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ing Times

검색결과 408건 처리시간 0.027초

사철쑥의 수확시기에 따른 생육특성과 주성분 변화 (Changes of Major Compon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rvesting Tim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 주인옥;유동현;송영은;장익;류정;최소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89-193
    • /
    • 2007
  •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의 수확시기 및 부위별 생육특성, scoparone과 capillarisin함량을 조사하여 약리 성분 함량이 높은 수확시기와 부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철쑥은 7월 30일경 꽃봉오리가 형성되었으며 8월 30일 만개하여 9월에 종자가 성숙되었다. 생육은 8월 30일에 가장 양호하여 생체중과 건물중이 높았다. 특히 이 시기에 엽은 관찰되지 않았고 생체중은 243.7g으로 높았는데 종실의 무게는 109.6g, 줄기의 무게는 134.Is이었다. Scoparone 함량은 종실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는데 8월 30일 종실에서 6.50mg/g DW로 가장 높았다. 또한 capillarisin은 줄기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엽과 종실에서 나타났는데 7월 30일 종실에 1.65mg/g DW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수확시기별 벼의 도정 및 이화학특성 (Pysicochemical and Milling Characteristics of Paddy Rice with Harvesting Times)

  • 김선림;송진;손종록;황흥구;신진철;최해춘;최영근;민용규;김기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3호
    • /
    • pp.179-184
    • /
    • 2001
  • 수확시기가 벼의 도정특성과 이화학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중만생 품종인 대안벼의 수확시기별 도정 특성을 조사한 결과, 출수 후 45일째(10월 15일) 수확시 도정율은 75.97%, 백미완전립율은 93.33%로 가장 높았다. 출수 후 35일에 조기 수확하면 단백질함량과 아밀로스함량이 높았다. 따라서 중만생 품종인 대안벼의 수확적기는 도정 및 이화학특성으로 볼 때 출수 후 $45{\sim}55$일이 가장 유리하였다.

  • PDF

DC-DC 부스트 변환기를 이용한 열전에너지 하베스팅 회로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ing Circuit Using DC-DC Boost Converter)

  • 윤은정;박종태;유종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284-29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열전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저전압 DC-DC 부스트 변환기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변환기는 열전소자의 작은 출력전압으로부터 시동회로를 통해 일정 전압까지 승압된 VDD를 얻으며, 이는 내부 컨트롤 블록을 동작시키는데 사용된다. VDD가 원하는 전압 값에 도달하면 전압감지기가 이를 감지하고 시동회로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전류소모를 최소화한다. 이후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VDD를 위한 DC-DC 변환기와 최종출력 VOUT을 위한 DC-DC 변환기를 번갈아가며 동작시켜서 최종적으로 승압된 VOUT을 얻는다. 모의실험 결과, 설계한 변환기는 200mV의 입력으로부터 2.65V의 VOUT을 출력하며, 최대 전력효율은 63%이다. $0.35{\mu}m$ CMOS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한 칩의 크기는 PAD를 포함하여 $1.3mm{\times}0.7mm$이다.

마이크로 머시닝 기술을 이용한 니켈기반의 압전 진동형 에너지 하베스터 제작 (Fabrication of Nickel-bas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from Ambient Vibration with Micromachining Technology)

  • 차두열;이재혁;장성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62-67
    • /
    • 2012
  • Owing to the rapid growth of mobile and electronic equipment miniaturization technology, the supply of micro mobile computing machine has been fast raised. Accordingly they have performed many researches on energy harvesting technology to provide promising power supply equipment to substitute existing batteries. In this paper, in order to have low resonance frequency for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we have tried to make it larger than before by adopting nickel that has much higher density than silicon. We have applied it for our energy harvesting actuator instead of the existing silicon based actuator. Through such new concept and approach, we have designed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made it personally by making with micromachining process. The energy harvester structure has a cantilever type and has a dimension of $10{\times}2.5{\times}0.1\;mm^3$ for length, width and thickness respectively. Its electrode type is formed by using Au/Ti of interdigitate d33 mode. The pattern size and gap size is 50 ${\mu}m$. Based on the measurement of the nickel-based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it is found to have 778 Hz for a resonant frequency with no proof mass. In that resonance frequency we could get a maximum output power of 76 ${\mu}W$ at 4.8 $M{\Omega}$ being applied with 1 g acceleration.

열전 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저전압 DC-DC 부스트 변환기 (DC-DC Boost Converter for Thermoelectric Energy Harvesting)

  • 김명규;김한나;방준정;황인호;유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7-25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열전에너지 하베스팅을 위한 DC-DC 부스트 변환기를 설계하였다. 설계한 변환기는 열전소자의 작은 출력 전압으로부터 start-up 블록을 통해 일정 전압까지 승압된 $V_{DD}$를 얻으며, 이는 내부 블록들을 동작시키는데 사용된다. $V_{DD}$가 원하는 전압 값에 도달하면 detector가 이를 감지하여 start-up 블록을 off 시킴으로써 전류소모를 최소화하였다.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V_{DD}$를 위한 DC-DC 변환기와 최종출력 $V_{OUT}$을 위한 변환기를 번갈아가며 동작시켜서 최종적으로 승압된 출력을 얻는다. 모의실험 결과, 설계한 변환기는 열전소자로부터 200mV의 전압을 입력받아 2.8V의 전압을 출력한다. 0.35um CMOS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한 칩의 크기는 PAD를 포함하여 $1.52mm{\times}0.95mm$이다.

  • PDF

단삼의 수확시기에 따른 생육 특성 및 주요 성분 변이 (Changes of Major Components and Growth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arvesting Times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 김영국;안태진;허목;이정훈;이윤지;차선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95-399
    • /
    • 2015
  • Background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arvesting time on the growth, yield characteristics, and major beneficial components in Salvia miltiorrhiza. Methods and Results : Although plant height, stem diameter and branch length were not affected by harvesting time, the number of stems was highest when harvested in mid Octob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root length and thickness, however, the rhizome was thicker when it was harvested at the end of October or early November than when it was harvested in early and mid October. The dried root weight also showed a similar pattern.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to 408 kg (16%) in the rhizome weight when in late October and a rise to 455 kg (29%) when harvested in early November. Harvest time had little effect on the content of the major component of S. miltiorrhiza. For example, salvianolic acid content rose from 9.42 to 9.64% with later harvest times, and tanshinone ${\prod}A$ content was tended to be slightly more increased in mid October which S. miltiorrhiza has 0.22% tanshinon ${\prod}A$ than in early October.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S. miltiorrhiza is early November when plant or major component yields are high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harvest time effects on the major beneficial components.

MPPT 제어기능을 갖는 삼중입력 에너지 하베스팅 회로 설계 (Design of a Triple-input Energy Harvesting Circuit with MPPT Control)

  • 윤은정;박종태;유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6-34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기능을 갖는 빛, 진동 그리고 열 에너지를 이용한 삼중입력 에너지 하베스팅 회로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회로는 MPPT 제어를 통해 솔라셀과 압전소자 그리고 열전소자로부터 최대 가용 전력을 수확하고, 수확된 에너지를 저장 커패시터에 병합하여 저장한다. 병합된 에너지는 PMU(Power Management Unit)를 통해 센서노드로 공급된다. MPPT 제어는 변환소자의 개방회로전압과 MPP(Maximum Power Point) 전압간의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제안된 회로는 $0.18{\mu}m$ CMOS 공정으로 설계하였으며, 모의실험을 통해 동작을 검증하였다. 설계된 에너지 하베스팅 회로의 칩 면적은 $945{\mu}m{\times}995{\mu}m$이다.

  • PDF

MPPT 제어 기능을 갖는 저전압 진동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A Low-voltage Vibration Energy Harvesting System with MPPT Control)

  • 안현정;김예찬;홍예진;양민재;윤은정;유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77-48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 기능을 갖는 저전압 진동에너지 하베스팅 회로를 제안한다. 제안된 회로는 Bulk-driven technique을 적용하여 0.8V의 낮은 전압에서도 동작 가능하다. 압전소자의 출력단에 연결된 전파정류기의 개방회로 전압을 MPPT 제어회로를 통해 주기적으로 샘플링하고, 최대 가용전력 점의 전압을 부하에 전달한다. 제안된 회로는 0.35um CMOS 공정으로 설계되었으며, 패드를 포함한 칩 면적은 $1.33mm{\times}1.31mm$이다. 모의실험결과 설계된 회로의 최대 전력효율은 85.49%이다.

  • PDF

진동에너지 수확을 위한 MPPT 제어 기능을 갖는 CMOS 인터페이스 회로 (A CMOS Interface Circuit with MPPT Control for Vibrational Energy Harvesting)

  • 양민재;윤은정;유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12-41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진동에너지 수확을 위한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 CMOS 인터페이스 회로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회로는 AC-DC 변환기, MPPT 제어회로, DC-DC 부스트 변환기, 그리고 PMU(Power Management Unit)로 구성된다. AC-DC 변환기는 진동소자(PZT)에서 출력되는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하며, MPPT 제어회로는 진동소자로부터 최대전력을 수확하여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DC-DC 부스트 변환기는 AC-DC 변환기에서 공급된 에너지를 원하는 값으로 승압 및 안정화 시키는 역할을 하며 PMU를 통해 부하로 에너지를 전달한다. AC-DC 변환기는 효율 특성이 좋은 능동 다이오드를 이용한 전파정류기를 사용하였으며, DC-DC 부스트 변환기는 제어 회로가 간단한 쇼트키 다이오드를 사용한 구조를 사용하였다. 제안된 회로는 0.35um CMOS 공정으로 설계되었으며, 설계된 칩의 면적은 $950um{\times}920um$이다.

  • PDF

낮은 듀티 동작의 센서 노드를 위한 저비용 MPPT 제어기능을 갖는 빛에너지 하베스팅 회로 (A Solar Energy Harvesting Circuit with Low-Cost MPPT Control for Low Duty-Cycled Sensor Nodes.)

  • 윤은정;양민재;유종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97-40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낮은 듀티 동작의 센서 노드를 위한 저비용 MPPT 제어기능을 갖는 빛에너지 하베스팅 회로를 제안한다. 환경, 구조물 모니터링 센서와 같은 연속적인 동작이 요구되지 않는 센서 노드가 어플리케이션이며, 기존의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제어방법과 다르게 간단한 회로들을 이용하여 저비용 MPPT 제어 방법을 구현하였다. 제안된 MPPT 방법은 솔라셀의 개방회로전압과 MPP 전압간의 비례관계를 이용하여, 솔라셀의 개방회로 전압을 주기적으로 샘플링함으로써 최대 가용전력이 생성되는 지점을 추적하고 이를 부하로 전달한다. 제안된 회로는 $0.35{\mu}m\;CMOS$ 공정으로 설계되었으며, 칩 면적은 패드를 포함하여 $975{\mu}m{\times}1025{\mu}m$이다. 제작된 칩을 측정한 결과 주기적으로 솔라셀의 개방회로를 샘플링하여 솔라셀의 MPP를 실시간 추적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