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vest Maturity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5초

종자의 성숙도가 Burley종 담배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Maturity on Germination of Some Burley Tobacco Cultivars)

  • 류점호;배성국;한철수;추홍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58-261
    • /
    • 1983
  • 본 시험은 발아가능한 담배종자를 조기 파종하여 파종에 이용하고자 몇가지 버어리종 담배를 공시하여 수분후 8일부터 30일까지 2일간격으로 채종 발아조사를 하였던 바 1. 종자는 수분후 12일 이상이면 발아가능하여 파종에 이용할 수 있었고 발아율은 낮았으며 품종에 따라 변이가 컸다. 2. 적기채종시기는 수분후 24-28일이였다. 3. 과숙종자는 후숙이나 일시휴면현상을 보여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 PDF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가 포도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B.) 품종(品種)의 과실성숙(果實成熟)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Ripening and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 Fruit (Vitis laburuscana B.))

  • 김종현;이재창;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9
    • /
    • 1991
  • 본(本) 연구(硏究)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및 물리적(物理的) 처리(處理)를 통한 포도의 성숙조절기술(成熟調節技術) 확립(確立)을 목적으로 수행되어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nti-gibberellin인 chlormequart 및 paclobutrazol의 verasion 10일전(日前) 처리는 박피(剝皮) 또는 적분처리(摘糞處理)에 관계없이 anthocyanin 함량(含量)을 증가시켰으나 가용성고형물함량(可溶性固形物含量) 및 과실의 숙기(熟期)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환상박피(環狀剝皮)는 성숙(成熟)을 촉진(促進)함은 물론 가용성고형물(可溶性固形物)의 축적(蓄積)을 촉진(促進)하였고 반면에 적엽처리(摘葉處理)는 숙기(熟期) 및 고형물(固形物)의 축적(蓄積)을 현저히 지연(遲延)시켰다. 2. Auxin (2,4-D 및 fenoprop)는 농도(濃度)에 따라 과실의 성숙(成熟)을 20일(日)에서 30일(日)가량 지연(遲延)시켰으며 처리농도(處理濃度)가 50 ppm이상일 경우 과방내(果房內)에서도 과립(果粒)의 성숙(成熟)이 불균일(不均一)하여 정상과립(正常果粒)이 과숙한 후에도 20-30%의 과립(果粒)은 미숙 상태로 남아 있었다. 3. Gibberellin 단용처리(單用處理)는 과실의 성숙(成熟)에 영향하지 않았으나 auxin 가용(加用)의 경우는 auxin 단용에서와 같이 성숙지연(成熟遲延) 및 과립(果粒)의 불균일(不均一)한 성숙현상(成熟現象)이 관찰되었다. 4. Verasio기(期)의 칼슘 가용(加用) ethephon 처리(處理)는 과실의 성숙(成熟)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anthocyanin 함량(含量)을 증가시켰다.

  • PDF

국내 육성 품종 '청향' 포도의 숙도별 양조 적성 연구 (Study on Wine Qua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heonghyang' classified by Ripening Stage)

  • 이효영;전진아;박영식;이재형;권혜정;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45-449
    • /
    • 2016
  • In this study, Red pearl (4x) and MBA (2x) were crossed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in 2000 to compare the brewing characteristics of Cheonghyang, a seedless kind of grape registered in 2009, by maturity. Fruit characteristics of Cheonghyang were examined after the first racking and 300 days after fermentation during aging in manufacturing wine based on maturity categories of being immature, mature, and overmature after harvest between August 25 and 27, 2014. The soluble solid matter content did not differ between the first racking following manufacturing wine and during ripening, and the alcohol content following the first racking was 12.9% for immature ones, 13.0% for mature ones, and 12.7% for overmature ones., The alcohol content decreased by appropriately 1.3% to 1.8% during ripening. The total acidity content was 0.9% for immature ones, 0.8% for mature ones, and 0.5% for overmature ones following the first racking and showed insignificant variations during ripening of 0.8%, 0.7%, and 0.5%, respectively, with wine made from mature ones showing proper acidity. The volatile acid content following the first racking during ripening, showing insignificant variation by maturity; however, it decreased after ripening. The sensory evaluation detected differences in acidity of wine between mature and overmature grap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our taste between immature and mature grapes; however, overmature ones had low levels of sour taste. Our results showed that mature wine had the best overall preference.

아로니아 잎의 성숙도에 따른 항산화 물질 조성 및 항산화 능력 (Antioxidant composition and activity of aronia leaves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 양해조;박현정;윤형열;김영준;신영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33-138
    • /
    • 2021
  • 국내에서 재배한 A. melanocarpa 잎의 성숙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항산화 물질 조성 변화 및 항산화 능력과 같은 기능적 특성을 분석하여, 아로니아 잎의 성숙도별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 melanocarpa 3품종의 잎의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페놀화합물 함량은 성숙이 진행될수록 감소하였고, 항산화물질과 상관관계가 높은 ABTS 라디컬 소거능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현재, 블루베리는 잎과 열매 모두 식품원료로 등록되어 있으나, 아로니아의 경우는 식품의약안전처에서 고시한 식품원료목록 상 열매 부위만 등록되어 있는 실정이다. 아로니아 잎에는 chlorogenic acid와 catechol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아로니아 잎의 항산화 능력은 기타 베리류와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인 것으로 확인된 바와 같이, 아로니아 잎은 향후 가공 식품 이외에 다양한 분야로의 활용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성숙정도에 따른 풋찰옥수수의 수분, 전당함량 및 맛의 변화 (Maturity Effects on Moisture, Total Sugar Contents and Flavor of Fresh Waxy Corn)

  • 강영길;차영훈;김수동;박근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0-73
    • /
    • 1988
  • 풋찰옥수수의 수확적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1984년 수원과 청주에서 홍천재래을 공시하여 출사(수원에서는 수분)후 15일부터 40일까지 5일 간격으로 6회에 걸쳐 수확하여 종실의 발육, 수분 및 전당함량, 삶은 옥수수의 맛, 찰기, 경도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장과 입폭은 출사후 15일부터 30일까지 크게 증가하였고 그 후 다소의 증가에 그쳤으며 입후는 출사 20일 이후 거의 증가되지 않았다. 2. 생체 100립중은 출사후 30일까지 크게 증가된 반면 그 후에는 다소의 증가에 그치였고 건물 100립중은 출사후 15일부터 40일까지 거의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다. 3. 종실의 수분함량은 성숙정도가 진전됨에 따라 직선적인 감소를 보였다. 전당함량은 출사후 20일에 가장 않았고 그 후 감소되었다. 4. 맛과 찰기는 출사후 15일부터 30일까지 크게 증가되었고 맛은 그 후 감소되었으나 찰기는 출사후 35일까지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다가 그 후 다소 감소되었다. 식용에 알맞는 경도는 출사후 30∼35일 이었다.

  • PDF

Discovery of markers for determining the maturity of silkworms by comparing gene expression patterns

  • Jong Woo Park;Chan Young Jeong;Hyeok Gyu Kwon;Seul Ki Park;Ji Hae Lee;Sang Kuk Kang;Seong-Wan Kim;Hyun-Bok Kim;Kee Young Kim;Chun Wan Park;Seong-Ryul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7권1호
    • /
    • pp.51-62
    • /
    • 2023
  • The advantages of silkworms as functional foods are well known and various products are being developed. In general, silkworms sold in the market include silkworm powder (3 days of fifth instars) and SukJam (7 days or more of fifth instars), In other words, product classification is made according to the maturity of the fifth instar silkworm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ene expression changes in the fifth instar silkworms and attempted to validate the use of deregulated genes in maturity analysis. After rearing BaekokJam, transcriptome analysis was performed on days 1, 3, 5, and 8 days of the fifth instar, and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showing differences at each period were selected. Of the 31,841 contigs analyzed, 4012 contigs were identified with a log2 fold change of two or more between 5 and 8 days of the fifth instar. RT-PCR was performed for 18 contigs, which showed increased or decreased expression, but in c127159, c97909, c96974, c119920, c42251, and c80216 showed clear differences. To identify SukJam, a combination of the contigs c127159 (180 bp), c97909 (143 bp), and c80216 (120 bp) was amplifi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arvest time of silkworms can be determined using gene expression pattern analysis.

Sugars, Soluble Solids, and Flavor of Sweet, Super Sweet, and Waxy Corns during Grain Filling

  • Lee, Suk-Soon;Yun, Sang-Hee;Kim, Jae-Hye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7-272
    • /
    • 1999
  •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 time of vegetable corns, the changes in sugars, soluble solids, and flavor of kernels of sweet (cv. ‘Golden Cross Bantam 70’), super sweet (cv. ‘Cocktail E-51’), and waxy corns (cv. ‘Chalok 2’) were observed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Sucrose was a major sugar in the sweet and super sweet corns and the content increased from 15 to 21 and 27 days after silking (DAS), respectively and then decreased. Glucose and fructose contents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s tended to decrease with kernel maturity. Total sugar content of the sweet corn analyzed by the anthrone method increased rapidly from 15 to 21 DAS, while that of the super sweet and the waxy corns increased slowly up to 24 and 26 DAS, respectively and decreased thereafter.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in sweet corn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super sweet corn. Starch content of the sweet corn increased slowly from 15 to 33 DAS, while that of the super sweet corn increased a little rapidly from 15 to 21 DAS and then leveled off to 33 DAS. Starch content of the waxy corn increased continuously from 21 to 38 DA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m of individual sugars (sucrose, glucose, and fructose) and soluble solids in both sweet and super sweet corns, while the content of soluble solids was not related to the sum of individual sugars or total sugars. The flavor rate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s maintained high between 21 and 27 DAS and that of waxy corn decreased from 24 to 33 DAS.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sweet, super sweet, and waxy corns was thought to be 21 to 24 DAS considering sugar and starch contents, flavor, and marketing.

  • PDF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Broccoli By-Products from Different Cultivars and Maturity Stages at Harvest

  • Hwang, Joon-Ho;Lim, Sang-B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0권1호
    • /
    • pp.8-14
    • /
    • 2015
  • Many studies on broccoli have analyzed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their functionality in terms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however, these studies have focused on the florets of different varieties. Investigation of the functionality of broccoli by-products such as leaves, stems, and leaf stems from different cultivars and harvest dates might be valuable for utilizing waste materials as useful food components. Total phenolics and sulforaphane contents, and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were measured in the leaves, leaf stems, and stems of early-maturing (Kyoyoshi), middle-maturing (Myeongil 96), and late-maturing broccoli (SK3-085) at different harvest dates. Total phenolics in the leaves of Kyoyoshi were about 1.8-fold to 12.1-fold higher than those in all of the other cultivars and parts. The sulforaphane content of Kyoyoshi was 2.8-fold higher in the stems than in the florets. Antioxidant activities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were highest in Kyoyoshi, followed by Myeongil 96 and SK3-085, most notably in the leaves harvested at the immature stage. Inhibition activity of cell growth against the NCI-H1299 cell lines was highest in the leaves of all cultivars in decreasing order of florets, leaf stems, and stems. The leaves harvested in October (nonflowering stage) had the highest inhibition activity, while those harvested in January (mature broccoli) showed the low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broccoli leaves and stems contain high levels of total phenolics, and high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and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early-maturing broccoli as functional fresh raw vegetables.

남부지역 논의 밀 이모작에서 하계 곡실작물 도입의 적합성 (Compatibility of Double Cropping of Winter Wheat - Summer Grain Crops in Paddy Field of Southern Korea)

  • 서종호;황정동;오성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1호
    • /
    • pp.18-28
    • /
    • 2021
  • 남부지역 논에서 식량작물을 최대로 생산하기 위해 밀양시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2015~2018년의 4년 동안 겨울밀-벼, 겨울밀-콩 및 겨울밀-곡실용옥수수의 이모작 체계의 생육기간 및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밀의 수확적기는 6월 중순으로 하작물은 6월 하순에 파종(이앙)이 가능하였다. 벼의 6월 하순 이앙 시 안전출수와 벼의 수량성 확보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가을에 성숙기가 늦어 뒷그루 밀 파종에는 지장이 많았으며, 특히 중만생종 벼의 경우 수확기가 11월 상순으로 늦추어져 밀의 적기파종이 어려웠다. 콩은 6월 하순이 파종적기이므로 작기상 큰 문제가 없었으며 성숙기도 10월 중순으로 11월 상순의밀 파종에 큰 무리가 없었다. 곡실용옥수수는 6월 하순 파종 시 성숙기가 가장 빨라 밀과의 이모작에서 작기상 가장 유리하였다. 겨울밀-하작물 이모작에서 밀은 콩과 곡실용옥수수 후작에서는 안정적인 수량성을 얻을 수 있었지만 벼의 후작에서는 강우가 많은 해에는 수량이 감소할 위험성이 있었다. 벼, 콩, 곡실용옥수수의 수량성은 각각 600, 350, 800 kg/10a로 높은 수량성 확보가 가능하였고 중생종과 중만생종간의 수량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중생종이 만생종보다 이모작에 유리하였다. 토양 물리성에서도 콩과 옥수수 등 밭작물의 도입 시 물리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부지역 논에서 밀-콩/곡실용옥수수 이모작은 작기 연결성 및 토양개선, 소득성(콩)에서 밀-벼 이모작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시 숙기 및 젖산균 제제가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urity at Harvest and Inoculants on the Quality of Round Baled Rye Silage)

  • 김종근;김동암;정의수;강우성;함준상;서성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7-354
    • /
    • 1999
  • 본 시험은 1998년 축산기술연구소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수확시 숙기 및 젖산균 제제가 호밀 라운드 베일 사일리지의 품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설계는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로는 수잉기, 출수기 및 개화기에 수확하는 수확시 숙기를 두고 세구로는 무처리(control), Inoculant A 및 Inoculant B를 두고 3 반복으로 수행하였으며 라운드베일 사일리지 제조시 호밀은 수잉기에는 1일 그리고 출수기 및 개화기에는 0.5일간 예건 하였다. 저장 2개월 후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의 섬유소 함량(ADF 및 NDF)은 수확시 숙기가 지연됨에 따라 증가하였고(p<0.01), 첨가제 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한편 IVDMD에 있어서도 수확이 지연됨에 따라 감소되었다. pH의 변화는 개화기에서 평균 4.35로 가장 낮았고 출수기에서 평균 4.91로 가장 높았다. 또한 젖산균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무처리구의 건물 함량이 젖산균 처리구보다 높게 나타났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은 전체적으로 10% 미만으로 고품질 사일리지의 적정 수준에 도달하였으며, 젖산균 제제 이용은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줄였다. 젖산 함량은 첨가제 처리로 증가한 반면 초산 및 낙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젖산 생성균의 수는 젖산균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2~3배 높게 나타났으며 개화기의 Inoculant B구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고품질의 호밀 라운드베일 사일리지 제조시에는 출수기 이후에 수확하여 젖산균 제제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