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ing Height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3초

철원지역에서 가축분뇨 발효액비 시용수준이 벼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Rates with Swine Liquid Manure on Rice Yield and Quality in Cheorwon Region)

  • 류종원;이병오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5-84
    • /
    • 2009
  • 양돈분뇨 발효액비 시용량이 벼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양돈분뇨 발효액비를 벼 재배 질소 추천시비량인 11kg N/10a를 기준으로 하여 100%, 120%, 150%, 180% 수준으로 처리 하여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다. 1. 양돈분뇨 발효액비 100%, 120% 시용구는 생육초기 벼의 분얼수 및 초장에서 양호하였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150%, 180% 시용구는 분얼수가 많고 초장이 큰 과번무 상태를 나타내었다. 벼의 수량은 양돈분뇨 발효액비 120% 시용구는 양돈분뇨 발효액비 100% 시용구 대비 11% 증수 되었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150% 시용구는 100% 시용구 대비 10% 감수하였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180% 시용구는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져 19% 감수되었다. 2. 양돈분뇨 발효액비 100% 시용구의 단백질 함량은 7.9%로서 가장 낮았다. 그러나 양돈분뇨 발효액비 150%, 180% 시용구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각각 9.0, 13.3%로 높아졌다. 돈분뇨 발효액비 180% 시용구는 완전미 비율이 42%로 매우 낮았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적량시용은 벼 수량 증수와 쌀 품질 향상이 가능하나 벼 추천질소시비량 120% 이상 시용시 과번무로 등숙률과 천립중이 낮아졌으므로 양돈분뇨 발효액비 시용시 적량시용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결론 내려진다. 3. 액비 시용수준이 높을수록 토양의 치환성 K 함량이 높아졌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100% 시용구의 치한성 K함량이 $0.66\;cmol+kg^{-1}$이었으나 180% 시용구에서는 $0.89\;cmol+kg^{-1}$으로 높아졌다. 양돈분뇨 발효액비 시용에 따른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은 높아지지 않았다. 시험 후 토양의 구리, 아연함량은 토양환경보전법 토양오염 기준치 이하이었다.

  • PDF

가토 상악동에 이식된 ${\beta}$-TCP의 골치유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BONE REGENERATION ON RABBIT MAXILLARY SINUS GRAFTING WITH ${\beta}$-TCP)

  • 박정하;황경균;박창주;최용수;마평수;백승삼;심광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2호
    • /
    • pp.107-116
    • /
    • 2006
  • Purpose:Maxillay sinus grafting is an effective treatment procedure to improve bone height in the posterior maxillar area for implant installation. Beta-tricalciumphosphate(${\beta}$-TCP) was introduced to be grafting substitute material, providing a reasonable bio-degradation time, no need for harvesting proced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bone healing & regeneration phase using histomorphometric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Material & Methods:Sixteen rabbits were divided into 4 groups. Bi-lateral maxillary sinus membranes were elevated at each rabbits, ${\beta}$-TCP was augmented in left sinus, autogenous bone was augmented in right sinus. The rabbits were sacrificed at 2, 4, 8 and 12 weeks. We investigated the bone regeneration & growth factor expression. Results: 1. The mean new bone volume formation was 28.99${\pm}$6.55%, 49.54${\pm}$5.47%, 69.09${\pm}$8.90% in autogenous grafted area, and 22.86${\pm}$5.56%, 24.00${\pm}$4.09%, 34.11${\pm}$3.37% in ${\beta}$-TCP area at 4, 8, 12 weeks. Therefore, new bone formation in autogenous bon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beta}$-TCP (p<0.05). 2. The BMP 2/4 expression in autogenous bone grafted area was higher at 4, 8 weeks.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expression pattern of BMP-7/PDGF/VEGF during grafted bone regeneration. Conclusion:The authors we conclude that the autogenous bone graft was faster than ${\beta}$-TCP in bone regeneration, and the BMP 2/4 were more important in graft bone regeneration.

천속단의 수확시기에 따른 수량과 Loganin 성분 변이 (Variation of Yield and Loganin Content According to Harvesting Stage of Dipsacus asperoides Wall)

  • 안찬훈;김영국;안태진;허목;이정훈;이윤지;차선우;송범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0-114
    • /
    • 2016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growth, yield characteristics and loganin content in Dipsacus asperoides Wall. Methods and Results: Dipsacus asperoides seedlings were planted within a nursery environment in early May 2015 and harvested in early, middle and late October 2015, and early November 2015. Harvest time did not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lant height, stem diameter, branch length, leaf width and aboveground dry weight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root length, number of roots and root diameter. However, the diameter of lateral roots was greater in the harvests from the late October and period thereafter. The highest values of root dry weight and yield were recorded in early November. Specifically, the yield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05 kg/10 a (index: 100) in early October to 358 kg/10 a (index: 175) in early November, in terms of root part weight. Loganin contents of D. asperoides differed significantly among harvest times raging from 0.0766% in early October to 0.1704% in late November, thereby showing an increasing trend in later harvest time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D. asperoides is early November, when the yield is the highest. Harvest time significantly affected loganin contents, which constantly increased from early October until early November.

경삽묘 연령과 수확시기가 분무경재배 씨감자 '대지'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Tuber Yield and Size Distribution of Potato 'Dejima' (Solanum tuberosum L.) Affected by Stem Cutting Ages and Harvest Time in Aeroponics)

  • 채원병;안승준;최학순;곽용범;구대회;정명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1-265
    • /
    • 2008
  • 본 연구는 경삽묘의 생리적 서령과 분무재배시 수확시기가 감자 '대지' 품종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삽묘는 조직배양묘를 삽목하여 생산하였고 삽목 후 20, 30, 40, 50일된 경삽묘를 분무재배에 이용하였다. 분무재배시 정식 후 60, 70, 80, 90일에 각각 괴경을 수확하였고 수확한 괴경은 $1{\sim}5$, $5{\sim}10$, $10{\sim}20$, $20{\sim}30$, $30{\sim}40$, 40g 이상의 크기로 분류하였다. 삽목한 후 40일이 경과된 경삽묘의 평균 초장이 전생육기간에 걸쳐 가장 길었지만 정식 후 75일에는 모든 연령의 경삽묘 간의 초장에 대한 유의차는 없었다. 주당 괴경중은 정식 후 90일까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삽목 후 20일과 40일된 경삽묘를 정식할 때 가장 무거웠고 주당 괴경수도 가장 많았다. 그러나 50일된 경삽묘를 제외하고 20, 30, 40일된 경삽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정식 후 80일과 90일에 수확하는 것이 5g 이상의 괴경 수확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성(放射性) 동위체(同位體) 도입(導入)과 그 추적기술(追跡技術)에 의(依)한 수도계(水稻系) 활성상(活性上)의 해명(解明)과 개선(改善)에 관(關)한 연구(硏究)(제 3 보)(第 3 報) -저인산성(低燐酸性) 무기(無機) 용성물질(熔成物質)의 시용(施用)과 용수조절(用水調節) 효과(?果)에 대(對)하여- (Studies on the Use of Radioisotope Tracer Technique to Investigate and Improve The Root Activities in Rice Plant [III] -Effects of Application of Fused Magnesium Low Level Phosphate and Control of Irrigation Water-)

  • 안학수;노준정;정희돈;김규원;이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6권1호
    • /
    • pp.41-48
    • /
    • 1973
  • 1. 초기(初期) 생육과정(生育過程)에서는 Simagcalin 시용(施用)에 의(依)하여 구성(構成) 각(各) 요소(要素)의 함유율(含有率)이 높았으며 주당(株當) 황변수하(黃變垂下) 내지(乃裏) 고사엽수(枯死葉數)도 훨씬 적었고 특(特)히 정상엽주(正常葉株)의 고토(苦土) 함유율(含有率)이 황변엽주(黃變葉洙)에 비(比)하여 월등(越等)하게 높았다. 2. 고토(苦土) 결핍증(缺乏症)에 대(對)한 화학적분석진단부위(化學的分析診斷部位)로서는 엽초(葉?)를 포함(包合)한 간부(稈部)를 택(擇)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理想的)이 있다. 3. 분약수(分藥數)나 유효수수(有效穗數)는 Simagcalin 시용구(施用區)가 더 많았으며 특(特)히 용수조절조건(用水調節條伴)은 유의성(有意性)있게 수수확보(穗數確保)나 인고비(?藁比)를 높였고 간장(稈長)에서도 10% 가까운 단간화(短稈化)가 이루어 졌다. 4. 수확물(收穫物)애 대(對)한 무기요소(無機要索)들의 함유율(含有率) 역시(亦是) Simagcalin 시용(施用)으로써 무시용구(無施用區)에 비(比)하여 약간(若干) 높은 경향(傾向)으로 나라났으며 그 중(中)에서도 규산(珪酸), 고토분(苦土分)에서는 상당(相當)한 격차(隔差)를 나타내고 있었다. 5. 근계(根系) 활성상(活性相)에 직접(直接) 관여(關與)한 인자(因子)로서는 용수조절조건(用水調節條件)이었으며 Simagcalin 시용(施用)은 그 다음에 오는 2차적(次的) 요인(要因)이었다. 6. 본(本) 공시토양(供試土壤)에서는 인산(燐酸)의 시용(施用) 여부(與否)가 수량(收量) 구성요소(構成要素)를 비롯한 각종(各種) 수치상(數値上)에 큰 영향(影響)을 주지 못하였으며 Simagcalin 중(中)의 염기성(鹽基性) 원소(元素)의 공급(供給)이 보다 수도(水稻)의 질소(窒素) 다시(多施)에 따르는 수용태세(受容態勢)를 가추게 하였다.

  • PDF

폐지섬유를 이용한 완효성 요소비료 시용이 벼의 생육, 수량 및 토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of Slow-Released Nitrogen Fertilizer Using Waste Paper Slurry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 백준호;김복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4-120
    • /
    • 2000
  • 폐지섬유를 이용한 완효성 요소비료(시제품)의 벼에 대한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pot시험으로 무질소구, 요소구(대조구), 시제품구 처리에 벼(일미벼)를 공시하여 생육, 엽록소 함량 및 광합성능력,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식물체중 무기성분 함량, 질소이용율 토양의 이화학성 등을 조사하였다. 초장과 분얼수는 생육초기에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다소 증가하였으나, 생육후기에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앙 후 40일의 엽록소 함량은 시제품구에서 요소구보다 다소 높았으나, 광합성능력은 요소구보다 낮았다.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시제품구보와 요소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나,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다소 높았다. 수확기에 식물체중 전질소함량은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정조에서는 높았으나, 짚에서는 낮았다. 수확기의 질소흡수량은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정조에서 4% 높았으나, 짚에서는 20% 낮았으며, 질소이용율은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약간 낮았다. 시험 후 토양중 전질소 함량은 시제품구가 요소구보다 낮았다.

  • PDF

협채용 강낭콩의 채종기술 확립 (Technology of Good Quality Seed Production in Snap-bean (Phaseolus vulgaris L.))

  • 권철상;황영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2권
    • /
    • pp.1-12
    • /
    • 2004
  • Pod-edible bean or snap bean is a fairly new crop to domestic farmers but the national demand is steadi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western food business and change in dietary patterns. At the same time, much efforts are being made to export it to foreign country, mainly to Japan. The amount of seeds introduced from outside is also continuously increasing along with the enlargement of area planted for the crop. Hybridization breeding for the crop has already been started to supply the cheaper and better seeds which will reduce the seed costs and foster the higher income to the farmers. In this experiment, several technologies related with the production of quality seeds are preliminary investigated. Some of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Highly significant interaction was recognized between planting dates and no. of pods per plant and no. of branches but no interaction between planting dates and plant height and no. of nodes on main stem. Days to maturity was proportionally reduced to later planting dates. 2. Rate of viviparous pods and seeds was gradually increased in later planting dates but rate of germination was increased in earlier planting dates with lower germination rate in white seed coat grains than in colored seed ones. 3. Seed yield was higher in the earlier planting dates with a great deal of varietal difference. Early to mid April was considered to he the optimum planting dates for snap bean in Kyungbuk area. High correlation was recognized between seed yield and no. of pods per plant, no. of seeds per plant, and 100 seed weight. 4. Days to flowering was three and seven days longer in Cheongsong, high mountainous area than in Kunwi, somewhat prairie lowland. One hundred seed weight was also higher in Cheongsong than in Kunwi. Rate of viviparous grains, pods, and decayed seeds was higher in Cheongsong but, at the same time, the rate of germination and seed yield was also higher in Cheongsong. 5. One hundred seed weight of KLG5007 increased continuously up to 35days after flowering and decreased thereafter but that of KLG50027 increased to 40days after flowering and slowly reduced thereafter. The content of crude oil reached to maximum at 40 days after flowering and reduced thereafter. The rate of germination in Gangnangkong 1 was the highest, 89.3%, at 35 days after flowering and reduced thereafter while that in KLG50027 reached to maximum, 70.7%. at 40days after flowering and reduced thereafter. Thus, the optimum harvesting time for snap bean was considered to be 35~40days after flowering. 6. The snap bean pods at yellow bean stage easily became viviparous ones under saturated moisture conditions for 24 hours at $25{\sim}30^{\circ}C$.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harvest pods somewhat earlier than yellow-bean stage and let them do post maturing, especially when it is to be rained.

  • PDF

양파 중생계 웅성불임 중간모본 '원예 30001' (Mid-late Maturing Male Sterile Line of Onion (Allium cepa L.) 'Wonye 30001')

  • 김철우;이을태;최인후;장영석;서세정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94-297
    • /
    • 2010
  • 양파 중간모본 웅성불임 계통 '원예30001'은 2000년 Ginque 자식 집단에서 웅성불임개체를 선발하여 고정종 자식계통 YG-1-1을 교배하여 2002년에 유지계통을 선발하고 2009년까지 4회 여교잡을 하여 계통의 안정성을 확인한 후 MMS17로 명명하여 2009년에 직무육성신품종 심사를 거쳐 2010년에 국립종자원에 '원예30001'로 명명하여 품종보호 출원하였다. '원예30001'은 웅성불임(CMS-S)계통으로 초형은 반개장형이며 도복기는 5월 20일이다. 초장은 57 cm, 엽수 8매, 엽초경은 15.9 cm로 지상부의 생육이 왕성하며 구중은 260 g, 구형지수 89인 원형 황색 양파계통이다. 노균병에 중간 정도의 저항성이 있으나 내한성과 저장성은 강하다. 모구의 채종 특성으로 개화기는 5월 23일이며 구당 화경수는 6개, 화경 장은 135 cm이며 화구 폭은 84 mm이며 100% 웅성불임 이다.

단경 내도복 다수성 땅콩 품종 "참평" (A New Short Stem, Lodging Resistance and High Yielding Peanut "Charmpyeong")

  • 배석복;정영근;심강보;황정동;이명희;정찬식;강철환;박금룡;박충범;최규환;이재철;김인재;김제규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68-172
    • /
    • 2008
  •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다수성인 '신대광'과 단경 다수성 'ICGA94216'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참평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참평은 주경이 31 cm인 극단경 버지니아 초형으로 최근 개발한 내도복성 품종이다. 2. 참평은 대광땅콩에 비해 성숙협비율, 100협립수, 100립 중 등 양호한 등숙특성을 보이며 100립중이 88g인 대립품종이다. 3. 갈반병, 그물무늬병, 흑반병에 비교적 강하고 낙엽율도 낮아 생육후기까지 녹엽 유지에 유리하였다. 4. 참평은 단백질이 27.6%, 기름함량이 49.2%이고 지방산은 올레산과 리놀산의 비율이 같은 특성을 가진다. 5. 참평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대광땅콩에 비하여 전국평균 4.35 ton/ha로서 13% 증수되었다. 6. 참평은 개화가 빠르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재배하는 것이 좋다.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에서 세 가지 인간공학적 위험 평가기법의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ree Ergonomic Risk Assessment Methods (OWAS, RULA, and REB A) in Felling and Delimbing Operations)

  • 조민재;정응진;오재헌;한상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2호
    • /
    • pp.210-216
    • /
    • 2021
  • 우리나라 모든 산업에서 근골격계질환은 작업자들의 안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산림작업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근골격계 부담작업으로 분류된다. 특히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은 주로 인력작업으로 실시되고 있으며, 작업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작업자세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체인톱을 이용한 벌도 및 가지제거작업의 작업자를 대상으로 세가지 인간공학적 분석 도구(OWAS, RULA, REBA)를 이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평가기법별 작업자세에 대한 영향인자를 분석하였다. 벌도와 가지제거작업자세의 위험도는 RULA, OWAS, REBA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부분 2-3단계로 작업자세의 즉각 변경조치는 요구되지 않았다. 하지만 벌도작업에서 허리와 다리를 굽힌자세와 가지제거작업에서 벌도목 위에서 작업하는 자세는 위험도가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벌도작업의 경우 산지경사, 가지제거작업의 경우는 지상에서부터 벌도목 높이가 작업위험도 평가에 영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산림작업에 있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작업부하가 낮은 자세(벌도작업: 쪼그리는 자세, 가지제거작업: 허리와 다리가 곧은 자세)로 작업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