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d and Neck cancer

검색결과 1,141건 처리시간 0.029초

소아의 하악골을 침범한 랑거한스세포 조직구 증식증의 임상적 고찰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IN THE JUVENILE MANDIBLE)

  • 강연희;박세현;서동준;차인호;이충국;김현실;김진;김형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6호
    • /
    • pp.577-583
    • /
    • 2008
  • Langerhans cell histiocytosis (LCH) is characterized by proliferation of pathological Langerhans cells within different organs. It mainly affects children, but adult cases also occur, with an incidence rate of one to two per million. LCH results from the clonal proliferation of Langerhans cells. And its etiopathogenesis is still unknown. The hypothesis that it is a neoplastic or inflammatory disease, as well as the existence or not of immunological, viral or genetic predisposing factors, has been widely discussed in the literature, but no conclusive proof has ever been provided. Although lesions may appear in tissues of various origins such as skin, hypothalamus, liver, lung, or lymphoid tissue, bone is the most common site of the disease. The head and neck are affected in almost 90% of cases.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bones are affected in 5 to 10% of cases. In our report, we present four cases of LCH in patients aged 3, 4, 7 and 9 years respectively, with primary manifestation in maxillofacial area.

Functional Outcomes of Multiple Sural Nerve Grafts for Facial Nerve Defects after Tumor-Ablative Surgery

  • Lee, Myung Chul;Kim, Dae Hee;Jeon, Yeo Reum;Rah, Dong Kyun;Lew, Dae Hyun;Choi, Eun Chang;Lee, Won Jai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2권4호
    • /
    • pp.461-468
    • /
    • 2015
  • Background Functional restoration of the facial expression is necessary after facial nerve resection to treat head and neck tumo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outcomes of patients who underwent facial nerve cable grafting immediately after tumor resection.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cable grafting from April 2007 to August 2011 were reviewed, in which a harvested branch of the sural nerve was grafted onto each facial nerve division. Twelve patients underwent facial nerve cable grafting after radical parotidectomy, total parotidectomy, or schwannoma resection, and the functional facial expression of each patient was evaluated using the Facial Nerve Grading Scale 2.0. The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patient age, follow-up duration, and the us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Results Among the 12 patients who were evaluated,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21.8 months, the mean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42.8 years, and the mean facial expression score was 14.6 points, indicating moderate dysfunction. Facial expression scores were not influenced by age at the time of surgery, follow-up duration, or the use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acial nerve cable grafting using the sural nerve can restore facial expression. Although patients were provided with appropriate treatment, the survival rate for salivary gland cancer was poor. We conclude that immediate facial nerve reconstruction is a worthwhile procedure that improves quality of life by allowing the recovery of facial expression, even in patients who are older or may require radiation therapy.

Development of an experimental model for radiation-induced inhibition of cranial bone regeneration

  • Jung, Hong-Moon;Lee, Jeong-Eun;Lee, Seoung-Jun;Lee, Jung-Tae;Kwon, Tae-Yub;Kwon, Tae-Geo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34.1-34.8
    • /
    • 2018
  • Background: Radiation therapy is widely employed in the treatment of head and neck cancer. Adverse effects of therapeutic irradiation include delayed bone healing after dental extraction or impaired bone regeneration at the irradiated bony defect. Development of a reliable experimental model may be beneficial to study tissue regeneration in the irradiated field. The current study aimed to develop a relevant animal model of post-radiation cranial bone defect. Methods: A lead shielding block was designed for selective external irradiation of the mouse calvaria. Critical-size calvarial defect was created 2 weeks after the irradiation. The defect was filled with a collagen scaffold, with or without incorporation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1 ㎍/ml). The non-irradiated mice treated with or without BMP-2-included scaffold served as control. Four weeks after the surgery, the specimens were harvested and the degree of bone formation was evaluated by histological and radiographical examinations. Results: BMP-2-treated scaffold yielded significant bone regeneration in the mice calvarial defects. However, a single fraction of external irradiation was observed to eliminate the bone regeneration capacity of the BMP-2-incorporated scaffold without influencing the survival of the animals.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established an efficient model for post-radiation cranial bone regeneration and can be applied for evaluating the robust bone formation system using various chemokines or agents in unfavorable, demanding radiation-related bone defect models.

치과환자에서 경동맥 석회화 유발율에 대한 전산화단층사진 연구 (A CT study of the prevalence of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in dental patients)

  • 윤숙자;이재서;윤웅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6권3호
    • /
    • pp.151-155
    • /
    • 2006
  • Purpose : Stroke is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Korea. Atherosclerotic disease in the carotid artery bifurcation is the most common cause of stroke. The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is easily appreciated by CT (Computed tomography). CT is often taken in a dental hospital for the diagnosis of inflammation, injury, cyst or tumor on maxillofacial region. However, there was no report of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on CT in dental patients.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on CT in dental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The presence of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was evaluated by an experienced radiologist on CT scans of 287 patients (166 males, 121 females, average age 42, range 6 to 86 years) and the medical history of the patient and the interpretation of CT were reviewed. Results :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was detected on CT scans of 57 patients (19.8%; 35 males, 22 females). All the male patients with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were older than 50, and all the female patients with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were older than 60. Among the 57 patients, 10 had Diabetes mellitus, 20 had cardiovascular disease, 3 had history of stroke and 3 underwent radiation therapy for head and neck cancer.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was not included in the interpretation of CT of dental patients except one patient.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on CT of dental patients was about 20% in this study. Carotid artery calcifi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erpretation of CT of dental patients.

  • PDF

Cyclin D1의 발현이 비소세포폐암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Prognostic Significance of Cyclin D1 Overexpress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양석철;신동호;박성수;이정희;금주섭;공구;이중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776-784
    • /
    • 1998
  • 연구목적: 폐암은 생불학적 및 병리학적인 특성에 따라 비소세포폐암과 소세포폐암으로 구분되는데 전체폐암의 약 80%가 비소세포폐암으로 국소적인 폐암인 경우 수술적 치료가 절대적 완치 방법인데 조기에 발견하여 광범위한 절제로 치료된 경우에도 환자의 약 50% 정도만이 5년간 생존한다. 확실히 비소세포폐암에서 비슷한 병기의 환자들도 생존 가망성은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상황이 보다 정확히 생존 가망성을 예측하고 각각의 환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는 새로운 예측 인자를 밝혀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정상적인 세포주기 뿐만 아니라 암종의 세포주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yclin D계중 하나인 cyclin D1이 세포주기에서 G1기에서 S기로의 전환을 유도하므로써 세포주기를 진행시키는데 유방암, 식도암 및 방광암에서 이의 과발현이 암발생에 중요한 요인이 되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 절제된 비소세포폐암에서 cyclin D1의 과발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83년 1월부터 1995년 7월까지 한양대학교 부속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된 술전 병기 IIIa 이하인 환자 총 81예를 대상으로 치료적 목적으로 광범위 폐절제술을 통해 얻어진 술후 조직에서 cyclin D1에 대한 단클론성 향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화적 염색을 시행하고 더불어 병리조직학적 특정과 임상적 특정, 특히 생존률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술후 환자의 예후적 인자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 술전에 방사선 치료나 항암제 치료를 받은 환자는 제외하였고 혼합형의 조직학적 진단이 이루어진 경우와 술후 l달 이내에 사망한 경우는 본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조직병리학적 병기 판정은 TNM 병기 판정 기준에 맞추었고 조직학적 특징은 WHO 표준 기준에 맞추었다. 결 과: Cyclin D1의 발현은 총 81예에서 시행하여 26에에서 발현되어 30.9%의 발현율을 보였고 각각의 조직형이나 병기, 암의 크기에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TNM 병기 판정에 따라 NO와 나머지 N1-3의 두군으로 나누어 비교할 때 cyclin D1에 따른 통계적 의의를 보였고(p=0.035) cyclin D1 양성 발현군의 평균생존기간은 $22.76{\pm}3.507$개월, 음성 발현군의 평균생존기간이 $45.3{\pm}5.64$개월 (p=0.0515)로 생존율과외 상당한 통계적인 연관성의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세포주기를 직, 간접으로 조절하는 인자중 cyclin D1의 과발현은 비소세포폐암에서 상당히 불량한 예후 인자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되며 앞으로 보다 초기와 진행된 병기에 따른 cyclin D1의 발현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등 보다 세밀하고 대단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비소세포폐암에서 보다 정확한 치료와 예후를 예측활 수 있는 인자로서의 역할을 밝혀야 한다고 생각된다.

  • PDF

Evaluation of the Lens-absorbed Dose of the Scattered Radiation Generated During Tomotherapy IMRT to the H&N Cancer Patient

  • Choi, Jae-Won;Lee, Hae-Kag;Cho, Jae-Hwan;Choi, Cheon Woong;Ju, Myung Sik;Chang, Bok Soon;Park, Cheol-Soo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2권1호
    • /
    • pp.141-145
    • /
    • 2017
  • This paper uses a glass dosimeter to evaluate the lens-absorbed dose of scattered radiation generated in tomotherapy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 The head and neck portion of the rando phantom was subjected to a CT scan. The tomotherapy plan was designed to ensure delivery of the prescribed total 70 Gy day 2.2 Gy. With the lens portion of the glass dosimeter, a 5mm bolus was subjected to the scattered radiation treatment, and the dose was measured in each of the three megavoltage CT (MVCT) modes. The result is multiplied by 30 times and was determined once as the mean value. The measurement at the MVCT Coarse mode is RT mode 10.797 mGy, that for the Normal mode is 13.360 mGy, for the Fine mode is a maximum of 22.872 mGy, and for the treatment mode is 895.830 mGy. A small amount of scattered radiation in the MVCT is measured in the lens scattered radiation, but scattered radiation during treatment was measured to be near 1 Gy on the lens. Compared to a one-time radiation treatment of 2.2 Gy, the survey showed something unexpected in that it was half the value of that research to the patient. Therefore, will be aware of how much of an influence there will be on sensitive organs, such as the lens by scattered radiation generated during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Efficacy of endoscopy under general anesthesia for the detection of synchronous lesions in oro-hypopharyngeal cancer

  • Yoichiro Ono;Kenshi Yao;Yasuhiro Takaki;Satoshi Ishikawa;Kentaro Imamura;Akihiro Koga;Kensei Ohtsu;Takao Kanemitsu;Masaki Miyaoka;Takashi Hisabe;Toshiharu Ueki;Atsuko Ota;Hiroshi Tanabe;Seiji Haraoka;Satoshi Nimura;Akinori Iwashita;Susumu Sato;Rumie Wakasaki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3호
    • /
    • pp.315-324
    • /
    • 2023
  • Background/Aims: Image-enhanced endoscopy can detect superficial oro-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however, reliable endoscopy of the pharyngeal region is challenging. Endoscopy under general anesthesia during transoral surgery occasionally reveals multiple synchronous lesions that remained undetected on preoperative endoscopy. Therefore, we aimed to determine the lesion detection capability of endoscopy under general anesthesia for superficial oro-hyp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63 patients who underwent transoral surgery for superficial oroph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between April 2005 and December 2020. The primary endpoint was to compare the lesion detection capabilities of preoperative endoscopy and endoscopy under general anesthesia. Other endpoints included the comparison of clinicopathological findings between lesions detected using preoperative endoscopy and those newly detected using endoscopy under general anesthesia. Results: Fifty-eight patients (85 lesions) were analyzed. The mean number of lesions per patient detected was 1.17 for preoperative endoscopy and 1.47 for endoscopy under general anesthesia. Endoscopy under general anesthesia helped detect more lesions than preoperative endoscopy did (p<0.001). The lesions that were newly detected on endoscopy under general anesthesia were small and characterized by few changes in color and surface ruggedness. Conclusions: Endoscopy under general anesthesia for superficial squamous cell carcinoma is helpful for detecting multiple synchronous lesions.

GafChromic $EBT^{(R)}$ 필름을 이용한 뇌정위방사선치료의 선량분석 가능성 평가 (Feasibility Study of Dose Evaluation of Stereotactic Radiosurgery using GafChromic $EBT^{(R)}$ Film)

  • 장은성;이철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7-33
    • /
    • 2007
  • 목 적: 본원에서는 AVM (artery vein malformation)이나 뇌종양을 치료를 위하여 뇌정위방사선수술(SRS: stereotactic radiosurgery)을 시행한다. 치료위치의 확인과 선량을 검증하기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Gafchromic EBT film (Gafchromic EBT QD+, International Specialty Products, USA)을 이용 두부팬톰 내의 선량분포를 계산치와 측정치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실험에서는 기존의 인체모형팬톰의 두부의 2.5 cm 두께 한 슬라이스를 5장의 0.5 cm 아크릴로 대체하여 필름을 0.5 cm 간격으로 삽입할 수 있게 하였다. 4장의 필름과 5장의 아크릴판은 팬톰 단면모양을 따라 잘랐다. 이 두부팬톰에 실제 환자치료와 같은 절차로 SRS head ring과 localizer를 장착 후 0.5 cm 간격의 CT 영상을 얻어 치료계획을 수립하였다. 6 MV의 광자선을 2 cm 크기의 SRS cone을 장착하여 5개의 arc beam으로 300 cGy의 선량을 전달하였다. 필름 교정을 위해서 각각의 필름에 0, 5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cGy의 선량을 조사하여 교정곡선을 얻었다. 3시간 후 팬톰내의 필름을 스캔하고 흑화도에 따른 선량으로 교정하였다. 뇌정위방사선수술의 평가를 위해 Gafchromic EBT 필름을 이용 두부팬톰 내 치료 위치를 확인하고 선량을 측정하여 계산 값과 비교하였다. 결 과: Gafchromic $EBT^{(R)}$ 필름의 선량교정 곡선은 900 cGy까지 선형을 잘 유지하였다. 모든 단면에 걸쳐 Gafchromic $EBT^{(R)}$ 필름을 이용한 두부팬톰 내 필름으로 측정한 선량과 치료계획장치(XKnife, Radionics, USA)로 계산된 선량의 차이는 5% 이내 였다. 결 론: 본 실험에서 2차원적 선량분석만이 가능한 GafChromic EBT 필름을 적층시켜 모든 슬라이스의 선량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Gafchromic $EBT^{(R)}$ 필름을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에서 정도관리의 방법으로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의 치료 결과와 예후 인자 분석 (Treatments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in Locally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 윤미선;안성자;남택근;송주영;나병식;임상철;이준규;정웅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151-159
    • /
    • 2007
  • 목적: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치료 결과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5년 10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 IV기로 근치적 치료를 받은 9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방사선 단독치료는 12명,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치료는 65명, 그리고 수술과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행은 13명이었다. 방사선 단독군의 경우 총 방사선 선량은 $59.0{\sim}88.2$ Gy (중앙값 70 Gy)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은 대부분 5-FU와 cisplatin을 병용하였고, 일부 환자에서는 clsplatin을 기본으로 pepleomycin 또는 vincristin 등을 병용 투여하였다. 추적관찰기간의 중앙값은 15개월이었다. 통계적 방법으로 생존율의 산출은 Kaplan-Meier 법을, 두군의 생존율간의 차이는 Log-rank test를, 그리고 다변량분석에는 Cox prportional hazard model을 각각 이용하였다. 결과: 전체 90명 환자의 3년 및 5년 생존율은 각각 26%, 17%였다. 2년 국소종양제어율은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경우 33%,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군은 32%,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 8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6)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다요인 분석에서 T병기, 동시적 항암화학요법의 유무 및 국소 치료 후 완전 관해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방사선치료와 항암화학요법을 병용한 군의 3년 및 5년 후두 보존율은 각각 26%, 22%였다. 이중 동시적 항암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시행된 11명 환자의 5년 후두 보존율은 52%로 선행화학요법이 시행된 54명의 16%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2). 결론: 국소 진행된 하인두암에서 근치적 수술과 방사선치료 병용요법이 방사선치료 단독요법이나 항암화학요법 병용방법에 비하여 더 좋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한편 방사선치료와 동시적 항암화학요법은 후두를 보존할 수 있는 유용한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무작위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귀밑샘 악성 종양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Parotid Gland Malignancy)

  • 엄근용;우홍균;김재성;박찬일;김인아;김광현;이재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131-136
    • /
    • 2005
  • 목적: 귀밑샘 악성종양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성적 및 예후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0년부터 2002년까지 130명의 귀밑샘 악성 종양 환자가 서울대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었고 이 중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받은 72명의 환자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남자는 42명, 여자는 30명이었고, 나이의 중앙값은 46.5세였다. 점액표피양암종이 가장 흔한 조직학적 유형이었다. 병기에 따라서는 I, I, III, IV 병기에 각각 6, 23, 23, 20명이 해당되었다. 수술 부위의 방사선 조사량의 중앙값은 60 Gy였고, 일회 조사량의 중앙값은 1.8 Gy였다. 결과: 5년 전체 생존율 및 10년 전체 생존율은 각각 $85\%$$76\%$였다. 5년 국소제어율은 $76\%$였고 6년이 지나면서 변화가 없었다. 다변량분석을 하였을 때, 성별, 조직학적 유형이 생존율과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나이, 안면신경마비증상, 병기(T 병기, N병기, 병기)는 생존율과 관련된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국소제어율의 경우, 림프절 전이 및 절제연 침범여부가 의미있는 예후인자였다. 조직학적 유형, 종양의 크기, 신경침윤여부 및 수술의 종류는 국소제어율의 예후인자가 아니었다. 결론: 귀밑샘 악성종양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우수한 성적을 확인하였다. 성별 및 조직학적 유형이 생존율에 대한 의미있는 예후인자였고, 림프절 전이 및 절제연의 침윤이 있는 경우 국소제어율이 불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