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el effect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4초

Effect of milk and milk products consumption on physical growth and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olescents

  • Kim, Sun Hyo;Kim, Woo Kyoung;Kang, Myung-H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4호
    • /
    • pp.309-314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current status of calcium intake from milk and milk products, physical growth and bone mineral density in 664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15-17 years. In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of calcium intake from milk and milk products was analyzed, and the height,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of the right heel bone (calcaneus) were measured. The daily calcium intake of milk and milk products was calculated as the 'dairy equivalent of calcium', which is the calcium content in 200 mL of white milk. The cutoffs of tertiles of the dairy equivalent of calcium were calculated and then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the tertiles, Q1 group (lower intake group), Q2 group (middle intake group) and Q3 group (upper intake group). The daily calcium intake of milk and milk products in Q1, Q2 and Q3 groups was 16.2 mg, 99.7 mg, and 284.0 mg, respectively, and the ratio of milk and milk product consumption to the daily total calcium intake was 5.4%, 27.4%, and 49.7%, respectively. The ratio of total calcium intake to the daily recommended intake in study subjects was 30.5% in Q1, 42.3% in Q2, and 60.7% in Q3,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Height, body weight, BMI, and % of body fat in three tertile groups (Q1, Q2 and Q3)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However, the T scores for bone mineral density in female students in three tertile groups (Q1, Q2 and Q3) was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The study showed that the intake of milk and milk products in adolescents, particularly in girls, can improve the bone mineral density without increasing body weight, and thus confirmed that milk intake is important in adolescence.

경추 견인기 부착 여부에 따른 발 형태별 보행 시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eck Traction and Foot Type on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Walking)

  • Hong, Miran;Yi, Kyoungock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1-335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eck traction and foot type on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walking. Method: Total of 24 data were collected from women working with a computer for more than 6 hours every day. Three groups by foot type were divided: Pes Planus, normal foot, and Pes Cavus. Depending on the foot type and cervical traction, plantar pressure variables were measured; CA, MF, PP, and CT. Each variable was divided into 12 masks. MANOVA was performed for the difference of plantar pressure variables by foot type, and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for the cervical traction within groups. Results: The total CA decreased in the Pes Planus (p<.001) and Pes Cavus (p<.05) groups. MF increased in the big toe (p<.01) and 2nd toe (p<.05) of the normal foot, and MF-3rd metatarsal decreased (p<.01). The MF-2nd toe (p<.01) and 3rd toe (p<.05) of Pes Cavus decreased. The PP decreased in 2nd toe (p<.05), 3rd toe (p<.01), and 4th toe (p<.05) of the Pes Cavus. In normal foot, the PP-3rd metatarsal (p<.05) and PP-4th metatarsal (p<.01) reduced. In Pes Planus, PP decreased in the hindfoot (p<.05). In Pes Cavus group wearing a neck-tractor, the CT-hindfoot increased (p<.05). Conclusion: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plantar pressure change by foot type after neck traction. When walking with a neck-tractor, the heel impact was alleviated in the Pes Planus, and the Pes Cavus showed the smooth and effective propulsion in the push-off. Overall, weight acceptance was effectively performed when walking with neck-trac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e neck-tractor corrects the alignment of the neck, thereby creating a more stable gait pattern.

Sucrose solution for alleviating needle pain during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n children aged 7-10 year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Supriya Thambireddy;Nirmala SVSG;Sivakumar Nuvvula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3권5호
    • /
    • pp.273-280
    • /
    • 2023
  • Background: Intraoral local anesthesia is essential for delivering dental care; however, injection of this local anesthetic is perceived as the most painful and distressing agent for children, par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Reducing pain as much as possible is essential to ensure smooth subsequent treatment procedures, especially in pediatric dentistry. In clinical practice, oral sucrose administration has been reported to decrease the pain during heel lance and cold pressor tests in neonates and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ior administration of a 30% sucrose solution reduced the pain related to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n children. Methods: A total of 42 healthy children aged 7-10 years requiring dental treatment of mandibular molars involving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were recruited. The participants' demographic details were recorded,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and the anesthetic injection was delivered after receiving the respective intraoral sucrose solution and distilled water by the intervention (group 1) and control (group 2) group participants for 2 min. The subjective pain perceived during injection was measured using an animated emoji scale. The pain scores between the groups were compar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Results: The median pain score and range for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were 4 (2 - 6) and 6 (4 - 8), respectivel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01) were observed in the intervention group. Age, sex, height, and weight did not influence the analgesic effect of the sucrose solution. Conclusion: Oral administration of sucrose may relieve pain associated with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n children.

모자동실이 신생아의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ooming-in care on the emotional stability of newborn infants)

  • 안소윤;고선영;김경아;이연경;신손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2호
    • /
    • pp.1315-1319
    • /
    • 2008
  • 목적: 신생아실에서 산모와 격리되어 관리되는 신생아와 비교해 봄으로써 모자동실이 신생아의 정서적 안정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방법: 2007년 7월 1일부터 10월 31일 사이에 출생한 정상 신생아 중 첫 3일간 모자동실을시행한 신생아 24명(모자동실군), 신생아실에서 관리한 24명(신생아실군), 총 48명에 대하여 브라젤튼의 신생아행동평가척도 중 자극척도와 자기 안정화 척도를 관찰하였으며, 대사이상검사를 위해 천자침으로 발뒤꿈치를 찌른 후 울음을 그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 과: 모자동실군은 자극화척도에서 신생아실군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외부자극에대해 매우 안정되어 있었으며($6.8{\pm}1.7$$4.2{\pm}2.1$, P<0.001), 자기 안정화 척도도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자극된 상태에서 빨리 안정화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5.9{\pm}0.3$$4.5{\pm}1.8$, P=0.001). 천자침을 찌른 후 울음을 그칠 때까지의 시간도 모자동실군에서 훨씬 짧은 것을 알 수 있었다($17{\pm}15.1$ 초 대 $115.3{\pm}98.5$초, P<0.001). 결론: 모자동실을 하는 신생아는 신생아실에서 격리되어 관리하는 신생아에 비해 생후 수일동안의 기간에도 불구하고 외부 자극에 대해 안정적이며, 자극된 상태로부터 빨리 안정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엎드린 자세에서의 다리이음뼈 블록중재가 넙다리뒤근육 이완과 호흡시 엉치뼈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ne pelvic blocking on hamstring muscle relaxation and sacral movement)

  • 차경수;김가은;정기훈;정승은;박순권;조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397-404
    • /
    • 2012
  • 엉치엉덩관절의 고정(sacroiliac joint fixation; SIJF)은 넙다리뒤근육의 과긴장을 일으키고, 호흡시 나타나는 엉치뼈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본 연구는 카이로프랙틱 기법 중 엎드린 자세에서 시술되어지는 S.O.T category I 골반 블록 중재가 SIJF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발꿈치긴장 검사를 통해 SIJF를 가진 26명의 참가자를 선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에 각기 13명씩 무작위 할당하였다. 실험군은 category I 블록 중재를 받았고, 대조군은 거짓블록 중재를 받았다. 중재 전과 후에 넙다리뒤근육의 긴장 정도(체전굴 검사 이용)와 호흡시 엉치뼈의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발꿈치긴장 검사 결과 실험 군에 속한 참가자는 모두 음성반응을 보인 반면, 통제군의 참가자들은 양성반응을 보여 블록중재가 SIJF를 완화시킨 것을 확인하였다. 공분산분석(ANCOVA)에서 블록중재에 의해 체전굴 측정치[F(1, 23)=7.73, p<.05]와 호흡시 엉치뼈의 움직임[F(1, 23)=7.07, p<.05] 모두가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제군에서는 중재 전과 후의 차이가 없었다. 이 결과는 비침습적 중재법인 S.O.T category I 블록 기법이 SIJF와 관련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법임을 시사한다.

보행 시 장애물 높이에 따른 정상 성인의 족저압 분포 연구 (The Study of Plantar Foot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Obstacle Crossing with Different Height in Normal Young Adults)

  • 한진태;이명희;김경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
    • /
    • 2008
  • 본 연구는 장애물을 넘는 동안 장애물의 높이 변화가 보행 시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족저 최고 족저압과 최대 힘, 압력 중심의 이동 경로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근골격계에 문제가 없는 열여섯 명의 건강한 젊은 성인이 이 연구에 참여하여 맨발로 각각 평지, 10cm, 20cm 그리고 30cm의 장애물을 넘는 동안 입각기 발의 족저 최고 족저압과 최대 힘, 압력중심 이동경로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Tekscan사의 Footmat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발을 일곱 개의 영역(두 개의 발가락 영역, 세 개의 전족부 영역, 한 개의 중족부와 후족부 영역)으로 나누어 수집한 자료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높이가 다른 여러 가지 장애물을 넘을 때, 입각기 동안 족저의 영역별 최고 족저압과 최대 힘은 발가락부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후족부위에서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장애물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압력중심 이동경로가 짧아지면서 전족부에서 외전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물 보행 시 장애물의 높이가 발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하공간하부 지하저류공동에서의 필라 보강효과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A numerical study of pillar reinforcing effect in underground cavern underneath existing structures)

  • 서형준;이강현;한신인;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453-467
    • /
    • 2012
  • 공간이 한정된 도심지에서 인구가 밀집되는 가운데 도심의 복합지하공간에 대한 개발은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홍수피해의 90% 이상이 도심지 홍수피해라고 할 만큼 도심지의 수재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도심지 복합지하공간 하부에 지하저류공동 시설물을 시공하여 도심지 홍수피해 시 복합지하공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지하저류공동에서 저장된 빗물을 원활히 제어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공동보다 다수의 저류공동 시설로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수의 저류공동으로 시공을 할 경우 공동과 공동 사이의 필라 구조물에 상부의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필라 구조물에서 안정성 확보 방안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필라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라부 보강공법을 개발하였다. 필라부 보강공법은 철근과 PC강연선으로 구성된 보강재를 필라부에 삽입한 후 가압 그라우팅을 하고,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공법이다. 따라서 기존의 프리케스트 콘트리트 구조물로 필라부를 보강하는 것과 달리 원지반을 직접 보강하는 공법으로 원지반의 강도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먼저, 가압 그라우팅을 하였을 경우 지반 보강효과뿐만 아니라 필라부에 가해지는 상부의 하중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게 되면 필라부에 내압을 가하는 효과로 인하여 지반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보강효과를 통해서 필라부 주변지반의 거동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판단하고자 한다. 먼저, 수치해석을 통해서 각 시공단계별 필라부 지반의 응력 변화 양상을 판단하였다. 이를 통해서 가압 그라우팅과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착지 동작 시 깔창 높이가 20대 남성의 하지 관절 각도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Insole Height on Lower Limb Joint Angle and Muscle Activity at Landing when the Maximal Ground Reaction Force of Male in Their 20s)

  • 유경태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32-13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착지 시 키 높이 깔창 높이에 따라 젊은 남성의 최대지면반발력시 하지관절각도와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총 3주에 걸쳐 한 주당 0, 3, 5cm 의 폴리우레탄 소재의 깔창 중 무작위로 하나를 착용하여 40cm 높이의 플랫폼 위에서 Force plate로 착지 동작을 시행하였다. 착지 동작 중 최대 지면반발력 시 하지의 관절 각도와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깔창의 높이에 따른 하지관절 각도와 근활성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반복요인이 있는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하지관절각도 분석 결과 깔창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좌측 발목관절 각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근활성도 분석 결과 깔창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우측 앞정강근과 양쪽 넙다리 두갈래근에 영향을 주었다. 하지 근육의 충분한 근력증가를 통하여 착지시 신체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깔창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근육과 하지관절의 각도도 다를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열탕 가열 중 한우 홍두깨살 및 아롱사태의 중심온도가 가열감량, 보수력, 표면색도 및 조직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nal Temperature on Physical Properties of Hanwoo Beef Eye of Round and Center of Heel during Boiling)

  • 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3-412
    • /
    • 2013
  • 한우의 홍두깨살과 아롱사태를 열탕에서 가열하는 동안 중심온도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홍두깨살과 아롱사태의 pH 값은 각각 중심온도 $40^{\circ}C$$50^{\circ}C$에서 생육의 pH 값보다 유의적(p<0.05)으로 상승하기 시작하여 각각 $70^{\circ}C$$80^{\circ}C$에서 가장 크게 변화한 후,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홍두깨살과 아롱사태의 표면색도에서 $L^*$값은 각각 $50^{\circ}C$$60^{\circ}C$까지 유의적으로 높아졌으나, $a^*$값 및 $b^*$값은 모두 $80^{\circ}C$까지 낮아졌으며 (p<0.05), 모두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홍두깨살과 아롱사태의 중심온도가 각각 $60^{\circ}C$$70^{\circ}C$에서 가열감량이 가장 높은 반면 보수력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홍두깨살과 아롱사태의 조직감에서 경도, 뭉침성 및 저작성은 각각 $70^{\circ}C$$80^{\circ}C$에서 가장 크게 변하고, 응집성은 각각 $60^{\circ}C$$70^{\circ}C$에서 가장 크게 변하였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탄력성은 홍두깨살과 아롱사태의 중심온도가 각각 $70^{\circ}C$$80^{\circ}C$에서 유의적으로 높아진 후두 부위 모두 $90^{\circ}C$부터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홍두깨살은 아롱사태보다 가열에 의한 물리적 특성 변화가 빠르게 나타났다.

내림 경사로의 기울기에 따른 족저압과 압력중심이동경로 분석 (Analysis of Plantar Foot Pressure and Pathway of COP Depending on Inclination of Descending Ramp)

  • 한진태;황보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257-265
    • /
    • 2010
  • 본 연구는 내림 경사로를 내려오는 동안 경사로의 기울기 변화가 보행 시 족저 영역별 최고 압력과 입각기 동안 압력중심이동경로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보행에 문제가 없는 열다섯 명의 건강한 젊은 성인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각각 평지, 내림경사 $5^{\circ}$, $10^{\circ}$, $15^{\circ}$의 경사로를 내려오는 동안 입각기 발의 족저 최고 족저압과 압력중심이동경로를 측정하였다. 측정장비는 Tekscan사의 Footmat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발을 일곱 개의 영역(두 개의 발가락 영역, 세 개의 전족부 영역, 한 개의 중족부와 후족부영역)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다. 내림경사로의 기울기에 따른 최고 족저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분산분석을 이용하였고 압력중심이동경로는 육안적 관찰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내림경사로의 기울기가 커질수록 입각기 동안 최고 족저압은 엄지발가락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세개의 전족부 영역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압력중심이동경로는 내림경사로의 기울기가 커질수록 전족부에서 압력 중심이 내측으로 이동하였고 엄지발가락까지 길어지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내림경사로의 기울기가 $-5^{\circ}$에서부터 일부 족저영역의 압력분포가 유의하게 달라지며 이는 내림경사로의 기울기가 발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