was 47.2 ± 13.2 years; mean follow-up was 38.1 ± 18.6 months. The commonest histopathological finding was hepatic fibrosis (87.5%). Bile cultures were positive in 53.5%. The main surgical technique was Roux-en-Y hepaticojejunostomy (96.4%). Overall morbidity was 35.7%. In univariate analysis, liver fibrosis correlated with the duration of the operation (R = 0.3; p = 0.02). In multivariate analysis, fibrosis (R = 0.36; p = 0.02) and cholestasis (R = 0.34; p = 0.02) independently correlated with operative time. Strasberg classification independently correlated with estimated bleeding (R = 0.31; p = 0.049). The time elapsed between primary cholecystectomy and BDI repair correlated with hepatic fibrosis (R = 0.4; p = 0.01). Conclusions: Bacterial contamination of bile was observed in most cases. The degree of fibrosis and cholestasis correlated with operative time. The waiting time for definitive repair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liver fibrosis.

간의 $^{18}F-Fluorodeoxyglucose$ 섭취 양상과 지방간의 관계 (Correlation of Hepatic $^{18}F-Fluorodeoxyglucose$ Uptake with Fatty Liver)

  • 안영실;윤준기;홍선표;조철우;윤석남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5호
    • /
    • pp.243-248
    • /
    • 2006
  • 목적: 다른 기관들에 비해 간에서는 상대적으로 FDG 섭취 양상이 매우 불규칙하며, 악성 병변이 없는 간에서 비정상적으로 FDG 섭취가 증가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제까지 이러한 다양한 간의 FDG 섭취를 간의 다른 양성 질환과 연관시킨 연구가 없어, 저자들은 이 연구에서 간에서의 FDG 섭취 양상과 지방간, 간 기능 검사, 지질 프로필을 포함하는 다양한 임상 요인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건강검진 목적으로 $^{18}F-FDG$ PET/CT를 시행한 188명 (남/여: 120/68, 평균나이: $50{\pm}9$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간의 FDG 섭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당뇨 및 내당증 장애 환자, 심한 간질환이나 오랜 약물 복용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PET/CT의 횡단면에서 간의 5번 분절에 해당하는 부위에 관심영역을 설정하고 이 부위의 평균 SUV를 구하여, 지방간이 있는 군과 없는 군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혈중 간 기능(ALT, AST), 알코올성 간질환(${\gamma}-GT$),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치와 간의 FDC 섭취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지방간 환자들의 체질량지수, 음주력을 조사하여 이 인자들이 간의 FDG 섭취에 미치는 영향도 분석하였다 결과 지방간이 있는 군의 평균 SUV가 지방간이 없는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는 간의 FDG 섭취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다른 요인들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지방간 환자에서 음주나 체질량 지수의 위험군과 비위험군 사이에 간의 FDG 섭취 정도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다변량 분석 결과, 지방간의 유무와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간의 평균 SUV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독립 인자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간의 FDG 섭취 정도는 지방간의 유무에 영향을 받으며, 중성지방 수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홍삼물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고콜레스테롤 혈증에서 간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Korean Red Ginseng Water Extract on Recovery of Hepatic Function in Hypercholesterolemic Mice Fed High Cholesterol Diet)

  • 송용범;경종수;박성범;위재준;도재호;김영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283-290
    • /
    • 2008
  • 고콜레스테롤 혈증은 힘줄의 지방축적, 피부, 간비대, 췌장염 및 심장 발작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병리현상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홍삼 물추출물(홍삼정)이 고콜레스테롤로 식이된 마우스의 간 기능 회복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고콜레스테롤 사료를 2주 동안 식이 한 후 홍삼물추출물(홍삼정)을 투여용량 100,300,500 mg/kg, b.w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마우스군을 6개 군으로, 즉, 정상군(AIN-2WK), 고콜레스테롤 4주 식이군(CHOL-4WK), 고콜레스테롤 2주 식이 + 정상식이 2주군(CHOL-2WK) 그리고 고콜레스테롤 2주식이 + 정상식이 2주 및 홍삼 물추출물 투여군( R100, R300, R500) 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1. 홍삼 투여군의 간 무게 및 총 지질의 양은 고콜레스테롤 4주 식이군(CHOL-4WK) 및 고콜레스테롤 2주 식이군(CHOL-2WK)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 그러므로 홍삼 물추출물은 효과는 고콜레스테롤 식이한 생쥐의 간의 비대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2. 콜레스테롤 2주 식이군(CHOL-2WK)은 고콜레스테롤 식이군(CHOL-4WK)에 비하여 총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감소 효과는 홍삼 물추출물 투여에 의하여 더욱 강화되었다. 3. 고콜레스테롤 4주 식이군(CHOL-4WK)은 정상군(AIN-2WK)에 비하여 유의하게 간 중성 지방이 감소하였으며 콜레스테롤 2주 식이군(CHOL-2WK) 및 홍삼 물추출물 투여군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결과로 볼때 정상식이 전환 및 홍삼투여가 간기능을 정상화 시킴을 알 수 있었다. 4. 홍삼 투여군에서 지질과산화의 수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홍삼 물추출물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유발된 마우스에서 간의 지질 대사 및 간 기능을 증진시킴으로써 비만의 식이요법 및 고콜레스테롤 혈증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콜레스테롤 및 타우린 첨가식이가 흰쥐 혈장과 간의 지질과산화물 농도와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Lipid Peroxidation Level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f Rats Supplemented with Dietary Cholesterol and/or Taurine)

  • 정은정;엄영숙;남혜원;박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10-1317
    • /
    • 2003
  • 본 논문은 타우린 및 콜레스테롤이 체내 항산화체계 및 지질과산화물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흰쥐를 대상으로 콜레스테롤(1.5%) 및 타우린(1.5%)이 첨가된 식이로 5주간 사육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혈장의 MDA 농도는 콜레스테롤 또는 타우린 첨가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간조직의 MDA 농도는 HCD군에서 CD군에 비해 70%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고콜레스테롤식이에 타우린을 첨가해 준 결과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 농도가 HCD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p<0.05),콜레스테롤을 섭취하지 않는 상태에서 타우린을 첨가한 HTD군의 경우에는 간조직 MDA 농도가 대조군(CD)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식이내 타우린 첨가가 간의 지질과산화물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콜레스테롤 섭취수준에 의해 그 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혈장 및 간조직 의 GSH-Px 활성 은 식이내 콜레스테롤 및 타우린 첨가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간조직의 총SOD활성은 타우린 첨가에 의해 감소되었으며 (p<0.05), HTD군에서 CD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p<0.05), HCHTD군의 경우에는 HCD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세 번째, 혈장 및 간조직의 지질과산화물농도, 항산화효소 활성, 콜레스테롤 및 타우린농도와의 상관관계를 평가한 결과, 혈장 총콜레스테롤농도는 간조직의 콜레스테롤농도와 매우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712 p<0.001). 혈장(r=0.399, p < 0.05) 또는 간조직의 콜레스테롤농도(r=0.429, p <0.05)는 간조직의 MDA농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혈장 타우린농도는 간조직의 GSH-Px 활성과는 유의하지는 않지만 음의 상관관계(r=-0.188, p > 0.05)를, 그리고 간조직의 SOD활성과는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r=-0.481,p < 0.01)를 나타냈다. 한편, 간조직의 총 SOD 활성은 간조직의 GSH-Px 활성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 (r=0.554, p<0.001)를 나타내, 두가지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콜레스테롤이 산화촉진제로 작용하여 조직의 지질과산화가 촉진된 상황에서 타우린의 보충섭취가 간조직의 SOD 활성을 감소시키고 MDA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산화적 손상을 초래하지 않는 안전한 혈중 지질저하제로서 타우린의 이용 가능성이 전망된다.

고지방식이 급여 쥐에서 수용성 뽕나무 잎 추출물의 간 microRNA-221/222 발현 및 염증 조절을 통한 간 지질 축적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water-soluble mulberry leaf extract on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high-fat diet-fed rats via modulation of hepatic microRNA-221/222 expression and inflammation)

  • 이막순;김채민;고현미;김양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2호
    • /
    • pp.227-23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ME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쥐에서 간의 miRs와 염증 조절을 통해 간 지질 축적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4주령 수컷 Sprague-Dawley 쥐는 3 그룹 (n = 7)으로 나누어 14주 동안 10 kcal% 저지방 식이 (LF), 45 kcal% 고지방 식이 (HF) 또는 HF + 0.8% ME를 공급하였다. ME의 공급은 체중 증가를 줄이고 혈청 지질 수준을 개선하였으며 간 지질 축적을 억제하였다. 간의 지방 대사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PPAR-γ, SREBP-1c, FAS 및 FAT/CD36의 mRNA 수준은 HF 군에 비해 ME 군에서 유의하게 하향 조절되었다. 반면, 지방산 산화에 관여하는 CPT-1의 mRNA 수준은 HF 군에 비해 ME 군에서 유의하게 상향 조절되었다. ME는 간의 염증 매개에 관여하는 TNF-α, IL-6, MCP-1 및 iNOS의 mRNA 수준을 하향 조절하였으며 혈청의 TNF-α, IL-6 및 NO 농도 또한 유의하게 낮추었다. 비알콜성 지방간의 염증상태에서 증가하는 miR-221과 miR-222의 발현은 HF 군에 비해 ME 군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ME의 간 지질 축적 억제 효과가 지질대사와 염증 조절에 관여하는 조절 인자의 개선 및 간의 miR-221/222 발현 억제와 관련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ME는 NAFLD을 개선하는 천연물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rimary hepatic hemangiosarcoma (HSA) in a Schnauzer dog

  • Kang, Min-Hee;Heo, Ra-Young;Park, Hee-Myu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9-252
    • /
    • 2009
  • A 6-year-old, neutered male, Schnauzer was presented with a one year history of weight loss and exercise intolerance.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abdominal distention and ecchymosis on the abdominal skin. CBC and serum chemistry profiles revealed anemia and increased serum liver enzymes. Ultrasonography revealed a large liver mass which was characterized by multiple hypoechoic lesions. Postmortem examination revealed primary hepatic hemangiosarcoma. The tumor had extended to the mesentery and diaphragm, but distant metastasis was not found. This case report describes primary hepatic hemangiosarcoma which is very rare in a dog.

복부 둔상 후 발견된 복강동맥 박리 1례 (Celiac Artery Dissection after Abdominal Blunt Trauma)

  • 서윤석;김성춘;라환도;한호성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9권2호
    • /
    • pp.196-200
    • /
    • 2006
  • We report a case of celiac artery dissection after abdominal blunt trauma. A 29-year-old man visited the emergency room for acute left periumbilical pain after abdominal blunt trauma from his child. Computed tomography showed a wedge-shaped splenic infarction with splenic artery thrombus. He was hospitalized for careful observation, and after two days, follow-up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showed a progressed celiac artery dissection that involved common hepatic artery and an increased extent of splenic infarction. He underwent conventional angiography, and a self-expandable stent was placed between the celiac axis and the common hepatic artery. After two days, follow-up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showed good hepatic arterial blood flow via the stent and no progression of splenic infarction. After ten days, he was discharged without complications.

Diet of Red Ginseng-Cheonggukjang Improves Streptozotocin-induced Diabetes Symptoms and Oxidative Stress

  • Shin, Kyung-Ok;Lee, Sang-Il;Kim, Soon-D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287-294
    • /
    • 2008
  • Protective effect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20% red ginseng (RC) were observed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by measuring levels of blood glucose, serum lipid profiles, and hepatic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ng and scavenging enzymc activities. RC diet was prepared by mixing with AIN-76 diet at the final concentration 2%, and it was fed to STZ-induced diabetic rats for 3 weeks. The RC dict was significantly improved body weight, feed efficiency ratio, levels of serum glucose, and serum and hepatic lipids in diabetes. The significantly elevated O type activity of xanthine oxidase in diabetes was also greatly decreased by the RC diet. The treatment of RC showed the improved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ies in the diabetic animals.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red ginseng could ameliorate STZ-induccd diabetic symptoms such as aggravated blood glucose levels, serum lipid profiles, and even the conditions of oxidative stress.

Cholesterol-lowering Efficacy of Unrefined Bran Oil from the Pigmented Black Rice (Oryza sativa L cv. Suwon 415)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 Nam, Yean-Ju;Nam, Seok-Hyun;Kang, Mi-Yo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457-463
    • /
    • 2008
  •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the unrefined rice bran oil from 'Suwon 415' pigmented black rice (BRBO) on cholesterol metabolism and cellular antioxidant status were investigated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total cholesterol (TC)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concentrations was observed in the plasma of rats fed BRBO. BRBO also decreased plasma and hepatic oxidative stress as a result of increased levels of hepatic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levels associated with the elevations of hepatic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and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activities together with increased plasma level of tocopherol. This study indicates that dietary BRBO supplement can leads to the improvement of overall cholesterol metabolism and antioxidant status even more effectively than 'Chuchung' white rice (WRBO). Consumption of BRBO may also protect the liver from oxidative damage caused by lipid peroxidation.

오미자의 과육과 종자의 물추출이 약물대사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Endocarps and Seeds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on Drugs metabolism)

  • 이정숙;이성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85-190
    • /
    • 1991
  • Effects of water extracts of endocarps and seeds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on alloxan and CCl4 induced liver injurie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contents of metabolites and enzyme activities both in liver and serum in male Sprague-Dawley rats. The treatment with water extracts in parts of omija showed low levels of glucose, GOT, LDH and FFA of serum but high level of hepatic G-6-P DH in alloxan treated rats. CCl4 treatment with water extracts of parts of omija resulted in low levels of GOT, LDH, UN of serum and hepatic pyruvate but hepatic cytosolic protein has been increa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