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bAlc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8초

당뇨병에 동반된 폐결핵의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Pulmonary Tuberculosis in Diabetics)

  • 정인경;유지홍;이선미;고관표;한민수;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705-713
    • /
    • 1998
  • 연구배경: 당뇨병 환자의 폐결핵은 비당뇨병 환자에 비해 중증의 비율이 높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입원한 당뇨병환자와 결핵실태조사에 의한 일반인을 비교하였으므로 입원한 당뇨병환자가 상대적으로 더 심한 폐결핵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군과 비당뇨병군 환자사이에 폐결핵 임상양상의 차이를 비교하고, 폐결핵 진단시 당뇨병의 정도와 폐결핵의 중증도와의 관계를 조사하고 혈당의 조절정도가 폐결핵의 치료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 1일부터 1996년 12월 31일까지 경희의료원에 입원한 폐결핵환자중 당뇨병에 동반된 폐결핵 환자 82명과 비당뇨병성 폐결핵환자 83명을 대상으로 폐결핵 임상양상, 진단 방법, 방사선 소견, 치료반응의 차이를 비교하고, 당뇨병환자의 폐결핵에 있어서는 폐결핵 진단시 Hb Alc와 폐결핵의 중증도와의 관계, 폐결핵 치료종결시 혈당조절정도와 폐결핵 치료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당뇨병군과 비당뇨병군에서 폐결핵 환자의 성비는 각각 58 : 24, 62: 21로써 두군 모두 남자가 많았다. 평균연령은 당뇨병군이 55세, 비당뇨병군이 44세로 연령 분포를 보면 당뇨병군은 50-60 대에 많고 비당뇨병군은 20-30 대에 많았다. 폐결핵 발병빈도는 당뇨병의 이환기간이 5-10년일 때 가장 높았다. 흉부 방사선 소견상 병변의 범위는 당뇨병군과 비당뇨병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고, 두군 모두에서 중등증인 경우가 각각 60.9, 50.6%로 가장 많았다. 폐하야 결핵은 당뇨병군(19.5%)에서 비당뇨병군(4.8%)에 비해 높았다(p<0.05). 이환된 폐엽의 수는 당뇨병군(2.35엽)과 비당뇨병군(2.21엽) 모두 다수 엽의 침범소견을 보였다. 두군의 평균 치료기간은 당뇨병군에서 10개월, 비당뇨병군에서 8개월이었으며 치료반응에 있어서 완치는 당뇨병군 85.4%, 비당뇨병군 89.2%, 치료실폐가 각각 8.6, 3.6%, 재발은 각각 3.6, 1.2%, 폐결핵으로 사망한 경우는 각각 1명씩으로 두 군간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폐결핵 진단당시 HbAlc와 방사선학적 소견상 폐결핵의 중증도 사이에는 의미 있는 관련성이 없었다. 폐결핵 치료기간동안 혈당조절이 잘된 경우 완치율이 높았고(p<0.05), 혈당조절이 불량한 경우 치료실패율이 높았다 (p<0.05). 결 론: 입원치료를 받았던 당뇨병군과 비당뇨병군의 폐결핵 환자들의 임상상과 폐결핵의 중증도, 치료결과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당뇨병군에서 혈당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치료실패율이 높아 당뇨병이 있는 폐결핵 환자에서는 혈당의 적절한 조절이 필수적이며, 고혈당 환자에서 결핵치료 실패를 초래하는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 PDF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환자의 자기효능, 지식, 자기간호행위와 대사조절간의 관계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to Metabolic Level in Patients with NIDDM)

  • 이숙희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1-180
    • /
    • 200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knowledge about the disease, and self-care behavior to the metabolic level in patients with NIDDM.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5 to April 15, 2001.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48 patients with NIDDM who were seen regularly at the endocrinology out-patient department of Gwangju Christian Hospita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and patient blood sampl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PC+,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Cronbach's Alpha. Result: 1. The mean score for self-efficacy was $71.37{\pm}15.56$, knowledge $15.00{\pm}2.84$, self-care behavior $63.18{\pm}13.10$. The mean score for HbAlc level was $7.66{\pm}1.77%$, HDL cholesterol level, $46.22{\pm}13.04 mg/dl$ and total cholesterol level, $187.93{\pm}41.45 mg/dl$.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a spouse and those without one (t=-2.08, p=0.042), in knowledge according to level of obesity (t=5.14, p=0.010), duration of illness (t=3.22, p=0.031) and presence of complications related to diabetes (t=-2.58, p= 0.01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care behavior,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gar metabolic level according to sex (t=-2.02, p=0.050). 3. The correlation between diabetic patients' self-efficacy,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ur and metabolic control was significantly related only to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r=.692, p=0.000).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self-efficacy, knowledge, and self-care behavior for patients with NIDDM by us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promote and maintain metabolic control.

  • PDF

여자노인의 영양상태 평가 및 건강관리를 위한 Nutritional Risk Index (NRI) 비교 분석 (The Analysis of Geriatric Nutritional Risk Index (GNRI)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Health Care in Elderly Women)

  • 양은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3호
    • /
    • pp.234-245
    • /
    • 2009
  • Nutritional assessment for the elderly can identify health status and morbidity. However, development of Nutritional Risk Index (NRI) remains limited for elderly because of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physiological mechanism of elderl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and develop Nutritional Risk Index for Korean elderly Women (Geriatric Nutritional Risk Index, GNRI). Based on literature review, factors for NRI were identified and indices were assessed by a cross-sectional survey. The survey involved Korean elderly women (${\geq}$60, n = 94) in Gwangju area, and sociodemographics, lifestyle characteristics, health conditions, dietary intakes based on 24h- recall, anthropometric measures (wt, ht, BMI, waist, hip, WHR, body protein, body fat, abdominal fat, and triceps skinfold thickness), and clinical biochemistry parameters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total protein, albumin, prealbumin, hemoglobin, hematocrit, fasting blood glucose, HbAlc, ferritin, Zn, Ca, Na, K, Vit E, Vit $B_{12}$, folate, C-reactive protein) were examined relation to nutritional risk index.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data analyses, three NRIs were categorized (NRI I, NRI II, NRI III) and used for further analysis. NRI I was related to having metabolic syndrome, NRI II was related to serum albumin and body weight, and NRI III was related to food habit and health concerns. Abdominal fat (%) of elderly was correlated with each NRIs. NRI II was correlated with nutritional deficiency and higher tendency of inflammatory response, and NRI III was correlated with nutritional status which tend to be lower on aging (protein, folate, Vit $B_{12}$). NRI can serve as a useful tools in assessing health risk and nutritional status. Some modification of items in NRI and validity study are need to apply to Korean elderly.

Antioxidant vitamins and Lipid Peroxidation in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 Lee, Yeon-Kyung;Jang, Hyun-Sook;Kim, Bo-Wan;Kim, Heung-Sik;Kwon, Chong-Su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4권1호
    • /
    • pp.57-61
    • /
    • 1999
  • It has been postulated that oxidative stress may be increased and antioxidant defenses reduced in diabetes patients. Twenty-four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melitus (DM) (12.8$\pm$1.7 years) and 24 nondiabetics (12.5$\pm$2.1 yea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ic than in nondiabetic control subjects, but serum levels of triglyceride , retinol , tocopherol, and $\beta$-carotene were significantly lower. Both $\beta$carotene and tocopherol levels inversely correlated with HbAlc, suggesting perhaps that low serum antioxidant level enhance theglycosylation of hemoglobin. Subjects with type 1 DM had lipid peroxide levels similar to those of nondiabetics control subjects, suggesting that per-oxdation of circulating lipid is not increased in uncomplicated diabeteics. The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s and serum lipids were as follows ; retinol and LDL (r--0.36, p=0.019) ; retinol and total cholesterol(r=-0.35, p=0.020), tocopherol and LDL(r=-0.47, p=0.002) ; tocopherol and cholesterol (r=-0.49, p=0.001) ; $\beta$-carotene and LDL (r=-0.51, p=0.001). Overall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serum lipid peroxide in patients with type 1 DM was similar to those of control subjects and antioxidants such as retinol, tocopherol and $\beta$-carotene were lower than those of nondiabetic cotnrol subject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 PDF

홍삼약침(藥鍼)이 제2형 당뇨병 동물모델의 항고혈당(抗高血糖)및 항고지질(抗高脂質) 기전(機轉)에 미치는 영향(影響) (Studies on the Mechanism of the Ameliorative Activities on Hyperglycemia and Dyslipidemia of Red Ginseng Herbal Acupuncture in C57BL/KsJ db/db Mice)

  • 김종덕;김종인;고형균;이윤호;강성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5권2호
    • /
    • pp.11-26
    • /
    • 2008
  • 목적 : 홍삼약침(藥鍼)이 고혈당 및 지질대사장애에 미치는 개선효과와 그 기전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 홍삼약침(藥鍼)의 anti-diabetic 활성과 그 기전을 C57BL/KsJ db/db mice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실험 동물은 대조군(DC), 홍삼약침(藥鍼)군(RGL, RGH) 및 양성대조군(MET, GPZ, PIO)의 6군으로 나누었다. 홍삼약침(藥鍼)군은 $0.2m{\ell}$의 홍삼약침멸(藥鍼滅)을 각각 100mg/kg(RGL) 및 200mg/kg(RGH)씩 인체의 간유(肝兪)($BL_{18}$)에 상응하는 혈위에 1일 1회 10주간 좌우 혈을 번갈아가며 약침 시술하였다. 양성대조군은 metformin 300mg/kg(MET), glipizide 15mg/kg(GPZ) 및 pioglitazone 30mg/kg(PIO)을 각각 1일 1회 10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체중과 혈당은 매주 측정하였다. 실험 10주 후에는 혈액채취로 혈중 glucose, 당화혈색소(HbAlc), insulin, 중성지방(TG), adiponectin, leptin, non-esterified fatty acid(NEFA)를 측정 하였고, 간 조직을 채취하여 조직학적 검사 및 gene express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홍삼약침(藥鍼)(RGL, RGH)은 10주 동안 C57BL/KsJ db/db mice의 체중을 증가시키는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홍삼약침(藥鍼)군(RGL, RGH)의 사료섭취량은 대조군과 비슷하였으나 음수량은 증가하였다. 홍삼약침(藥鍼)(RGL, RGH)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9.8% 및 18.3% 혈당을 낮추었고, 홍삼약침(藥鍼)(RGL)은 insulin resistance를 27.7% 감소시켰으며, 경구내당능 검사의 혈중 glucose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홍삼약침(藥鍼)군(RGL, RGH)과 양성대조군(MET, GPZ, PIO)에서 각각 19.8%, 18.3%, 67.7%, 52.3% 및 56.9% 감소시켰다. 당화혈색소(HbAlc)는 홍삼약침(藥鍼)(RGL, RGH), MET, GPZ 및 PIO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11.0%, 6.4%, 18.9%, 16.1% 및 27.9% 감소시켰으며, 혈중 glucose감소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홍삼약침(藥鍼)(RGL)은 대조군에 비해 TG와 NEFA를 각각 18.8% 및 16.8% 감소시켰고, adiponectin과 leptin을 각각 20.6% 및 12.1% 증가시켰다. 홍삼약침(藥鍼)(RGL, RGH)은 중성지방의 침착으로 인한 간의 질량비 증가를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지방구를 감소시겼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Microarray 분석에서는 홍삼약침(藥鍼)(RGL, RGH)이 간에서 glycolysis, gluconeogenesis 및 fatty acid beta-oxidation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양성대조군 metformin과 유사한 기전을 나타내었다. 요약 : 홍삼약침(藥鍼)은 T2DM동물모델(C57BL/KsJ db/db mice)에서 항당뇨 및 지질대사 개선활성이 있었다. 홍삼약침(藥鍼)은 C57BL/KsJ db/db mice의 간조직에서 lipogenesis억제 및 fatty acid beta-oxidation활성을 통해 혈당 이용을 높이고, insulin sensitivity를 향상시켰다. 또한 유전자 발현분석을 통해 그 기전이 metformin과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므로 향후 홍삼약침(藥鍼)의 새로운 약침 기술 개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db/db 마우스에서 상백피의 혈당강하효과 (Anti-hyperglycemic Effect of Cortex Mori radicis in db/db Mice)

  • 김윤영;조여원;정성현;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057-1064
    • /
    • 1999
  • 8주령의 C57BL/KsJ db/db마우스에 상백피 냉침추출물을 투여하면서 5주간 사육하여 식이섭취량, 체중변화, 혈중 포도당 농도를 관찰하고, 소장내 ${\alpha}-glycosidase$ 활성변화와 혈중 당화헤모글로빈 농도, 중성지방 농도,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백피추출물 500 mg/kg을 공급하는 Rad 500군과 1000 mg/kg을 공급하는 Rad 1000군, db/db 대조군과 lean군으로 나누고 대조약물로는 acarbose 5 mg/kg을 투여하였다. Rad 1000군은 식이섭취량에서 db/db 대조군보다 낮은 수준이었으며 그에 따라 체중증가량도 유의적으로 낮았다. 또한 공복시 혈중포도당 농도는 Rad 500, Rad 1000, acarbose군 모두 db/db 대조군보다 낮았다. 혈중 당화헤모글로빈 농도와 중성지방 함량 측정결과는 농도의존적으로 시료투여군이 db/db대조군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혈중 인슐린 농도 측정결과 lean군을 제외한 나머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Rad 500군에서 약간 높은 수준이 관찰되었다. 소장을 proximal, middle, distal 세부위로 나누어 각각에 대해 maltase, sucrase, lactase의 활성을 측정해본 결과 db/db군은 lean군에 비해 세효소의 활성이 매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투여군은 sucrase의 경우 proximal, middle 부위는 db/db군 보다 낮고 distal 부위는 활성이 높았다. Maltase, lactase의 활성은 모든부위에서 시료투여군이 db/db군 보다 낮아 lean군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 미루어 상백피는 db/db마우스에서 식이섭취량을 줄여주어 체중증가를 억제시키고 소장내 glycosidase활성을 전반적으로 낮춰 혈중포도당 농도를 낮춰주고 혈중 당화헤모글로빈 농도와 중성지방 농도를 낮춰주는 등의 항당뇨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