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rt valve stenosis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3초

The medical management of mitral stenosis in a Bull Terrier

  • Kun Ho Song;Aleksandra Domanjko Petric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5-79
    • /
    • 2023
  • An eight-year-old, 28-kg male bull terrier who showed signs of lethargy and cough was referred for further evaluation of congestive heart failure. On presentation,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a systolic murmur at the left apex of the heart. Moreover, chest radiograph evaluation confirmed the mild alveolar and interstitial patterns in the caudal lung lobes and a grossly enlarged left atrium and left ventricle. Electrocardiography showed atrial fibrillation with a wide QRS complex, and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revealed marked enlargement of the left atrium with abnormal morphology of the mitral valve. The thickened, hammer-like appearance and abnormal diastolic motion of the mitral valve leaflets were characterized by decreased leaflet separation and doming of the valve. The diagnosis was mitral stenosis with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atrial fibrillation. The owner declined interventional valvuloplasty. Medical treatment included furosemide, pimobendan and diltiazem. Regular health check-ups have shown that vitality and clinical signs have improved considerably, and the dog have remained stable for 6 months after the presentation.

심음에서의 심장판막협착 영역 검출 알고리듬 (Heart Valve Stenosis Region Detection Algorithm on Heart Sounds)

  • 이기현;이윤정;김명남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330-134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심음신호를 이용해 강한 심 잡음이 나타나는 심장판막협착 영역을 검출하는 새로운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심음의 주성분을 찾거나 심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들은 대동맥판막협착증이나 승모판막협착증과 같이 강한 심 잡음이 나타나는 비정상 심음의 경우, 강한 심 잡음으로 인해 좋은 결과를 보이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간 잡음강도함수를 이용한 잡음 검출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구간 잡음 강도 함수는 심음 신호에서 제 1심음과 제 2심음을 검출하여, 이를 이용한 심음 구간을 설정한 후 구간 자기상관변화량을 이용하여 도출할 수 있다. 제안한 구간 잡음강도함수를 이용하여 심 잡음의 강도를 판단하고 심 잡음 유무를 검출하였다. 제안한 알고리듬으로 실험한 결과, 심장판막협착 영역 검출에서 기존의 연구보다 뛰어난 성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뉴럴네트워크를 이용한 심음의 정상 비정상 분류 (Classificatin of Normal and Abnormal Heart Sounds Using Neural Network)

  • 윤희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31-135
    • /
    • 2018
  • 현대인의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하고 있는 심장병은 자각 증세 없이 갑자기 돌연사를 당할 수 있는 무서운 질병으로 예방이 중요하다. 심장병 중 대동맥판막 협착증을 판단하기 위해서 physioNet에서 제공하는 심음 데이터 중 S1과 S2 사이의 수축 심음 데이터를 이용하여 병명을 진단하였다. 대동맥 판막은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피가 유출되는 부위의 판막이다. 심장병 중 대동맥판막 협착증은 대동맥판막이 좁아져 좌심실의 수축 시 판막이 열리지 않는 질환이다. 위 논문에서는 정상인과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를 합쳐 특징이 180개로 이루어진 3126개의 샘플 심음 데이터를 실험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정상과 대동맥판막 협착증 환자를 구분하기 위해 가중퍼지신경망(NEWFM, Neural Network with Weighted Fuzzy Membership Function)이용하였다. 가중퍼지신경망의 특징선택 방법으로 가중치의 평균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분류 결과는 91.0871%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Bentall Operation in a Patient with a Unicommissural Unicuspid Aortic Valve

  • Park, Sung Joon;Lee, Jae Hoon;Chung, Eui Suk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2권5호
    • /
    • pp.368-371
    • /
    • 2019
  • A unicuspid aortic valve is a rare congenital malformation that frequently presents with valvular dysfunction and dilatation or aortic aneurysm, requiring combined aortic valve surgery and aortic repair. Some patients show severe valve calcification extending into the interventricular septum, possibly resulting in damage to the conduction system during debridement for valve replacement. We present a rare case of severe aortic stenosis with a unicommissural unicuspid aortic valve diagnosed by preoperative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in a 36-year-old man. After composite graft replacement of the aortic valve, aortic root, and ascending aorta, a permanent pacemaker was placed because of postoperative complete heart block.

4차원 자기공명영상을 활용한 돼지 심장 ex-vivo 이첨판 모델 유동 가시화 및 유동 특성 분석 (4D flow MRI based flow visualization and quantification of bicuspid valvular flow using ex-vivo porcine model)

  • 권민성;박성호;허형규
    • 한국가시화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17
    • /
    • 2023
  • Aortic valve stenosis is a heart valve disease caused by the accumulation of calcium in the valve, which can divide into tricuspid aortic valve (TAV) stenosis and bicuspid aortic valve (BAV) stenosis depending on the shape of natural valve. In this study, pig heart-based TAV and BAV ex vivo models were fabricated, and the flow characteristics behind a valve were analyzed using 4D flow MRI. Flow behind normal TAV was uniformly distributed, while BAV asymmetrically opened with an eccentric strong jet. Especially, BAV ex vivo model exhibited a secondary flow in the region where the valve closed. In addition, BAV had a 26% higher peak velocity while maintaining similar stroke volume compared with normal TAV.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flow characteristics for BAV AS patients.

퇴행성 대동맥판 협착증의 중증도 평가: 증례보고 3례 (Assessment of the Severity of Degenerative Aortic Stenosis: Three Case Reports)

  • 김성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70-275
    • /
    • 2019
  • 노령 인구의 기대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퇴행성 판막 질환이 많아지고 있다. 류마티스성 판막 질환인 승모판 협착증과 대동맥판 역류가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석회화된 퇴행성 대동맥판 협착증, 승모판 탈출증 및 허혈성 심장 질환으로 인한 승모판막 폐쇄 부전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심장초음파는 심장판막질환의 진단은 물론, 치료방법 및 수술 시기와 더불어 예후 평가에서도 매우 중요한 도구이며, 판막질환을 평가할 때 모든 판막을 자세하게 관찰하는 이면성 심장초음파가 우선해야 한다. 흔히 접하는 퇴행성 판막질환에 대한 이해와 함께 임상적 특성을 파악하여 심장초음파를 정확하게 시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아울러 대동맥판 협착증의 중증도 평가가 수술적 적응증을 판단하는 데 꼭 필요한 검사인만큼 정확한 판단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환자의 정확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퇴행성 대동맥판 협착증 환자 3례를 통해 심장초음파 검사의 중증도 평가를 쉽게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며 퇴행성 판막 질환의 심초음파 소견을 숙지하는 것이 심장초음파검사를 정확하게 수행하는 것에 수반되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판막부전증에 의한 대량객혈의 응급 이중판막 재치환술: 1례 보고 (Intractable Hemoptysis due to Valvular Heart Disease Treated by Emergency Redo DVR: 1 case report)

  • 이재훈;전양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4호
    • /
    • pp.423-427
    • /
    • 1997
  • 객혈은 승모판막협착증의 영향으로 흔히 발생되지만,많은 양으로 지속적이며 치명$\boxUl$101 곤출친으 확 실히 드물다. 한양대 학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지속적인 대량 폐출혈로 응급이중판막 재치환술 시행받은 30대 여자의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환자는 1984년 류마치스성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으로 판막치환술을(lonescu Shilcy 27mm) 받았으며, 그후 2년후에 삼첨판윤 성형술(Carpcntier's ring 30mm)을 받았다. 1995년 12월 26일 환자는 대량 객혈과 심한 호흡곤란으로 입원하였다. 객혈에 대한 동맥색전술을 포함한 내과적 치료를 시행 받았지만 효과는 없었다. 환자는 응급 이중판막 재치환술(승모판 : St. Jude 29mm, 삼첨판; St. Jude 33mm)을 시 행 받았으며. 술후 24시간이 경과된 후 객혈은 극적으로 조절되었다.

  • PDF

대동맥판협착증에 동반된 우관상동맥의 석회성 색전증 (Fibrocalcific Embolism of Right Coronary Artery Combined with Aortic Valvular Stenosis)

  • 장성욱;박정옥;김영권;이명용;류재욱;박성식;서필원;김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1호
    • /
    • pp.858-861
    • /
    • 2003
  • 대동맥판막질환에 동반된 허혈성 심질환의 원인은 대부분 전신적인 동맥경화의 진행에 따른 것이며, 심한 석회화가 초래된 대동맥판협착증 환자에서 대동맥판막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서 관상동맥 색전증 및 협착을 유발시킨 예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흉부압박감을 주소로 내원한 73세 여자 환자에서 심초음파검사와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중증 대동맥판협착증과 우관상동맥의 색전증을 진단하고 대동맥판치환술과 우관상동맥의 색전제거술 및 관상동맥성형술을 시행하였던 예를 치험하였다. 수술 후 우관상동맥 색전의 원인 물질이 대동맥판막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석회성 판막조직으로 판단되었기에 이와 관련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Numerical Investigation of Hemodynamics in a Bileaflet Mechanical Heart Valve using an Implicit FSI Based on the ALE Approach

  • Hong, Tae-Hyub;Choi, Choeng-Ryul;Kim, Chang-Nyung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B
    • /
    • pp.2410-2414
    • /
    • 2008
  • Human heart valves diseased by congenital heart defects, rheumatic fever, bacterial infection, cancer may cause stenosis or insufficiency in the valves. Treatment may be with medication but often involves valve repair or replacement (insertion of an artificial heart valve). Bileaflet mechanical heart valves (BMHVs) are widely implanted to replace the diseased heart valves, but still suffer from complications such as hemolysis, platelet activation, tissue overgrowth and device failure. These complications are closely related to both flow characteristics through the valves and leaflet dynamics. In this study, the physiological flow interacting with the moving leaflets in a bileaflet mechanical heart valve (BMHV) is simulated with a strongly coupled implicit fluid-structure interaction (FSI) method which is newly organized based on the Arbitrary-Lagrangian-Eulerian (ALE) approach and the dynamic mesh method (remeshing) in FLUENT. The simulated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previous experimental studies. This study shows the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FSI model to the complicated physics interacting between fluid flow and moving boundary.

  • PDF

승모판협착증 환자의 좌심방혈전 (Left Atrial Thrombi in Patients With Mitral Stenosis (Risk Factors Related to left Atrial Thrombosis))

  • 김광호;홍승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5권2호
    • /
    • pp.204-212
    • /
    • 1982
  • The presence of left atrial thrombus in mitral stenosis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several factors. These are age, sex, presence of atrial fibrillation, episodes of congestave heart failure, calcification of mitral valve, embolic episode, etc. Since none of these single factor has been always related to the presence of left atrial thrombus, related risk factors to left atrial thrombosis were studied in patients with mitral stenosis using chi square test. We had operated on 191 cases of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from Jan. 1978 to June 1981 at Severance Hospital, Yu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The left atrial thrombi were present in 41 cases among 191 cases of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and it was present in 31 cases among 89 cases of pure mitral stenosis. Only 10 cases among 74 cases of mitral stenoregurgitation had left atrlal thrombi, whereas no left atrlal thrombus was found in patients with pure mitral regurgitation. Related risk factors studied herein were sex, episodes of congestive heart failure, atrial fibrillation,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mitral valve area calculated by Gorlin and Gorlin`s formula cardiac output and left atrial dimension by echocardiogram. In this study presence of atrial fibrillation was deemed to be one of the most potential risk factors and other factors of age, duration of symptoms, episode of embolization, calclfication of mitral valve, associated aortic and tricuspid valve disease, ejection fraction of left ventricle by cineangiocardiogram and echocardiogram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nce of left atrlal thrombi in a statistical viewpoi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