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merocalli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25초

ISSR에 의한 한국 내 원추리속 식물의 유전적 및 계통학적 연구 (Genetic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Genus Hemerocallis in Korea Using ISSR)

  • 최주수;허홍욱;이설아;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53-758
    • /
    • 2008
  • 원추리속(Genus Hemerocallis) 식물은 초본이며 일부 종은 약용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속내 8개 분류군에 대해 ISSR (inter simple sequence repeats) 마커로 계통학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한 식물은 원추리(Hemerocallis fulva), 왕원추리(H. fulva for. kwanso), 각시원추리(H. dumortieri), 골잎원추리(H. coreana), 홍도원추리(H. hongdoensis), 큰원추리(H. middendorffi), 노랑원추리(H. thunbergii), 애기원추리(H. minor)이다. 또한 이들 분류군에 대한 유전적 변이와 구조를 조사하였다. 종간 유전적 다양도는 $0.068{\sim}0.123$이며 평균 유전적 다양도는 0.098로 전반적으로 낮았다. 애기원추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세대 당 이주하는 개체수는 매우 적었다(Nm=0.128). 원추리속 종은 계통도에서 세 분지군으로 나누어졌다. 한 그룹은 H. fulva, H. fulva for. kwanso, H. middendorffi였다. 다른 그룹은 Hemerocallis, H. dumortieri, H. thunbergii, H. minor였다. 나머지는 H. coreana와 H. hongdoensis로 두 번째 그룹과 자매군을 형성하였다. 비록 종 내 적은 개체수로 분석하였지만 원추리속 식물종이 ISSR 마커로 잘 분리되었다.

한국산 원추리속(Hemerocallis)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Hemerocallis (Liliaceae) in Korea)

  • 황용;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94-306
    • /
    • 2012
  • 한국산 원추리속(Hemerocallis) 9종 1품종에 대해 외부형태형질을 기초로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여 새로운 종 검색표를 작성하고 종의 한계를 재검토하였다. 큰원추리는 녹색 혁질의 긴 포를 가지고 있어 연녹색 막질의 작은 포를 가진 각시원추리와 구별되었다. 태안원추리는 애기원추리와 유사하나 향기가 없고 화피통부와 잎의 길이가 길어 구별되었다. 노랑원추리는 골잎원추리와 유사하나 화피통부가 길어 뚜렷이 구별된다. 백운산원추리는 홍도원추리와 유사하나 화경이 깊게 분지하고 잎의 폭이 좁아 구별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애기원추리, 각시원추리, 골잎원추리는 한국 북부지방에 분포함을 확인하였다.

Stem Rot of Tawny Daylily(Hemerocallis fulva)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Kwon, Jin-Hyeuk;Park, Chang-Seuk
    • Mycobiology
    • /
    • 제32권2호
    • /
    • pp.95-97
    • /
    • 2004
  • In July 2002, a destructive stem rot of tawny daylily(Hemerocallis fulva) was occurred sporadically in exhibition farm of Gyeongsa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located in Hamyang-gun, Korea. The fungus also caused collar and crown rot, and systemic wilt or blight of whole plant. White mycelium spread over stems and petioles of infected plants and sclerotia were formed on the old lesions and near the soil surface. The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nd scierotial formations was $30^{\circ}C$ on PDA. The mycelial width ranged $4.2{\sim}10.4{\mu}m$ and the color was white, usually many narrow mycelial strand grew in the aerial mycelium and formed clamp connection. The shape of sclerotia was spherical and $1.0{\sim}3.2$ mm in diameter. The fungus was isolated repeatedly from the infected tissues and confirmed its pathogenicity to Hemerocallis fulva and identified as Sclerotium rolfsii.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stem rot of H. fulva caused by S. rolfsii in Korea.

쓰레기 매립지 녹화에 적합한 자생식물 조사 및 선발 (Selection and Survey of Native Plants for Waste Landfill Greening)

  • 김귀순;이정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62-73
    • /
    • 2008
  • This paper was conducted to acquire the scientific data for the waste landfill greening. The native plant flora was investigated in waste landfill at Nanjido. As a result, total 40 species, 22 families, 32 genus were classified. The dominant species were Robinia pseudoacacia (15%), Populus euramericana (3%), and Populus monilifera (1%), ect. Naive plant of 6 species (Zoysia japonica, Aster koraiensis, Liriope platyphylla, Hemerocallis fulva, Sedum kantschaticum, Indigofera pseudotinctoria) were planted in waste landfill in one species per 1 $m^2$ for greening purpose. After One year planting, the ornamental optimum value was showed in Zoysia japonica, Aster koraiensis, Hemerocallis fulva, Hemerocallis fulva, Sedum kantschaticum. The covering rate after nine months planting was 85% and 80% for Zoysia japonica and Hemerocallis fulva, respectively. While Aster koraiensis(a) 13 %, Liriope platyphylla 8 % and Sedum kantschaticum appeared 22 % were obtained. Aster koraiensis (a) has highest height and Sedum kantschaticum was the shortest plant.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에 의해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원추리의 억제 효과 탐색 (Protective Effects of Hemerocallis Fulva Extracts on Amyloid $\beta$-Protein-Induced Death in Neuronal Cells)

  • 김은숙;최수진;류병호;최진호;오명석;박우진;최영환;백도현;하권철;강대욱;조용권;박기태;문자영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2-133
    • /
    • 2006
  • Objectives : The amyloid $\beta$-protein ($A\beta$) is the principal component of the senile plaques characteristic of Alzheimer's disease (AD) and elicits a toxic effect on neurons in vitro and in vivo. Many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antioxidants and proteoglycans modify $A{\beta}toxicity$.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water- and organic solvent-extracts of Hemerocallis fulva root fractions pre-extracted with methanol on $A\beta$-induced oxidative cell death in cultured rat pheochromocytoma (PC12) cells. Methods : For this study, we used MTT reduction assay for detection of protective effects of water- and organic solvent-extracts of Hemerocallis fulva root fractions pre-extracted with methanol on $A{\beta}_{25-35}$-induced cytotoxicity to PC12 cells. We also used cell-based $\beta$-secretase assay system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water- and organic solvent-extracts of Hemerocallis fulva root on $\beta$-secretase activity. Results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methanol extracts of Hemerocallis fulva root strongly attenuated cytotoxicity induced by the three $A\beta$ fragments ($A{\beta}_{25-35},\;A{\beta}_{1-42}\;A{\beta}_{1-43}$) to both SK-N-MC and PC12 cells. In the present study, we found that butanol-, ethylacetate-, chloroform-, and water-extracts of Hemerocallis fulva root fractions pre-extracted with methanol had strong protective effects against $A{\beta}_{25-35}$-induced cytotoxicity to PC12 cells and inhibitory potency to $\beta$-secretase activit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butanol-, ethylacetate-, chloroform-, and water-extracts of Hemerocallis fulva root fractions pre-extracted with methanol may contain the protective component(s) against $A\beta$-induced cell death in PC12 cells as well as inhibitory component(s) to $\beta$-secretase activity.

  • PDF

엽록체 rps16-trnK 서열에 의한 한국 내 원추리속 식물종의 계통 관계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Hemerocallis in Korea using rps16-trnK Sequences in Chloroplast DNA)

  • 허만규;권오성;이병룡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847-853
    • /
    • 2013
  • 원추리속 식물은 초본류이며 이 속의 일부 종은 약용으로 중요하다. 이 속의 8개 분류군에 대해 엽록체의 rps16-trnK 부위로 계통관계를 평가하였다. 배당된 서열은 원추리(H. aurantiaca)에서 729 핵산 수로 가장 적었으며 왕원추리(H. fulva var. kwanso)에서 742 핵산 수로 가장 많았다. 그 차이는 염기 삽입에 기인하였다. 비록 일부 인델(indel)과 20개 염기의 삽입이 발견되었지만 서열 내 변이는 염기 치환이 많았다. rps16 - trnK에 의한 한국내 원추리속 분류군들은 높은 지지도로 잘 분리되었다. 애기원추리(H. minor)와 홍도원추리(H. littorea)는 높은 지지도로 같은 분지군을 형성하였으며 이 분지군은 노랑원원추리와 자매군을 형성하였다. 염색체의 수는 기존 보고된 RAPD의 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으나 본 연구와는 일치하였다.

Gray Mold of Day Lily (Hemerocallis fulva L.) Caused by Botrytis elliptica in Korea

  • Chang, Seog-Won;Kim, Sung-Kee;Hwang, Byung-Kook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7권5호
    • /
    • pp.305-307
    • /
    • 2001
  • In March 2000, gray mold was found on day lily (Hemerocallis fulva L.) in Korea. Among the symptoms observed was blight or early rot with chlorotic halo of the leaves. All the isolates obtained from the lesions of the diseased plant parts were identified as Botrytis elliptica,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nidia. Conidia that formed on conidiogenous cells were not in chains, hyaline to pale brown, unicellular, ellipsoidal to obovate with a single hilum at the base, entirely verruculose, and 21-31 x 12-$23\mu\textrm{m}$ in size. Pathogenicity of the fungus was established by artificial inoculation on day lily plant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gray mold on day lily caused by B. elliptica in Korea.

  • PDF

원추리(Hemerocallis coreana Nakai)의 데침, 건조 및 발효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in Hemerocallis coreana Nakai After Blanching, Drying, and Fermentation)

  • 정지숙;김용주;최보름;박노진;손병길;곽영세;김종철;조경환;김인호;김성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38-1648
    • /
    • 2013
  • 본 연구는 나물 활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원추리의 기능성을 높이고자 발효를 시도하였으며, 건조조건 및 데침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원추리의 수분함량은 85.60%로 연백부분의 수분함량이 높았다. 데침, 건조조건 및 발효조건에 따른 에탄올추출물의 수율은 11.0~30.5%로 차이를 보였다. 유기산의 종류로는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발효 후에는 acetic acid가 추가로 검출되었다. Oxalic acid와 lact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다. 총 유기산 함량은 발효온도 $50^{\circ}C$, 발효습도 65%에서 24시간 발효한 시료가 18,109.82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데친 후 열풍건조 시료는 동결건조 시료에 비해 총 유기산 함량이 30% 정도로 감소하였다. 원추리나물의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결건조 시료의 총 유리당 함량이 13,086.45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glucose가 6573.24 mg/100 g, fructose가 3,562.49 mg/100 g으로 가장 높게 검출되어 원추리나물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와 fructose로 확인되었다. 발효 후에는 대부분의 유리당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발효습도 80%에서 발효한 시료가 동결건조 시료에 비해 모든 유리당이 32~75% 감소하였다. Glucose와 fructose는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의 생성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sucrose와 maltose는 citric acid 생성에 양의 상관관계,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생성에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원추리나물에는 필수아미노산인 valine, methionine, leucine, threonine, phenylalanine, tryptophan, lysine의 8종과 비필수아미노산 11종이 검출되었다. 원추리나물은 주로 val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이 차지하였으며, 열풍건조 시료가 동결건조 시료보다 약 2~2.9배 증가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발효조건에 따른 시료에서는 총 아미노산 함량이 중발효(17시간 발효) 시료가 1,010.71 mg/100 g fresh wt.로 가장 높았으며, 강발효(24시간) 시료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발효시간이 길어질수록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원추리나물에는 상당량의 glutamine과 asparagine을 함유하고 있어 풋풋한 신맛과 다양한 아미노산에 의해 단맛을 주는 나물로 평가되어 기호도가 높은 산채류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발효 후에는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함으로써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에서는 나물로만 섭취하던 원추리를 발효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홍도원추리(Hemerocallis hongdoensis Makino)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토양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Hemerocallis hongdoensis Population)

  • 황용;김무열;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68-875
    • /
    • 2012
  • 본 연구는 홍도원추리개체군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분류하고,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분포서열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홍도원추리개체군은 예덕나무 우점개체군, 산가막살나무 우점개체군, 애기며느리밥풀 우점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홍도원추리 개체군은 주로 한반도 남서해안 도서에 분포하고 해발고는 6~362m의 해안가의 낮은 사면과 섬의 능선의 평균 $36.7^{\circ}$의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다.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함량은 16.18~21.70%, 전질소함량 0.56~0.97%, 치환성 K $0.42{\sim}0.88cmol^+/kg$, 치환성 Ca $3.38{\sim}5.65cmol^+/kg$, 치환성 Mg $1.12{\sim}2.38cmol^+/kg$, 양이온치환용량 $25.93{\sim}41.45cmol^+/kg$이며, 토양 pH는 4.45~4.86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덕나무 우점개체군은 사면경사가 급하고 양료 중 CEC와 전질소가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고, 애기며느리밥풀 우점개체군은 사면경사가 중간이고 CEC와 전질소의 양료가 중간인 입지에 분포하였다. 그리고 산가막살나무 우점개체군은 사면경사가 완만하고, CEC와 전질소의 양료가 적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된 홍도에 분포하는 홍도원추리개체군의 생육특성을 파악하고 개발로 인한 훼손으로부터 자생지의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Germination of Hemerocallis Seeds as Influenced by Seed Development and Temperature Treatments

  • Kim, Ji Hee;Suh, Jeung Keun;Lee, Ae Kyu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830-839
    • /
    • 2016
  • Germination of Hemerocallis seeds as influenced by cold stratification at $5^{\circ}C$ (CS) and maturity of seeds evaluated using X-ray imaging has not been well investigated. Seeds of H. lilioasphodelus, H. citrina, H. citrina 'April Flower', and H. minor collected from China and H. thunbergii collected from Korea were germinated at $20^{\circ}C$ without pre-temperature treatment, while H. hongdoensis, H. dumortieri, H. minor, and H. vespertina seeds were treated with CS. Harvesting 'Stella de Oro' capsules at 35-40 days after anthesis yielded mature seeds with well-developed embryo and cotyledons analyzed by X-ray images with a 92% germination in 17 days after sowing. Seeds of H. thunbergii and H. citrina germinated in less than 13 days without CS; two weeks of CS did not accelerate seed germination. Seeds of H. hongdoensis germinated in 24 days when seeds were stored at $25^{\circ}C$ without CS and in less than 27 days when cold stratified. Therefore, 'Stella de Oro' capsules should be harvested at 35-40 days after anthesis to harvest mature seeds. Cold stratification is not required to accelerate seed germination in the Hemerocallis taxa evaluat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