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rt save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4초

개심술시 Cell Saver를 이용한 자가수혈의 효과 (Effects of Autotransfusion using Cell Saver in Open Heart Surgery)

  • 윤경찬;최세영;유영선;이광숙;박창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28-31
    • /
    • 1998
  • 개심술시 출혈에 따른 동종수혈은 응혈이상증, 간염, 후천성면역결핍증, 과민반응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동종수혈을 줄이는 한 방법으로 자가수혈기의 사용이 보편화 되어있다. 계명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93년 7월부터 1996년 7월까지 개심술을 받은 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cell saver를 이용하여 자가수혈을 받은 실험군 20명과 대조군 20명으로 나누어 수혈량, 흉관을 통한 출혈량, 혈액학적 소견, 혈액응고상태 등을 비교하였다. 술후 출혈량은 양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수혈량은 실험군에서 2.91$\pm$1.72 units로 대조군의 4.82$\pm$1.72 units에 비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cell saver를 이용하여 얻어진 처리혈의 구성성분은 hemoglobin 17.4gm%, hematocrit 56.4%, RBC 5,780,000/ul, WBC 9,900/ul, platelet 33,000/ul, sodium 147.4mEq/L, potassium 2.9mEq/L로 나타났다. 처리혈을 세균배양한 결과 20례중 1 례에서 staphylococcus epidermidis가 배양되었으나 감염에 따른 합병증은 없었다. 그리고 자가수혈기 사용에 따른 합병증예도 없었다.

  • PDF

개심술에서의 자가수혈기(Cell Saver)를 이용한 자가수혈 (Autotransfusion Using Ccell Saver in Cardiac Surgery)

  • 육을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2호
    • /
    • pp.125-130
    • /
    • 1995
  • Autotransfusion system is a common method of reducing the need of intraoperative and postoperative homologous blood transfusion in cardiac operation. Between August 1991 and August 1993, a series of 51 adults undergoing open heart surgery was selected. Autotransfusion using Cell Saver [COBE Baylor Rapid Autologous Transfusion System was done with homologous blood transfusion in 15 cases [Group II or without homologous blood transfusion in 17 cases [Group III . The other 19 cases were taken without Cell Saver for control [Group I . The shed blood in the operative field, remained blood in the oxygenator after cardiopulmonary bypass, and blood drained from chest tubes in postoperative care were aspirated by means of a locally heparinized collection system. After the salvaged blood was washed and centrifuged, the processed blood subsequently reinfused. Composition of processed blood by Cell Saver was hemoglobin 16.9gm%, hematocrit 49%, RBC 5,140,000/ml, WBC 670/ml, and platelet 30,000/ml. In three group, hemoglobin, hematocrit, and platelet counts were decreased postoperativel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 Postoperatively, the amounts of drainage from chest tubes was 543$\pm$121ml in Group I, 809$\pm$201ml in Group II, and 631$\pm$147ml in Group III. In Group II, there was large amount of drainage compared with Group I [p<0.05 . The amount of homologous blood transfused was 1116$\pm$219 ml in Group I, 791$\pm$183 ml in Group II [p<0.05 . The homologous blood was not transfused in 17 cases [53% with Cell Saver.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agulation paramet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 And there was no complication related to Cell Saver. We conclude that the autotransfusion using Cell Saver is effective for reducing the homologous blood transfusion in cardiac surgery.

  • PDF

병원 전 심폐소생술에 의한 순환회복 환자의 사례 분석: 두 지역 하트세이버 수여자를 대상으로 (Analysis of ROSC cases for out-of-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ased on Heart Saver laureate for two area)

  • 고봉연;이정은;홍성기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18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compare the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case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on the basis of Heart Saver laureate. Metho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outcomes an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by analyzing the data of two regions. The data were prehospital emergency reports of 473 patients who survived for > 72 hours after ROSC in two region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Results: Among the ROSC patients, 86.8% (G), 77.9% (S) were men and 72.9% (G), 67.9% (S) were of age 41~70 years, 87.6% (G), 82.9% (S) had a witnessed cardiac arrest; and 66.7% (G), 70.6% (S) receiv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rom bystander. Of those who performed the resuscitation, paramedics in 89.1% (G), 89.8% (S). Furthermor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ere involved in 69.0% of two-rescue teams in G and in 90.4% of three-rescue team in S. Conclusion: Most heart savers were qualified paramedics, and three-rescuer-teams resulted in better survival rate than two-rescuer-teams.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자발순환 회복에 관한 병원전 처치 - 하트세이버 수상자를 중심으로 - (Prehospital care after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in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Based on Heart Saver laureate)

  • 고봉연;홍성기;김진영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5-136
    • /
    • 2014
  • Purpose: We aimed to improve the survival rate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Methods: We analyzed data regard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outcom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The data included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ervice reports of 207 patients, 135 patients of Heart Saver, who survived over 72 hours after return of spontaneous circulation (ROSC) in Gyeonggi-do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Among patients who achieved ROSC, 87.6% were men and 73.6% were aged 41-70 years; 86.7% were cases of witnessed cardiac arrest, an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as performed by bystanders in 65.9% of cases. The initial electrocardiogram showed ventricular fibrillation or pulseless ventricular tachycardia in 96.3% of patients. The call time was 1.0 minutes, arrival time was 6.3 minutes, time spent at the scene was 8.0 minutes, hospital arrival time was 10.0 minutes, and total CPR duration was 9.6 minutes. The certificate of them was paramedics in 89.6%. Conclusion: To improve the survival rates of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standard prehospital care for these patients and educational programs regarding CPR for lay rescues should be developed.

급성 심근경색 후 좌심실류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재 좌심실용적감소술의 시행 (Redo-left Ventricular Volume Reduction Surgery in a Patient with Left Ventricular Aneurysm -1 case-)

  • 이삭;이창영;이교준;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호
    • /
    • pp.63-66
    • /
    • 2005
  • 전벽의 급성심근경색에 의한 좌심실류가 있는 경우 수술적 전측심실내복원술(SAVER)은 좌심실의 무운동과 이상운동 구획을 분리하여 정상적인 좌심실 원형구조와 심근벽의 긴장도를 정상적인 수준으로 감소시켜 줌으로써 혈역학적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술식이다 저자들은 급성심근경색에 의한 좌심실류로 좌심실류절제술을 시행 받은 과거력이 있는 40세 남환에서 12년간에 걸친 remodelling의 결과로 진행된 말기심부전의 치료방법으로써 다시 수술적 전측심실내복원술을 시행한 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개심술시 자가수혈기의 동종혈액 요구량의 저하 효과에 관한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Blood Conservative Effect of Cell Saver Apparatus During OHS)

  • 원용순;안혁;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4호
    • /
    • pp.365-370
    • /
    • 1995
  • We studied blood salvage effect of Cell Saver Apparatus[CSA with adult cardiac patients. This study compares blood salvage in two groups of patients undergoing valve replacement or congenital cardiac operation.Group 1 is composed with 60 patients operated during 1991-1992 using CSA. Group 2 is composed with 60 patients operated during 1990-1991. No special effort was made to salvage blood in Group 2. The average requirements in Group 1 were approximately one-fourth the amount of RBC products by Group 2. The hospital course, blood chemistry level were comparable for the two groups. CSA produced blood was concentrated, well oxygenated blood and the average amount was 830 ml. Any complication was not detected in transfusion of CSA produced blood. This study shows that CSA allows safe and practical blood salvage during adult cardiac operations.

  • PDF

여호와의 증인의 심장이식 - 1례 보고 - (Cardiac Transplantation in a Jehovah's Wittness A Case Report)

  • 박국양;박철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37-539
    • /
    • 1997
  • 40세된 한 여호와의 증인 환자에게 혈액제제의 사용없이 심장이식이 성공적으로 실시되었다. 환자는 수술 전 심방세동을 보여 항응고제를 사용중이었는데 프로트롬빈치가 Hm기준으로 2.4의 상태에서 수술을 시행하였다. 이 환자의 수술후 총 출혈양은 860cc 였으며 최소 헤모글로빈치는 12.2gm/이전로 수술전의 13.8 glen에 비해 불과 1.6 gm/이밖에 감소 하지 않았다. 환자는 수술후 12시간 만에 호흡기를 제거할 수 있었으며 수술후 5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경과는 매우 양호한 상태이다. 본 환자에 있어서 성공적인 무혈 수술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이중 cell saver의 사용, 정맥내 aprotinin의 처치, 그리고 수술중 지혈의 세밀함이 중요한 요소라고 본다.

  • PDF

수혈 없이 시행한 개심술 (Open Heart Surgery without Transfusion)

  • 김건일;이원용;김형수;김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184-192
    • /
    • 2009
  • 배경: 수혈의 부작용은 널리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의 개심술에서 수혈이 시행되고 있다. 동종 수혈 없이 심장수술이 가능한 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8월까지 다양한 혈액보존법을 적용하여 연속적으로 개심술을 시행한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심페기군(Group I, 17명)과 무심폐기군(Group II, 27명) 두 군으로 나누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혈액보존법은 수술 중 자가 혈액 채취(intraoperative autologous donation), 자가수혈기(cell saver), 역행적 자가 혈액 충전법(retrograde autologous priming), 기존 초여과법(conventional ultrafiltration), 변형 초여과법(modified ultrafiltration) 등을 사용하였고 술 후 항빈혈약을 복용시켰다. 무혈 수술 가능여부, 동종 수혈 원인, 적혈구 용적률의 변화, 술 후 출혈량 등 수술 결과를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두 군간 비교가 적당치 않은 항목은 혈액보존법 적용 전 2006년 수술한 환자를 대조군(49명) I, II로 하여 각각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44명 중 40명(90.9%)에서 무혈수술이 가능하였으며 각 군의 무혈 수술 성공률은 심폐기군 88.2% (15/17), 무심폐기군 92.6% (25/27)로 두 군간 차이는 없었다(p=NS). 수혈 원인은 술 후 출혈 2명, 술 중 출혈 1명, 원칙 적용 실수 1명이었다. 수술 결과 및 술 후 총 흉관 배액량(심폐기군 $417{\pm}359mL$, 무심폐기군 $451{\pm}237mL$)은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p=NS), 각각의 대조군 I, II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배액량이 적었다(p<0.05). 심폐기군에서 최저 적혈구 용적률은 심정지액 주입된 직후로 $16.4{\pm}2%$였고 두 군 모두 술 후 2개월째 수술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수술 중 자가 혈액 채취, 수술 중 자가수혈기, 역행적 자가 혈액 충전법, 기존 초여과법, 변형 초여과법 등을 사용하여 90.9%의 환자에서 무혈 수술이 가능하였다. 다양한 혈액보존법의 복합 적용이 가장 중요하며, 수술 시의 세심한 지혈 과정 그리고 수혈 기준의 완화 등을 통해 무혈 수술이 가능하다.

병원 전 심폐소생술에 의한 자발순환 회복 8례: 일 지역 하트세이버 수여자를 기준으로 (A Case Report of ROSC for Out-of Hospi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ased on one Area Heart Saver)

  • 방성환;김지희;김경용;노상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61-67
    • /
    • 2013
  • 이 연구는 병원 전 심정지 환자에게 심폐소생술과 후 72시간 이상 자발순환이 회복된 환자 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심정지 원인으로는 심장질환이 3례, 응급상황으로 인해 병력을 구하지 못한 경우가 5례를 보였다. 심정지 환자의 6례가 가정에서 발생하였고, 가족이나 동료에 의해 심정지가 목격된 경우가 8례였으며, 가족이나 동료 등 목격자의 의해 시행된 심폐소생술은 5례였다. 구급대원 도착 후 임종 호흡을 보인 환자가 3례로 확인되었다. 심정지 환자의 최초 초기리듬은 심실세동 7례, 무맥성전기활동 1례를 보였다. 출동에서 현장 도착까지 소요시간은 6.1분(${\pm}2.7$), 출동에서 병원 도착까지 소요시간은 23.0분(${\pm}8.8$), 자발순환이 회복되기까지 심폐소생술 지속 시간은 8.7분(${\pm}3.4$)이 소요되었다. 출동한 구급대원의 자격은 1급응급구조사 6례, 2급응급구조사 2례였으며, 3명 출동이 7례를 보였다. 병원 전 심정지 환자의 소생률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목격자에 의한 심폐소생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