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ling Art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4초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에 대한 가능성 탐색 (An Inquiry of the Possibility of the Healing Function of Art Museum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56-65
    • /
    • 2015
  • 본 연구는 현대의 미술관이 갖는 여러 기능 중 치유적 기능의 가능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탐색함으로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이라는 개념을 새롭게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미술관에서는 이미 알츠하이머 환자, 학습부진자,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치유적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왔으며, 이러한 미술관이 갖는 치유적 잠재력은 미술감상과 공간, 소통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실제적으로 미술관에서의 경험을 다룬 선행연구에서 치유적 기능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는 "미술관의 치유적 기능"은 국내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되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 관계자들에게 미술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해 줄 것이며, 현대에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직장인, 학생 및 사람을 상대로 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에게 미술관을 문화 교양 뿐 아니라 자신의 내면을 보살피고 치유하는 공간으로 인식하도록 도와 미술관에 대한 더 많은 사회적 관심을 이끄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를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 제안 (Art Therapy Program Proposal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Their Spouses)

  • 윤라미;박윤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70-383
    • /
    • 2022
  •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이론적 담론에 근거하여 조사-분석-설계-구안-실행 및 평가의 5단계로 예술치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한 Y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경증치매노인 및 배우자들에게 시범 적용하여, 예술치유 프로그램이 내적 긍정자원 마련, 부부간 상호 호혜적 자원 강화, 지역사회 이웃과의 관계 경험으로 삶의 만족도 및 행복감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치매 환자와 가족을 함께 지원하는 예술치유지원책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역사문화경관 이미지가 치유특질에 미치는 영향 - 경주시 양동마을을 중심으로 - (Effec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Images on Healing Characteristics - Around the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

  • 천겅;이선호;이영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9-38
    • /
    • 2021
  • 집중력회복 이론(ART)에 의하면 인간이 치유특질을 가진 경관을 경험하면 의도적인 집중력으로 유발된 정신적 피로감이 치유될 수 있다. ART에서는 다양한 경관이 치유특질을 가질 수 있다고 인정하고, 경관의 네 가지 치유특질은 지각강도가 클수록 치유효과가 강해진다고 설명하였다. 지금까지 치유경관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자연경관과 도시경관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RCS를 이용하여 양동마을 경관을 대상으로 치유특질을 평가하고, 치유특질이 대상지경관의 방문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둘째, 양동마을경관을 대상으로 경관이미지를 평가하여, 경관이미지가 경관의 치유특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경주시 양동마을이며, 127명의 대학생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그리고 경관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한 SD 16항목, 치유특질을 평가하기 위한 Laumann (2001)의 RCS 22항목을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첫째, SD법을 통해 양동마을의 경관 이미지를 분석하였으며, 양동마을 경관 이미지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는 장소성 요인과 특이성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RCS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입증하고 있으며, 요인분석 결과 세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경관 이미지가 RCS의 세 가지 치유특질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도출된 RCS의 세 가지 치유특질이 방문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인 방문선호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순서는 매력·적합, 탈출감, 공간감으로 분석되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RCS의 신뢰성을 재검증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경관유형을 대상으로 경관 이미지를 분석하여 치유특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스마트 환경에서의 마음치유용 디지털 워크북 개발을 위한 탐색 (Exploring the Digital Workbook Development for Mind Healing on a Smart Environment)

  • 유정수;홍선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605-614
    • /
    • 2014
  • 기존의 많은 치유 프로그램들은 정신적, 신체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들을 치료하고 있다. 스마트환경에서 발생하는 역기능으로 인한 마음 상처는 단순히 드러나는 측면만을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마음의 원인까지 파악하여 치료하는 정신분석학적 치유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환경에서의 역기능에 대한 기존의 논문들과 치유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서 스마트 환경에서 발생하는 역기능에서 나타나는 심리적, 감성적 변인들을 찾아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얻어진 변인들을 투사적인 기법을 활용하여 시각적 요소인 그림으로 표현하였으며, 마음 치유용 디지털 워크북 개발에 적용 방법을 모색하였다. 스마트환경에서의 역기능에 관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위해서 심리치료를 일정한 척도를 부여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로 접근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어린이 도서관의 전인적 치유환경에 관한 연구 -루돌프 슈타이너의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olistic Healing Environment of Children's Library -Focused on the theory of Rudolf Steiner-)

  • 김혜연;김광호;진달래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47-55
    • /
    • 2007
  • The theme of this study is holistic healing environment of children's library and it was researched on the basis of anthroposophy theory of Rudolf Steiner. According to Steiner's theory, human being consists of body, spirit, and soul. Especially, children are sensitive ones, and through synthetic function of 12 kinds of senses, they can be holistically healed (healing of body, spirit, and soul). As the sense independently functions or it is a element that cannot be described, it needs spatial plan to support synthetic function of it. We classified the healing space's meaning of children library by motion (including art and music), reading, & landscape healing activities and analyzed spatial characteristic to support each activity.

  • PDF

치유예술로서의 춤이 여성노인의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ance as a Healing Art influential to Elderly Women's Brain Function)

  • 김연금;이선규;백기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655-2661
    • /
    • 2014
  • 본 연구는 치유예술로서의 춤이 여성노인의 뇌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2channel system EEG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K시 소재 65세이상 여성노인 60명, 연구기간은 2013년 3월에서 2013년 7월까지, 주 1회, 회기 당 60분씩, 총 16주 동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참여대상 30명은 실험집단, 30명은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 실시전후에 뇌파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실험집단에서 기초율동지수 좌뇌 사후(79.11/89.56, p<.015), 주파수우뇌 사후 평균값(8.33/9.37, p<.003), 진폭좌뇌 사후 평균값(39.87/47.19, p<.006), 진폭우뇌 사후(40.09/49.87, p<.000)의 상승을 보였다. 따라서 치유예술로서의 춤이 여성노인의 기초율동지수, 주파수와 진폭을 상승시켜 뇌기능 향상 프로그램으로서의 효용과 가치를 검증하였다.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Healing Action Mechanism of Senior Dance's Educational Effect)

  • 유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4-121
    • /
    • 2015
  •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적 인식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노인무용의 교육효과와 이에 따른 치유작용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는 2014년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복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서 무용분야 수혜기관으로 선정된 노인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 7명이다. 연구의 자료는 1:1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사복지사들은 노인무용교육을 단순한 신체활동보다는 정서, 인지, 정신, 사회적 예술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노인들은 무용활동으로 인해 개인의 긍정적 정서와 인지력을 자극하여 사회적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피드백 하고 있었다. 때문에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삶의 만족감이 점점 커지게 되는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가 나타났다. 따라서 복지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노인무용 교육은 개인과 공동체간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서 삶의 질을 점차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치유적 예술활동이라 할 수 있다.

Study of the Art Healing Potential of Coloring and Drawing in Video Games for Mental Health

  • Guo Putian;Sunghoon Cho;Zhou Jiani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3호
    • /
    • pp.182-193
    • /
    • 2024
  • Academia and psychiatric practice have increasingly begun to recogniz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mental health well-being. Coloring and drawing, in specific, are being highlighted as being particularly effective in improving mental wellness. Video games, despite having a negative reputation for promoting antisocial behavior and violence, are now being recognized as positive for mental health as they provide relaxation benefits that help users find inner tranquility. The following study experimented on the impact of video games that incorporate coloring and drawing games on improving mental health using 3 criteria: creative and artistic freedom; interactivity; and sense of immersion. The experiment focused on 1 coloring game (Chicory: A Colorful Tale) and 1 drawing game (Draw a Stickman: EPIC). The experiment found that coloring (Chicory) reduces loneliness, stress, anxiety, and softens the heart, while drawing (Stickman) increases focus, emotional control, adds excitement to life, and improves innovations. Further research into the specific benefit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this emerging form of digital art therapy is however recommended.

현대주택의 허공간 주변의 치유적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ing Interface around Void space of Contemporary Houses)

  • 김진희;김광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5-23
    • /
    • 2016
  • Purpose: Planning space of the house is important as a universal place to relieve stress of contemporary people. Void space is easy to perform mental and cultural programs in aspect of affording the healing behavior. The "Interface" accommodates healing behaviors through mutual interchange between void space and solid space as the edge of the solid space around void space. This study presents a efficient theory of healing space through combining space theory with the Kitwood's theory of psychiatry used for the art therapy. Methods: Spatial elements based on Kitwood's theory converges towards 2 behavioral elements; Meditation(-), Sense of Community(+). Balancing with reciprocal complement between behaviors of passive and stable "Meditation(-)" and active and released "Sense of Community(+)" was analysed. Results: "Faciliation"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Flow(+)" as active factor. "Validation" is combined with "Prospect(+,-)", and divides into 2 factor ; "Recognition-Refreshment(-)", "Reaction-Social Exchange(+)". "Holding" is combined with "Refuge(-)" as passive factor. Implications: This study established concept of spatial healing elements in connection with theory of Psychiatry about Alzheimer that is extreme situation of str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enhance the validity and efficiency in analysis of healing space.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치유시설과 치유프로그램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in Korean Healing Facilities and Healing Programs Using LDA Topic Modeling)

  • 이주홍;이경진;성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95-106
    • /
    • 2023
  • 국내 치유 연구는 치유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가와 함께 최근 20년 동안 발전해왔다. 치유를 연구하는 분야는 다양하며, 법제화된 자연-기반(natural-based) 치유를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KCI와 RISS에 게재된 2,202편의 학술지, 석·박사학위논문 초록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의 주제를 분류하였고, 시계열적 논문 발행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치유 연구의 주제가 5개의 유형과 4개의 매개어로 연결되었음을 규명하였다. 5개의 연구 유형은 "치유관광", "마음·예술치유", "산림치유", "치유공간", "청소년회복치유"였고, 4개의 매개 단어는 "산림", "자연", "문화", "교육"이었다. 또한 국내 치유 연구에서 법제화된 치유 연구만 추출하여 토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법제화된 치유 연구의 주제 유형이 4개로 분류되었다. 4개의 연구 유형은 "공간환경계획치유", "치유요법실험", "농업교육체험치유", "치유관광요인"이었다. 법제화된 치유에서 연구의 양이 가장 많은 산림치유, 식물을 매개로 유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치유농업과 정원치유, 해양자원을 활용하는 해양치유의 연구 토픽 또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별 치유 연구만의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는 토픽과 모든 치유 연구에서 범용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토픽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텍스트마이닝의 LDA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국내 치유시설과 치유프로그램 연구의 전반적 경향을 파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