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thcare Disparitie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7초

노인의 식생활 형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2011-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Effect of Dietary Lifestyle of the Elderly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2011-202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정현정;박지경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99-211
    • /
    • 2023
  • Purpose : Rapid population aging in South Korea is emerging as serious social problems, and interest i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measures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the elderly's dietary lifestyle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thods : Utilizing raw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panning from 2011 to 2020, this study focused on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After excluding cases with missing data, 12,731 individual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Various statistical method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t-tests, ANOVA, Scheffé 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for window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α) was set at .05. Results :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dietary lifestyle exhibited variations depending on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dividual income, basic livelihood type, household type, self-rated health status, and chewing difficulty (p<.001). Secondly, there were disparitie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measured by the EQ-5D index) based on gender, age, education level, residence, individual income, basic livelihood security, self-rated health status, and chewing difficulty (p<.001). Thirdly, the EQ-5D index showed that elderly individuals' dietary lifestyle adversely impacted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353.74, p<.001). Conclusion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policies to improve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maintaining a proper diet for the elderly, and customized support and management is required taking into account the elderly's gender, age, education level, individual income, basic livelihood security, household type, self-rated health status, chewing difficulty etc.

Dementia Incidence Rate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National Responsibility Policy for Dementia Care in Patients With Vascular Risk Factors in Korea

  • Gihwan Byeon;Sung Ok Kwon;JinHyeong Jhoo;Jae-Won Jang;Yeshin Kim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9-60
    • /
    • 2023
  • Background and Purpose: The National Responsibility Policy for Dementia Care was implemented in September 2017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compare dementia incidence in Seoul and Gangwon-do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is policy. Methods: We extracted insurance claim data from the Korean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for people diagnosed with diabetes, hypertension, or dyslipidemia for the first time in Seoul and Gangwon-do, Korea. We defined two enrollment groups based on the policy implementation date: 1) January 1, 2015 to December 31, 2016 (Index 1, pre-implementation), and 2) January 1, 2017 to December 31, 2018 (Index 2, post-implementation). Each group was followed up for 1 year from the time of enrollment. Then, we calculated hazard ratios to compare the incidence of dementia between the two groups, and between Seoul and Gangwon-do. Results: In Seoul, the incidence of dementia was significantly lower in Index 2 than in Index 1 (hazard ratio [HR], 0.926; 95% confidence interval [CI], 0.875-0.979). However, the incidence rate did not differ between the 2 groups (HR, 1.113; 95% CI, 0.966-1.281) in Gangwon-do. In Index 1, the incidence of dementia did not differ between Seoul and Gangwon-do (HR, 1.043; 95% CI, 0.941-1.156), but in Index 2, was significantly higher in Gangwon-do than in Seoul (HR, 1.240; 95% CI, 1.109-1.386). Conclusions: After implementing the National Responsibility Policy for Dementia Care, the dementia incidence rate decreased significantly in Seoul, consistent with other studies, but not in Gangwon-do.

의료 및 금융 서비스에서 인간-AI 에이전트 선호도에 소비자가 지각하는 공감 능력의 중요성이 미치는 영향 (Understanding the Impact of Perceived Empathy on Consumer Preferences for Human and AI Agents in Healthcare and Financial Services)

  • 임가영;김애경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2호
    • /
    • pp.155-176
    • /
    • 2024
  • 본 연구는 의료 및 금융 서비스 영역에 대해 인간과 AI 에이전트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은 각 서비스 영역에서 인간과 AI 에이전트 중 소비자가 선호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의료 서비스에 대해서는 AI 에이전트보다 인간 에이전트가 더 선호되고, 금융 서비스에서는 이와 반대로, 인간 에이전트가 보다 AI 에이전트가 더 선호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 2는 의료 및 금융 서비스 영역에 대한 인간-AI 에이전트 선호도가 달라지는 이유를 각 서비스 영역별로 소비자가 지각하는 특정 능력(예: 지각된 공감 능력, 경험치, 주체성)의 중요성의 차이로 설명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 영역에 따른 인간-AI 에이전트 선호도 경향이 소비자가 지각하는 공감 능력의 중요성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각된 공감 능력이 다른 능력들(경험치, 주체성)에 비해, 두 서비스 영역 간 인간-AI 에이전트 선호를 결정하는 데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의료 및 금융 서비스 영역에 대해서 인간과 AI 에이전트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차이와 그 이유를 확인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인간과 AI 에이전트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으로 중요한 요인들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확장하고, 서비스 영역에 따라, 지각된 공감 능력과 같이 인간의 경험적 역량이 인간과 AI 에이전트 선호도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의료기관 중심 보건의료·복지 통합 서비스 제공 사업 비교 (Comparison of Integrated Health and Welfare Service Provision Projects Centered on Medical Institutions)

  • 이수진;김종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9권2호
    • /
    • pp.132-145
    • /
    • 2024
  •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 중심 보건의료·복지통합 서비스 활성 방안을 모색하기위하여 대구의료원 달구벌건강주치의사업, 삼척의료원 301 네트워크 사업, 부산의료원 3 for 1 사업 을 프로그램 논리모형을 적용하여 사례 비교하였다. 상황적 측면에서 세 사업 모두 보건의료·복지 서비스의 분절과 의료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투입 요소 중 인력은 모두 다학제 팀 구성 현황은 유사하였으나 구체적인 구성 분야, 채용 규모, 고용 형태, 에서는 기관별 차이가 있었다. 예산을 지원받는 재원 출처의 차이로 각 사업은 지역사회와 협력하고 지원하는 방식과 향후 방향성에서의 차별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출은 수혜대상자 수와 진료 건수에 차이가 있었으며, 투입인력 또는 운영비 대비실인원 수, 수혜대상 1인당 사업비 비교시 다른 결과를 확인하였다. 의료기관 중심의 보건의료·복지 통합제공체계의 설계 시 우선적으로 권고하는 상황은 안정적인 기금마련 기전을 확보하고 이에 합당한 대상자와 서비스 전달체계를 구축하라는 것이다. 또한, 의료기관 내 사례관리 전담기구로서 각 부문의 활동을 연계할 수 있도록 위탁이 아닌 전담부서 설치, 적정 규모의 채용, 안정적 고용 체계가 필요하며, 민·관 협력 및 경증부터 중증까지 제공할 수 있는 포괄적 제공체계 구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의료기관 중심보건의료복지 통합 서비스 제공 사업은 지역사회에서 풀리지 않는 난제였던 보건의료 서비스 강화와 촘촘한 연계를 가능하게 함으로 궁극적인 지역사회 건강안전망 역할 강화를 기대한다.

원주시민과 춘천시민의 지역사회 내 금연프로그램 이용 격차가 금연 시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the Utilization Gap of the Community-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s on the Attempts for Quitting Smoking between Wonju and Chuncheon Citizen )

  • 도경이;이광수;오재환;박지해;정윤지;강제구;윤선영;김춘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9권1호
    • /
    • pp.37-49
    • /
    • 2024
  • 이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와 춘천시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두 지역 간 흡연 상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 지역 내 금연프로그램 경험이 금연 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원주시는 춘천시보다 현재흡연율이 더 높고, 흡연기간은 더 길었으며, 흡연 시작 연령은 춘천시보다 더 낮았다. 원주시의 현재흡연율이 춘천시보다 더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관할지역 내 보건소 등에서 운영하는 금연 교육프로그램의 이수 경험률이 원주지역에서 더 낮았고(OR=0.52, 95% CI=0.33~0.81), 금연클리닉의 이용률도 더 낮았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지역 내 금연프로그램 경험이 금연 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원주시는 금연교육 이수자와 금연클리닉 이용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각각 OR=2.31, OR=2.29로서 금연 시도 경험이 더 높았고, 춘천시의 경우도 금연지원서비스를 인지하고 있는 대상자의 금연 시도 경험이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OR=2.26배 더 높았다. 하지만 두 지역 모두 적은 표본수로 인하여 통계적 유의수준에 도달하지는 못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당보건의료기관은 지역주민의 금연지원서비스에 대한 인식 제고와 흡연자의 금연 시도를 높이기 위한 지역 내 보다 실용성 있는 금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역-밀착형 홍보로 접근성을 제고하여 현재흡연율의 지역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중재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Black Hispanic and Black Non-Hispanic Breast Cancer Survival Data Analysis with Half-normal Model Application

  • Khan, Hafiz Mohammad Rafiqullah;Saxena, Anshul;Vera, Veronica;Abdool-Ghany, Faheema;Gabbidon, Kemesha;Perea, Nancy;Stewart, Tiffanie Shauna-Jeanne;Ramamoorthy, Venkataraghav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453-9458
    • /
    • 2014
  • Background: Breast cancer is the second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for women in the United States. Differences in survival of breast cancer have been noted among racial and ethnic groups, but the reasons for these disparities remain unclear. This study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urvival curve of two racial and ethnic groups and evaluates the effects of race on survival times by measuring the lifetime data-based half-normal model. Materials and Methods: The distributions among racial and ethnic groups are compared using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from nine states in the country all taken from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s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cancer registry. The main end points observed are: age at diagnosis, survival time in months, and marital status. The right skewed half-normal statistical probability model is used to show the differences in the survival times between black Hispanic (BH) and black non-Hispanic (BNH)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The Kaplan-Meier and Cox proportional hazard ratio are used to estimate and compare the relative risk of death in two minority groups, BH and BNH. Results: A probability random sample method was used to select representative samples from BNH and BH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who were diagnosed during the years of 1973-2009 in the United States. The sample contained 1,000 BNH and 298 BH female breast cancer patients. The median age at diagnosis was 57.75 years among BNH and 54.11 years among BH. The results of the half-normal model showed that the survival times formed positive skewed models with higher variability in BNH compared with BH. The Kaplan-Meir estimate was used to plot the survival curves for cancer patients; this test was positively skewed. The Kaplan-Meier and Cox proportional hazard ratio for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BNH had a significantly longer survival time as compared to BH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half-normal model. Conclusions: The findings with the proposed model strategy will assist in the healthcare field to measure future outcomes for BH and BNH, given their past history and conditions. These findings may provide an enhanced and improved outlook for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breast cancer 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HIV병 사망자 중 결핵 사망 분율과 관련 요인 (Related factors of the Tuberculosis as a primary cause among the HIV disease deaths)

  • 이혜권;나백주;천성아;박균익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2호
    • /
    • pp.72-79
    • /
    • 2015
  • 본 연구는 HIV병 사망자 중 HIV병과 결핵이 동반사망한 분율을 조사하고 그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사이에 HIV병 사망자는 모두 774명으로 결핵이 동반사망한 분율은 10.1%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분율은 2005년부터 2007년 사이에 16.3%까지 치솟았지만 2008년부터 2010년 사이에는 4%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HIV-결핵 동반사망 분율은 젊은 계층에서 더 높았고 배우자가 있는 그룹과 교육을 잘 받은 그룹에서는 유의하게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활동성이 높은 젊은층에서 HIV-결핵 동반사망 분율이 높고 사회경제적 안정계층에서 HIV-결핵 동반사망 분율이 낮은 것은 비슷한 해외 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어 HIV-결핵 동반사망의 예방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국은 다행히 점차 HIV-결핵 동반사망 분율이 낮아지고 있어 HIV감염자에 대한 결핵 예방사업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하고 이후 이러한 지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among Women in Korea, 2005-2015

  • Choi, Eunji;Lee, Yoon Young;Suh, Mina;Lee, Eun Young;Mai, Tran Thi Xuan;Ki, Moran;Oh, Jin-Kyoung;Cho, Hyunsoon;Park, Boyoung;Jun, Jae Kwan;Kim, Yeol;Choi, Kui Son
    • Yonsei Medical Journal
    • /
    • 제59권9호
    • /
    • pp.1026-1033
    • /
    • 2018
  • Purpose: Consistent evidence indicates that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are low among socioeconomically deprived women. This study aimed to assess trends in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and to analyze socioeconomic inequalities among Korean women from 2005 to 2015. Materials and Methods: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Cancer Screening Survey, an annual nationwide cross-sectional survey, were utilized. A total of 19910 women were finally included for analysis. Inequalities in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status were estimated by slope index of inequality (SII) and relative index of inequality (RII), along with calculation of annual percent changes (APCs), to show trends in cancer screening rates. Results: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increased from 54.8% in 2005 to 65.6% in 2015 and from 37.6% in 2005 to 61.2% in 2015, respectively. APCs in breast cancer screening rates were significant among women with higher levels of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status. Inequalities by household income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uptake were observed with a pooled SII estimate of 10.6% (95% CI: 8.1 to 13.2) and RII of 1.4 (95% CI: 1.3 to 1.6). Income inequalities in breast cancer screening were shown to gradually increase over time with a pooled SII of 5.9% (95% CI: 2.9 to 9.0) and RII of 1.2 (95% CI: 0.9 to 1.3). Educational inequalities appeared to diminish over the study period for both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Conclusion: Our study identified significant inequalities among socioeconomically deprived women in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in Korea. Especially, income-related inequalities were greater than education-related inequalities, and these were constant from 2005 to 2015 for both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에서의 시민참여: 건강 격차 해소방안을 위한 시민원탁회의 결과를 중심으로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mmunity Health Plan: Based on the results of roundtable discussions to Resolve the Health Disparity)

  • 이수진;홍남수;김건엽;류동희;배상근;김지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51-161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보건의료계획 수립과정에서 시민들이 생각하는 건강문제와 보건 서비스 요구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대구광역시의 중장기 보건의료 종합계획 수립에 반영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민참여단을 구성하여 2차례의 시민원탁회의를 실시하였으며, 시민원탁회의는 고객여정지도, DVDM (Definition, Value, Difficulty, Method) Map, 페르소나 기반 시나리오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시민들은 건강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보건 서비스 접근성 확대, 소생활권 중심 보건 서비스, 정신건강 서비스 확대, 건강 친화적 환경조성, 환경오염 개선, 사회적 건강개선을 제안하였으며, 건강 격차를 줄이는 방안으로는 건강 취약계층의 소통 향상 및 사회적 환경조성, 보건의료에 대한 접근성 향상, 쾌적한 물리적 공간, 사회적 역할 수행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의 설문조사를 통한 주민요구도 조사와 달리 실제 주민들의 생각과 요구를 상세히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지역보건사업의 기획과 수행과정에서 주민참여 수준의 단계를 평가하고, 보다 다양한 시민들의 의견을 적용할 수 있도록 주민참여 제도화 기반 수립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전문병원과 비전문병원 입원환자의 의료이용 비교 분석: 인공관절치환술(슬관절)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Inpatient Medical Use between Non-specialty and Specialty Hospitals: A Study Focused on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 김미성;정형선;유기봉;강제구;장한솔;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8-86
    • /
    • 2024
  • 연구배경: 본 연구를 통해 전문병원과 비전문병원에서 인공관절치환술(슬관절)을 받은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전문병원 지정 여부에 따른 입원환자의 의료이용을 비교하여 전문병원제도의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21-2022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요양급여비용 청구자료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입원환자의 의료이용으로, 건당 진료비와 재원일수를 선정하였다. 독립변수는 전문병원 지정 여부이며, 통제변수는 환자 단위 변수(연령, 성별, 보험자 유형, 수술 유형 및 Charlson comorbidity index)와 의료기관 단위 변수(설립 구분, 종별 구분, 소재지, 정형외과 의사 수 및 간호사 수)를 선정하였다. 결과: 건당 진료비와 전문병원 지정 여부 간 다중회귀분석 결과, 건당 진료비와 전문병원 지정 여부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관계가 있었다. 이는 전문병원이 비전문병원에 비해 건당 진료비가 유의하게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전문병원과 비전문병원의 입원환자 간 의료이용 결과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결론: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병원 지정기준의 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 전문병원이 비전문병원에 비해 건당 진료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문병원의 비용 효과성에도 불구하고 전문병원 지정에 대한 높은 진입장벽으로 인해 수도권 및 대도시 지역에 전문병원이 집중되어 있다. 전문병원의 지역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준전문병원(가칭)"을 도입하는 등 비수도권 전문병원 지정기준을 완화한다면, 지역간 건강격차 해소 및 의료비 절감의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병원 의료인력 규모의 적정성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 정형외과 의사 수 및 간호사 수에 따라 건당 진료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 의료인력 적정 배분을 바탕으로 의료서비스의 비용 효과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의료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불러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