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gemony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2초

미국의 패권전략과 한국 군사전략 발전방향 (Study on the Direction of Korea's National Defense Strategy Focused on the Hegemony Strategy of U.S.A.)

  • 김성우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8호
    • /
    • pp.239-270
    • /
    • 2010
  • This thesis is to make an appropriate national defense policy of Republic of Korea through studying the Hegemony Strategy of United States. I searched the theory of hegemony. The hegemony was differently defined by the point of time and region. The strong power nations with the hegemony have been making efforts to maintain their hegemony everytime. I have conclusion that the presence of hegemony once emerged, it brought regional stability in place whether it is coercive or beneficial. The stability and instability of international order IS not exclusively dependent on hegemony. Even if the safety of hegemony cannot guarantee absolute stability of international order, there IS on doubt that the hegemony has enormous impact on that. According to the hegemonic theory, the history of mankind equals to the history of rising and falling hegemony. The international order was changed as the hegemony changes. The United States has been making efforts to maintain her global hegemony during the post cold-war era as well. Taking all these into consideration, relevant military strategy direction able to pursue national interest is that to make up for the relative weakness in the strategic environment. South Korea have to prepare security policy response as following. First, South Korea should build the military force equipped with advanced weapons in military technology sector and solidify military diplomatic relation able to form cooperative relation in wartime. Second, South Korea should make solid Alliance of Korea and U.S. Third, develop and maintain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of East Asia. Forth, we could realize that there are means that can neutralize opponent's strong point by seeking one or two and more asymmetry in the aspect of strategy, tactics, and means through asymmetric strategy. Than the military force of South Korea should develop into a force that is able to overcome to the traditional North Korea's threat and new type of conflicts. And the force should have sufficient strength and be deployed to effectively defend the Korean Peninsula. So, we need to establish a denial and defense system against any hostile neighboring country. Therefore, ROK military forces preparing for the future should try to construct a future military power to gradually establish enough strength for self-defense to prepare for a uncertain security environment and when the Korean Peninsula is unified in a future.

  • PDF

포스트- 탁신 시대의 '붉은셔츠': 이념·조직·행동 (The Red-Shirted Groups' Ideology, Organization, and Action in the Post-Thaksin Era)

  • 박은홍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3권1호
    • /
    • pp.89-126
    • /
    • 2013
  • The Red shirts came to attract atten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uring April to May in 2010 by successfully organizing explosive popular demonstrations. The momentum was the military coup on September 9, 2006. The Red color was chosen amid movements against the new constitution instituted under the military junta. In discourse struggles, the Red shirts compared their resistance against the Democratic Party government lead by Abhisit Vejjajiva to that of phrai (commoner or serfs) against ammart (aristocrats or bureaucrats) under the pre-modern reign of sakdina. The Red shirts strongly accused Prem Tinsulanonda, the chief of the Privy Council, of being a mastermind of 2006 military coup, who symbolically represents the cohesion between the palace and the military. It has constituted an unprecedented defiance towards national taboo where the trinity of Nation, Religion, and King has been consecrated.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Red Shirts' ideology, organizations and activities in terms of the modernized phrai's struggles for expanding counter-hegemony. While Antonio Gramsci focused on why socialist revolution had failed to materialize in capitalist Western Europe, I pay attention to why political liberalism has failed to wash away pre-modernity and take root in capitalist Thailand, applying the Gramscian concept of hegemony by contrasting 'hybrid ammart' with 'modernized phrai'.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헤게모니적 남성성 (Hegemonic Masculinity in Disney Animated Films)

  • 이아람찬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9호
    • /
    • pp.37-5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그람시(Antonio Gramsci)가 언급한 대로 지배적 이념이 한 사회에 종속된 이들의 삶에 습관처럼 자리 잡고 있다는 헤게모니(hegemony) 개념을 통해서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남성성의 유형을 찾는데 있다. 그리고 코넬(R. W. Connell)은 그람시의 개념을 남성성과 연결시켜 헤게모니적 남성성(hegemonic masculinity)으로 발전시켰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한 국가나 사회에서 다른 남성과 여성을 종속하고 지배하려는 경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재현된 다양한 남성성을 구분하고, 특히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다루고 있다. 한편 코넬의 네 가지 남성성의 분류는 남성 그룹이라는 범주에서 지배 그룹과 피지배 그룹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보다 세부적으로 헤게모니적 남성성, 종속적 남성성, 공모적 남성성, 그리고 주변화된 남성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틀을 가지고 <미녀와 야수 Beauty and the Beast>(1991)에 나타난 지배적 남성성과 피지배적 남성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개스턴(Gaston)과 야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소유하고 있으며, 그들 주변에 있는 남성들은 모두 공모적 남성성을 지니고 있다. 한편, 모리스(Maurice)는 지배 집단으로부터 거세된 종속적 남성성에 들어가게 되며, 야수는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주변화된 남성성 모두를 지닌 양가적 인물로 그려지고 있다. 이처럼 디즈니 속에 나타난 남성성은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기반으로 소프트바디에 의한 하드바디의 번복을 더디게 만들고 오히려 하드바디의 체제를 더욱 공고히 구축하고 있다.

  • PDF

우연한 패권거부 - 미국의 세계리더십 거부와 중국의 틈새공략 - (The Accidental Denial of a Hegemonic Power's Role - The Reluctance of the U.S's Role as a World Leader and China's Target of a Niche Market -)

  • 반길주
    • Strategy21
    • /
    • 통권42호
    • /
    • pp.224-257
    • /
    • 2017
  • As the Trump administration withdraws the Paris Climate Agreement and shows its antipathy toward free trade, the U.S.'s soft power is most likely to weaken and its behaviors could be perceived as acts to surrender the U.S. hegemonic leadership in the world stage. Hegemonic stability theory notes that the existence of a hegemonic power contributes to international stability in the sense that it provides international public goods. A lack of the U.S's leadership in international politics, however, could be recognized as its denial of a hegemonic status. Is it intentional or accidental? The U.S's denial of hegemonic roles is the byproduct of the Trump administration's "American First" policy, not the showcase of its intention to transit hegemony to others. What is noteworthy is that China targets a niche market of hegemony as the U.S. denies its roles as the international leader. Put it another way, China attempts to ride hegemony for free when the U.S. denies its hegemonic roles accidentally. Faced with a niche market of hegemony, China has begun to accelerate its national strategy to make "Chinese Dream" come true. To that end, China promised again to keep the Paris Climate Agreement and attempts to play more active its roles in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SCO), Asia Infra Investment Bank(AIIB), and "One Belt, One Road". Despite all these efforts, the U.S. is most likely to withdraw its denial of hegemony any time soon. The U.S's resumption of Freedom of Navigation Operations(FONOPs) could be a precursor of the return to a hegemonic power's willingness. In this vein, it is noteworthy that the South China Sea serves as a quasi-war zone for hegemonic conflict.

중국의 대미인식과 대외전략 논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China's Perception on U.S. and Foreign Policy Strategy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 강택구;한석희
    • 국제지역연구
    • /
    • 제15권2호
    • /
    • pp.51-6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힘에 대한 중국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중국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미국의 경제적 패권의 지위는 약화되었지만, 미국의 패권은 단지 경제력만이 아닌 미국의 종합적인 국력기반 위에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전반적인 국제질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패권적 지위가 약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패권적 지위가 지속될 것이기 때문에 소위 '일초다강'이라는 국제질서에 근본적인 변화가 발생하지는 않겠지만 미국 경제력의 퇴보로 중국은 미국과의 격차가 줄어들 수 있는 기회를 맞이할 것이라고 진단하고 있다. 단기적으로 볼 때, 중국은 경제적 측면에서 글로벌 금융체제 개혁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기 위한 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안보적 측면에서 역내에 미국의 영향이 중국의 핵심 이익을 위배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중국은 미국과 보다 협력적인 정책을 취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Examining Hegemony, Ideology, and Class in Mani Ratnam's Raavanan (2010)

  • Ilaiya Barathi Panneerselvam;Adrian Lee Yuen Beng
    • 수완나부미
    • /
    • 제15권1호
    • /
    • pp.181-203
    • /
    • 2023
  • Cultures often adopt the good versus evil dichotomy within their narratives of religious texts, aural anecdotes, and cultural mythologies. The Ramayana narrates a divine story that transcends time of the battle between the forces of good and evil, between Prince Rama and Ravana. Numerously adapted through time, the Ramayana is today told through moving visuals and has been adapted by Mani Ratnam through Raavanan (2010). Raavanan is adapted to the premise of hero versus villain using the good versus evil premise as Dev Prakash (Rama) searches to rescue his wife Raagini (Sita), who is abducted by Veeraiya (Ravana). The film, however, departs from the Ramayana as Raavanan is told through the perspective of Veeraiya. In the film, Veeraiya is portrayed as a flawed anti-hero who battles against injustice instead of being the antagonist. He seeks revenge for his sister and stands up against the oppression of his tribe. In this battle, he questions ideological understandings of justice and morality that have been conventionally interpellated within society. This paper discusses how Mani Ratnam, through the film Raavanan, contests hegemony, ideology, and class differences within modern cinema and society alongside the more significant question surrounding India's sociocultural conditions.

중국과 중앙아시아 관계 : 미국에 대한 소프트밸런싱 전략을 중심으로 (China and Central Asia : Soft Balancing Strategy against the U.S.)

  • 강택구;김예경
    • 국제지역연구
    • /
    • 제16권2호
    • /
    • pp.121-146
    • /
    • 2012
  •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부상하고 있는 중국이 기존 패권국가인 미국에 대응해 국제사회에서 어떻게 자신의 영향력을 유지·확대하고 있는 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최근 중국의 영향력은 동아시아를 넘어서 중앙아시아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중국은 소프트밸런싱 전략을 통해 미국을 견제하며 중앙아시아에 대한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관계를 대미 견제의 소프트밸런싱 이론을 적용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중국의 중앙아시아에 대한 전략이 소프트밸런싱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3가지 지표를 제시한다. 1) 도전국가는 지역적 또는 국제적 다자협력을 활용하여 패권국가의 외교적 비용을 높이거나 패권국을 견제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2) 도전국가는 역내 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을 강화하여 자국의 영향력을 증대하는 한편, 패권국의 경제적 영향력이 도전국가의 역내로 확대되는 것을 견제하고자 한다. 3) 도전국은 군사동맹보다는 역내 국가들과 연합을 통해 제한적인 군사훈련과 군비 증강, 영토의 부인의 방식으로 하나의 국가가 패권국가에 대응하여 초래할 수 있는 위험부담을 분산 또는 감소하고 패권국의 군사적 영향력이 역내로 확대되는 것을 견제하고자 한다. 이러한 지표를 통해 중국의 다극화 전략, 중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과의 경제협력과 에너지 협력 그리고 SCO 등 다자기구를 통한 중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들 간의 군사안보 협력을 분석한다.

키르기스스탄의 레몬혁명과 동서 패권주의 가능성 연구 (A study on Lemon Revolution in Kyrgyzstan and a Possibility of East-West Hegemony)

  • 황성우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2호
    • /
    • pp.477-498
    • /
    • 2010
  • 기존의 장미혁명과 오렌지혁명에서도 나타났듯이, 레몬혁명에서 발생한 미국 및 서방세력의 지역패권 장악 의도는 시민혁명의 선거과정에 직접적으로 개입하거나, 혹은 선거활동을 하는 NGO 단체들을 재정적, 도덕적, 이념적 차원에서 직간접적으로 지원하여 자국에게 유리한 정권을 창출하고자 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비록 NGO 단체들에 의해 지원받은 시민단체들이 순수한 차원에서 시민운동을 조직하였다고도 볼 수 있으나, NGO 단체 역시 정부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정치색이 배제된 순수한 민간단체라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접근하였을 때, 시민단체가 가지는 본연의 목적을 유지하기가 힘들어진다. 장미혁명이나 오렌지혁명, 레몬혁명에서 활동하였던 시민단체들은 모두 서방의 지원을 받는 NGO 단체들이었다. 색깔혁명에서 미국을 비롯한 서방세력과 러시아의 헤게모니 쟁탈전이 직접적으로 발생했다기보다는 색깔혁명을 통해 주변 강대국들의 패권경쟁이 가시화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욱 타당할 것이다.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질서가 강화되어 포스트 소비에트 공간에서 러시아의 국가이익이 침해받거나, 과거 앞마당이었던 이 지역에서 러시아의 입지가 약화될 경우, 지역패권을 둘러싼 미국 및 서방세력과 러시아의 갈등은 지속될 것이며, 러시아는 서방세계를 견제할 수 있는 SCO, CSTO, EurAsEC과 같은 역내 다자간 협력기구를 통해 중국, 인도 등 주변의 강대국들과 전략적 협력을 추진할 것이다.

National Cinema as a System of Comparison

  • Park, Nohchool
    • 비교문화연구
    • /
    • 제20권
    • /
    • pp.323-346
    • /
    • 2010
  • This study reviews critical literatures regarding Asian cinema, focusing on studies of Japanese cinema, to show that Western scholarship on non-Western national cinemas have been divided into two approaches: traditionalism and modernism. It argues that such a division is not merely a critical tendency but indicative of the fact that a national cinema is an internally divided construct. To support the point, this study examines Chinese film studies conducted by Chinese film critics and the history of South Korean cinema during the 1970s and 80s. Then, it proposes the hegemony model to theorize the inner structure of national cinema. It finall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mparative film study that the national cinema thesis may activ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