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ting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439건 처리시간 0.03초

동계 이중외피와 내부식재에 의한 실내 온도 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ter season window and indoor temperature due to the indoor plant)

  • 윤영일;조주영
    • KIEAE Journal
    • /
    • 제15권5호
    • /
    • pp.107-112
    • /
    • 2015
  • Purpose: This study desires to investigate an effect of indoor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targeting a planting system of double-skin facade and cavity space adjacent to the outside within a certain period of winter. Through this, the study suggests a basic material about an energy conservation effect of double window system using planting to reduce heating load of a building in winter, so desires to contribute to indoor thermal comfort effect and illuminance correction study of double window and indoor plant. Method: Considering effects such as day and night climatic elements and air conditions in winter, illuminance measurement was conducted through a double-skin facade of space, a subject of the measurement, on the basis of practical residence time of a resident, and this study analyzed characteristics of indoor illuminance about this. The study measured and compared a change of insolation, dry-bulb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at each indoor-outdoor measuring point, so measured and compared characteristics of an indoor temperature effect by elements of double-skin facade and indoor plant. Result: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determine that indoor plant within double window in winter not only blocks solar radiation but also photosynthesizes, so is somewhat disadvantageous to winter thermal comfort reducing heating load. In addition, solar radiation going through interior plays a role to bring down somewhat high humidity to about 50% of reasonable humidity, so plays a direct role of maintenance of comfortable indoor space. Although there are effects such as blocking of solar radiation and temperature reduction, thi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humidity control and proper illuminance distribution. The researcher could determine that illuminance, temperature, and humidity by solar radiation penetration for the whole measuring time play a role to supplement indoor environment mutually.

Analysis of Heating Characteristics Using Aluminum Multi-Layer Curtain for Protected Horticulture Greenhouses

  • Park, Bum-Soon;Kang, Tae-Hwan;Han, Chung-Su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0권3호
    • /
    • pp.193-20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ergy saving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plant growth in a greenhouse with an aluminum multi-layer curtain compared to a greenhouse with non-woven fabric. Method: The dimensions of both greenhouses $43m{\times}3.6m{\times}8m(L{\times}H{\times}W)$, and both used hot air heater system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15^{\circ}C$. Heating characteristics such as solar intensity, inside and ambient temperatures, and fuel consumption were measured and analyzed. Results: The changes of average temperature of both greenhouses during a 15-days (December 06 - 20) showed approximately $26^{\circ}C$ at around 2 pm when the ambient temperature was highest. The greenhouses were set by the heater to keep a temperature of $15^{\circ}C$ from 4 pm to 8 am the following day. The average heat loss (for 15 days) from the greenhouse with an aluminum multi-layer curtain was $161.2-268.4kJ/m^2{\cdot}h$ during the daytime and $152.3-198.1kJ/m^2{\cdot}h$ during the nighttime. The average heat loss (for 15 days) from the greenhouse with non-woven fabric was $155.7-258.9kJ/m^2{\cdot}h$ during the daytime and $144.9-207.0kJ/m^2{\cdot}h$ during the nighttime. The total heat loss (for one day) from the non-woven fabric system was $7,960kJ/m^2$($2,876kJ/m^2$ during the daytime, $5,084kJ/m^2$ during the nighttime). The heat supply over 36 days for the non-woven fabric system was higher than the aluminum multi-layer curtain system by $616.3-65,079.4kJ/m^2$.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greenhouse with an aluminum multi-layer curtain could save energy usage by 35% over a greenhouse with non-woven fabric.

도시 하수 폐기물의 고주파 건조 (Drying by Microwave Irradiation of Sewage Waste)

  • 박수인;박광하
    • 분석과학
    • /
    • 제10권6호
    • /
    • pp.418-426
    • /
    • 1997
  • 고주파를 이용한 오니의 건조특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재래식 건조특성과 비교 분석하였다. 고주파 건조는 빠른 속도와 높은 효율을 보였다. 재래식 건조에서는 항율건조기간이 나타나지 않았고 수분은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이동하였다. 오니의 수분 중 자유수와 결합수는 존재하지 않았다. 고주파 건조에서 감율건조기간이 두 부분으로 나타났으며, 수분의 이동은 확산에 의하여 일어났다. 증발 표면적이 커질수록 수분의 제거가 촉진되었고, 오니의 지름이 커질수록 넓은 범위의 항율건조 기간이 나타났으며, 모양에 따라서도 건조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고주파 건조에서는 오니의 중심부에서 가장 먼저 온도가 상승하였으며, 항율건조기간에서 $80{\sim}100^{\circ}C$로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가장 높았다.

  • PDF

자동차 워셔액 가열시스템의 온도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ime Dependent Temperature Change in a Automobile Washer Heater)

  • 하지수;이선봉;이동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040-1044
    • /
    • 2013
  • 본 논문은 추운 겨울 자동차 앞면 유리에 생기는 성에를 제거하는 워셔액 가열시스템의 가열과 분사에 따른 온도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다른 연구에서는 워셔액 가열시스템에 대한 온도 변화 특성을 간단한 수학적 모델링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워셔액 가열시스템의 보다 더 최적화된 제어시스템 설계를 위해 워셔액 가열시스템의 시간에 따른 열유동 특성 변화를 전산유체해석(CFD)을 통해 파악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서 워셔액 가열시스템의 주요 부분인 히터와 워셔액에 대한 비정상상태 해석을 수행하고 워셔액 전체의 온도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워셔액의 가열시간과 분사시 온도 특성을 파악하여 워셔액 가열시스템의 최적설계의 기본자료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수전촌(水田村)의 조선족(朝鮮族) 주거(住居)와 한족(漢族) 주거(住居)의 비교(比較) (A Comparative Study on the Architetu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Chinese and Chinese Dwellings of Sujoenchon Village in Jilin Province of Northeast China)

  • 이상해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4권
    • /
    • pp.138-171
    • /
    • 2001
  • This paper, based on the filed survey conducted from August 14 to 21, 2000, examine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wellings of Sujeonchon(수전촌, 水田村) village. Sujeonchon village is located on the northen slope of Changbaishan Mt., Andohyun(안도현, 安圖縣) of jilin Province(吉林省), a province in the northeastern region of China. The village was established between late 1940's and early 1950's by the Korean-Chinese. Later on, some of the Korean-Chinese residents moved out of the village and presently, the residents are composed of both the Korean-Chinese and the Chinese consisting about fifty-fifty. Since the cultural background and the living custom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thnic group, that is, the Korean-Chinese and the Chinese, their dwellings reveal some differences between them. Through the study,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distinctions of the Korean-Chinese and Chinese dwellings are found and summarized as follows: 1.The way of building layout is different between them: the Chinese mainly follows the north-south direction of building layout, while the Korean-Chinese considers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ndition. 2.The floor level of kitchen is different between them: that of the Chinese house is same as the outdoor earth level, while that of the Korean-Chinese is lower than the outdoor level. 3.The way of providing the kitchen space is different between them: the kitchen of the Chinese house is consist of one separate room, while that of the Korean-Chinese is open to the living area. 4.The way of heating system is different between them: the Chinese house has kang only at the sleeping area, while the Korean-Chinese install whole under-floor heating of gudeul in the living area. 5.The attitude to the way of building is different between them: the Chinese are easily adapt to the new building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 while the Korean-Chinese are showing strong attachment to the traditional way of building. 6.The houses of the Chinese and the Korean-Chinese have their own traditional ornaments and talismans on and in the building.

HVACS 기반의 에너지 절감 연구 (Energy Saving based on HVACS)

  • 오진석;김민욱;이종학;오지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7호
    • /
    • pp.925-934
    • /
    • 2020
  • 본 연구는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너지 절감 시스템 (ESS, Energy Saving System)의 알고리즘을 선박운항 특성에 적합하게 설계하고, 특정 시스템을 탑재한 선박의 운항 특성을 바탕으로 에너지 소비 양상을 분석하여 운항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기법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를 위해 발전체계를 기반으로 선박의 추진 체계 특성을 반영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현한다. 연구대상 선박은 LNG 운반선에 탑재된 HVACS(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며, 이를 기반으로 미래형 기반 선박인 전기추진선박 및 자율운항선박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성을 가진 에너지 절감 기법을 제안한다.

열간 기계적 피어싱을 이용한 핫스탬핑 전단특성 연구 (Study on the Shear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Hot Mechanical Piercing during the Hot Stamping Process)

  • 박계정;박재명;공제열;김지영;윤승채;현주식;정유동
    • 소성∙가공
    • /
    • 제32권2호
    • /
    • pp.81-86
    • /
    • 2023
  • The hot stamping process is widely used for high strength of vehicle parts, with heating 900 ℃ or higher in a furnace and in-die quenching to achieve strength above 1.5 GPa of the quenchable boron alloyed steel 22MnB5. First of all, the hot stamping process consisted of heating, forming, quenching and trimming. In the trimming process case, the laser method has been conventionally adopted. For laser trimming process, it has the problems pertaining to low productivity and high cost while the hot stamping process, accordingly the trimming process ne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for alternative method. In order to overcome these issues, many research groups have studied the mechanical trim solution on the hot stamped parts at high temperature. In this study, the mechanical piercing was performed during the hot stamping process at the high temperature for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laser cutting. Also, the process parameters such as piercing time after die closing, clearances of between die and punch were controlled for obtaining the reasonable shear characteristics.

마이크로파 하이브리드 소결법에 의한 NTC 서미스터의 제조 (Microwave hybrid sintering of NTC themistor)

  • 최영락;안진용;안주삼;백동규;최승철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508-512
    • /
    • 1998
  • 마이크로파(2.45GHz) 에너지를 이용한 소결법으로 $1100^{\circ}C$~$1300^{\circ}C$의 온도범위에서 반도체 세라믹스인 $Mn_3O_4{\cdot}Co_3O_4{\cdot}3NiO$ 조성의 NTC 서미스터를 소결하였으며, 그 전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소결온도가 높아질수록 소결밀도가 높은 치밀한 소결체를 얻을 수 있었으며, 25~$85^{\circ}C$ 범위의 온도변화에 따른 전기저항변화 특성으로부터 구한 비저항 $B_{25^{\circ/85^{\circ}}$ 정수는 3100~3200K이었다. 마이크로파 하이브리드, 소결법으로 소결된 시편과 일반소결법으로 소결된 시편을 비교하면 소결특성과 전기적물성에서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마이크로파 에너지를 이용한 소결공정은 20분 안에 완료되는 짧은 시간의 급속소결법으로 공정 시간과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었다.

  • PDF

단일전극을 가진 마이크로 가스센서의 제작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Fabrication of Micro Gas Sensor with Single Electrode)

  • 송갑득;방영일;이상문;이윤수;최낙진;주병수;서무교;허증수;이덕동
    • 센서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350-357
    • /
    • 2002
  • 센서의 안정도와 감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단일전극을 가진 열선형 마이크로 가스센서를 제작하였다. 일반적으로, 금속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가스센서는 히터전극과 감지전극의 두 개의 전극을 가지고 있다. 제작된 센서는 히터전극위에 감지물질을 형성하여 단일 전극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히터와 감지전극으로 사용되는 Pt는 glass 기판위에 스퍼터링법으로 형성하였으며 $SnO_2$ 감지물질은 제작된 Pt 전극위에 열증착시켜 형성하였다. $SnO_2$ 막은 lift-off 공정을 이용해서 패턴을 형성하고 1시간 동안 산소분위기에서 열산화하였다. 제작된 소자의 크기는 $1.9{\times}2.1\;mm^2$이다. CO 가스에 대한 감지특성을 조사한 결과 1,000 ppm에 대해 100 mV의 출력변화를 나타내었으며, 넓은 농도범위($0{\sim}10,000\;ppm$)에서 선형적인 전압출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스 반응 전과 반응 후의 전압출력을 비교해 볼 때, 1% 이내의 편차를 나타내는 우수한 회복성을 나타내었다.

핀-관 열교환기의 난방운전 시 공기측 열전달 및 마찰특성 (Air-side Heat Transfer and Friction Characteristics of Fined-tube Heat Exchangers under Heating Condition)

  • 권영철;장근선;고국원;김영재;박병권
    • 공업화학
    • /
    • 제17권5호
    • /
    • pp.476-48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핀-관 열교환기의 공기측 열전달 및 마찰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8종의 열교환기에 대하여 난방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핀-관 열교환기의 성능 비교평가를 위하여 공기엔탈피식 칼로리미터를 이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핀은 슬릿, 루버, 평판형이며, 관경은 7.0 mm, 열수는 1, 2, 3열 그리고 4종의 관회로에 대해 j 계수와 마찰계수를 획득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핀형상, 핀피치, 열수 그리고 관회로의 변화에 대한 핀-관 열교환기의 공기측 열전달 및 마찰거동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는 관회로의 구성이 열교환기의 열전달과 마찰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동일 핀피치의 열교환기의 경우에 저 Re 수에서는 1열의 열전달성능이 우수하나 Re 수가 증가할수록 j 계수의 거동은 역전함을 보였다. 그리고 2열의 열교환기에서 핀종류에 따라 공기측 열전달성능과 마찰계수가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