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woo steer beef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2초

Study on the fatty acid profile of phospholipid and neutral lipid in Hanwoo beef and their relationship to genetic variation

  • Beak, Seok-Hyeon;Lee, Yoonseok;Lee, Eun Bi;Kim, Kyoung Hoon;Kim, Jong Geun;Bok, Jin Duck;Kang, Sang-K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2호
    • /
    • pp.69-76
    • /
    • 2019
  • Maize which has very high omega-6 fatty acid content has been used as a main feed grain for Hanwoo beef production to increase marbling, and thus omega-6 to omega-3 fatty acids ratio in Hanwoo beef is expected to be biased. To elucidate the current status of omega fatty acids ratio in Hanwoo beef, fatty acid profiles of neutral lipid and phospholipid fraction were analyzed separately using 55 Hanwoo steers' longissimus dorsi muscle slaughtered at Pyeongchang, Korea from Oct. to Nov. 2015. In addition, an association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ssociations betwee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s from references and omega fatty acid profiles in phospholipid of Hanwoo beef samples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OVA). In neutral lipid fraction, composition of saturate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was higher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as lower compared to those in phospholipid fraction. The mean n-6/n-3 ratios of Hanwoo were $56.059{\pm}16.180$ and $26.811{\pm}6.668$ in phospholipid and neutral lipid, respectively. There were three SNP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omega fatty acid content. GA type of rs41919985 in fatty acid synthase (FAS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st amount of C20:5 n-3 (p = 0.031). CC type of rs41729173 in fatty acid-binding protein 4 (FABP4)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owest amount of C22:2n-6 (p = 0.047). AG type of rs42187261 in FADS1 was significantly linked to the lowest concentration of C20:4 n-6 (p = 0.044). The total n-6/n-3 ratio of the steer which has all four SNP types in above loci (27.905) was much lower than the mean value of the total n-6/n-3 ratio in phospholipid of the 55 Hanwoo steers ($56.059{\pm}16.180$). It was found that phospholipid and neutral lipid of Hanwoo have very high n-6/n-3 ratios compared to the reported data from different cow breeds. Four SNPs in genes related with fatty acid metabolism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he fatty acid profile of phospholipid and may have potential as SNP markers to select Hanwoo steers in terms of n-6/n-3 balance in the future.

사후시간 경과가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pH, 온도, R-value 및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pH, Temperature, R-values and Calpain Activity of M. longissimus from Hanwoo Steer during Rigor Development)

  • 김진형;김학균;박범영;조수현;황인호;김동훈;이종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0-315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고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후 대사변화를 구명하고자 사후 1, 3, 9, 24시간별에 따라 한우 거세우 배최장근의 pH, 도체온도, R-value 및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측정을 수행하였다. 도체 pH와 온도는 사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사후 3시간에 6.50($31.99^{\circ}C$)을 나타내었다. $R_{248}$$R_{250}$ 값은 사후 9시간부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R_{258}$ 값은 사후 9시간부터 감소하였다(p<0.05). Calpain I 활성은 사후 3시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calpastatin 활성은 사후 9시간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pH와 도체온도는 $R_{258}$, calpain I, calpastatin에서 0.95이상의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지만, $R_{248}$$R_{250}$에서는 -0.97 이상의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사후9시간 이후에 대사 변화가 급격히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pH와 도체온도의 상관도가 높아 잠재적인 연화능력의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지만, 사후 3시간부터 9시간 사이의 대사변화에 대하여 좀 더 심도 깊은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Development of Analysis Condition and Detec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Cooked Hanwoo Beef by SPME-GC/MS Analysis

  • Ba, Hoa Van;Oliveros, Maria Cynthia;Ryu, Kyeong-Seon;Hwang, I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3-86
    • /
    • 2010
  •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optimiz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GC-MS conditions for extraction and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for Hanwoo beef and to establish a tentative database of flavor components. Samples were taken from Hanwoo longissimus muscle (30 mon old steer, $1^+B$ carcass grade) at 24 h postmortem.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um adsorption time for $75{\mu}m$ CAR/PDMS fiber was 60 min at $60^{\circ}C$. Thermal cleaning at $250^{\circ}C$ for 60 min was the best practice for decontamination of the fiber. A short analysis program with a sharp oven temperature ramp resulted in a better resolution and higher number of measurable volatile components. With these conditions, 96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with little variation including 22 aldehydes, 8 ketones, 31 hydrocarbons, 12 alcohols, 8 nitrogen-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5 pyrazines and 10 furans. A noticeable observation was the high number of hydrocarbons, aldehydes, ketones, alcohols and 2-alkylfurans which were generated from lipid decomposition especially the oxidation and degradation of unsaturated and saturate fatty acids. This implies that these compounds can be candidates for flavor specification of highly marbled beef such as Hanwoo flavor.

초위성체 DNA표지인자를 이용한 국내 육우집단의 품종특성 및 개체식별 체계설정 (Establishment of Genetic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Identification System Using Microsatellite loci in Domestic Beef Cattle)

  • 김상욱;장희경;김관석;김종주;전진태;윤두학;강성호;정효일;정일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4호
    • /
    • pp.273-282
    • /
    • 2009
  • 소 품종 판별을 위해 DNA 마커 정보는 품종을 구별하거나, 형질을 구분하는데 있어 꾸준히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innzymes (DIAGNOSTICS)사의 Bovine Genotypes Kit Ver1.1/2.1을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이 보유한 호주산 및 미국산 수입우 DNA 샘플 148두/국내산 육우 DNA 샘플(Holstein) 170두와 정읍지역 한우 DNA 샘플 177두에 적용하여 한우품종 식별력을 분석 하였다. Bovine Genotype Kit 1.1은 11개의 ISAG MS 마커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5개 MS 마커가 추가된 ver2.1 Kit를 사용하여 집단별 유전자형 데이타를 구축하였고, MS Tool kit 분석 및 Phylip program 분석을 수행하여 Phylogenetic tree를 작성하였고, Genotype 분석 프로그램인 GeneClass 2.0 (INRA/France)을 이용하여 품종 식별력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95% 이상의 정확성을 가진 한우 식별력은 100%로 나타났고, 호주산 수입우 95.3%, 국내산 육우는 90%의 높은 식별력을 각각 나타내었다. 따라서 Finnzymes 사의 상용화된 16종의 MS 마커는 한우집단의 유전적 특징을 객관적으로 구분하여 수입쇠고기/젖소고기/한우쇠고기에서 간편하게 한우개체 및 품종식별에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과 특히 국내에서 비육된 육우(젖소)를 수입산 쇠고기로부터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ifferences in toughness and aging potential of longissimus lumborum muscles between Hanwoo cow, bull and steer

  • Zhen Song;Inho Hw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4호
    • /
    • pp.865-877
    • /
    • 2023
  • Thirty Hanwoo cattle including bulls, cows, and steers (n = 10 each) were slaughtered and investigated for carcass traits (weight, meat color, fat color, yield index, maturity, marbling score, back-fat thickness, and firmness) and meat quality. The meat quality such as: pH, color, cooking loss, fatty aci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warner-bratzler shear force, tensile tests, and texture profiles were analyzed on longissimus lumborum (LL) muscles of the carcasses at different aging times (3 d and 21 d). The results showed that steers and cows had higher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and a lower firmness (p < 0.001) than bulls. Bulls exhibited a lower meat quality indicating by higher cooking los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content, warner-bratzler shear force and tensile test values (p < 0.01). Regarding the sensory property, the bull meat also had higher hardness, and lower tenderness, juiciness and flavor scores than the cow or steer meat (p < 0.01). Additionally, the bull meat had a higher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d a lower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p < 0.01). With increased aging time, the meat tenderness was improved in all the genders.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gender and aging time affected the carcass traits, fatty acid and sensory quality of beef. Postmortem aging could improve the meat tenderness of all genders especially bulls.

1++ 등급 거세한우의 부위별 칼로리, 콜레스테롤, 콜라겐, 유리아미노산, 핵산관련물질 및 지방산조성 (Calorie, Cholesterol, Collagen, Free Amino Acids, Nucleotide-related Compound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Hanwoo Steer Beef with 1++ Quality Grade)

  • 조수현;성필남;김진형;박범영;백봉현;이연정;인태식;이종문;김동훈;안종남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3-343
    • /
    • 2008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고의 고급육으로 유통되는 한우고기의 부위별 성분조성 및 육질특성을 조사하고자 $1^{++}$ 육질등급을 받은 거세한우 10두에서 10부위(업진, 보섭,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목심, 설깃, 양지, 우둔)를 선정하여 성분조성 및 육질특성을 분석하였다. 10부위간에 칼로리 함량은 $2,205{\sim}3713.20\;cal/g$ 범위였으며 특히 등심, 채끝 및 업진부위가 다른 부위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콜레스테롤 함량도 $38.86{\sim}44.69\;mg/100g$ 수준으로 10부위 중에서 목심부위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홍두깨와 우둔부위가 다른 부위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가용성 및 불용성 콜라겐 함량에 있어서는 부위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총 콜라겐 함량은 꾸리, 목심 및 설깃부위가 가장 높았고 등심 및 채끝부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맛과 관련이 있는 유리아미노산함량을 부위별로 비교한 결과 모든 부위에 glutamate와 alanine 함량이 각각 $275.99{\sim}536.04\;mg/100g$, $130.63{\sim}175.23\;mg/100g$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고 다음으로 arginine($7.00{\sim}10.49\;mg/100g$), phenylalanine($4.70{\sim}13.88\;mg/100g$), leucine ($5.98{\sim}10.26\;mg/100g$) 순으로 나타났다. 부위별 adenine diphosphate(ADP)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Adenine mono phosphate(AMP)는 보섭과 목심 부위에서 모두 1.09%로 다른 부위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Inosine monophosphate(IMP)는 흥두깨 및 우둔부위가 각각 30.04, 33.44%로 다른 부위보다 유의적으로 가장 많았으며(p<0.05), inosine 함량은 보섭, 흥두깨 및 우둔부위가 각각 6.19, 6.25, 6.28%로 가장 많았고 반면에 hypoxanthine은 4.27%인 꾸리부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1^{++}$ 등급 거세한우의 부위별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C16:1n7, C20:3n6, C20:4n6을 제외한 부위별 지방산 조성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한우의 올레인산과 근내지방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내 에스엔피 규명 (Major SNP identification for oleic acid and marbling score which are associated with Korean cattle)

  • 오동엽;여정수;이제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5호
    • /
    • pp.1011-1024
    • /
    • 2014
  • 동물 유전학에 있어 한우의 우수한 품질개발과 통계학의 역할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한우에서 25 30개월에 특이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일어나, 쇠고기 맛에 영향을 미치는 불포화지방산 및 육질등급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6개의 유전자 (SCD, SREBPs, $PPAR{\gamma}$, FABP4, FASN, LPL)내의 30개 에스엔피와 가계 정보가 정확하고 도체 기록이 되어있으며, 포화지방산 및 불포화 지방산과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분석한 한우 개체 513두에 대하여 연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중 FABP4; g.3977-325 T>C 에스엔피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선정된 에스엔피의 F-값은 91.36 및 30.00으로 다른 29개의 에스인피들 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고 있었으며, 현장 농가에 직접적으로 재 검정한 결과 1+등급 이상이 나올 확률이 70.10%로 우수한 마커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Effects of Catechins and Wheat Bran on the Beef Color in the Late Fattening Period of Hanwoo Steers

  • Kim, Do-Hyung;Oh, Young-Kyoon;Jang, Sun-Sik;Kwon, Eung-Gi;Seo, Yong-Joo;Ok, Ji-Un;Park, Keun-Kyu;Lee, Sung-Sill;Kim, Kyoung-Ho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6호
    • /
    • pp.832-83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techins and wheat bra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color using forty-eight Hanwoo steers. Each steer was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reatments. Treatments were as follows: control, catechins, wheat bran, and catechins+wheat bran (CW). At the end of the feeding trial,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of hemoglobin and iron concentration, and then steers were slaughtered at a commercial abattoir. Catechins, wheat bran, and CW had no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Percentage of myoglobin in M. longissimus dorsi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s. Percentage of oxymyoglobin was increased (p<0.05) by CW and maintained at the highest level (p<0.05) for CW during meat display time up to 24 h. Percentage of metmyoglobin was the lowest (p<0.05) for CW between 5 and 24 h during display time. Although blood iron concentration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s, total concentration of muscle iron was the lowest (p<0.05) for CW compared with that of other treatment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CW may provide good protection against oxidation of myoglobin, and might be an effective dietary supplement for improving meat color in the late fattening period of Hanwoo steers.

쑥사료 급여가 비육한우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Dietary Mugwort on the Beef Quality in Fattening Hanwoo)

  • 김병기;정창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44-249
    • /
    • 2007
  • 본 연구는 비육한우 32두(거세우 16두, 암소 16두)를 대상으로(C-1구 거세우에게 일반사료 : C-2구 암소에게 일반사료 : T-1구 거세우에게 쑥 2% 첨가 : T-2구 암소에게 쑥 2% 첨가) 4개 처리구를 두고 14개월간(생후 14개월-27개월) 비육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등심부위의 전단력과 보수성은 T-1구($3.20kg/0.5inch^2$, 54.32%)가, 가열감량은 C-2구(22.22%)가 다른 처리구보다 크게 높았다(p<0.05). 관능검사의 다즙성, 연도 및 향미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그 중에서도 T-1구(5.50점-5.20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Catechin 성분에서 총 카테킨 및 에피카테킨 성분은 처리구(0.43-0.46 mg/kg, 0.056-0.065 mg/kg)가 대조구(0.23-0.25 mg/kg, 0.031-0.032 mg/kg)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은 47.56-48.45% 정도, palmitic acid은 28.86-29.67%, stearic acid는 9.92-10.82%, palmitoleic acid 및 myristic acid는 4.68-5.49%와 2.48-3.89%의 범위로서 처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볼 때, 거세한우에 대한 쑥첨가는 육질의 관능검사(다즙성, 연도, 향미) 및 이화학적 특성(전단력, 보수성)에서 크게 향상되었다.

한우 거세유무 및 도축월령에 따른 비육능력 및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Performanc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Hanwoo Bulls and Steers of Different Slaughtering Ages)

  • 김병기;정대진;이지홍;황은경;최창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7-265
    • /
    • 2011
  • 본 연구는 한우의 거세유무 및 도축월령에 따른 비육능력 및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를 구명하기 위하여 생후 13개월령의 비육한우 36두(비거세한우 18두 - 3처리 ${\times}$6두; 거세한우 18두 - 3처리 ${\times}$두)를 공시하여 생후 26개월, 28개월, 및 30개월령까지 비육한 후, 도체특성, 도체의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도체의 냉도체중은 도축월령이 길어짐에 따라 비거세우와 거세우 모두 증가하였다(p<0.05). 등지방 두께에서 비거세우군은 28개월령이, 거세우군은 30개월령이 가장 두껍게 나타났고(p<0.05), 배최장근 단면적에서 비거세우군과 거세우군 모두 28개월령 때가 가장 넓게 나타났다(p<0.05). 근내지방도, 가열감량 및 보수력은 양 처리군 모두 30 개월령 도축할 때 가장 높았고(p<0.05), 비육기간이 길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전단력의 경우 비거세우군은 30개월령일 때에, 거세우군에서는 28개월령에 높았다. 도체의 불포화 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 UFA)은 양 처리군에서 28개월령과 30개월령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우의 장기비육에 있어서 늦게라도 거세를 실시하면 뚜렷한 도체등급의 개선 효과가 있으며, 거세비육우의 도축월령은 육질적측면(마블링 스코어와 보수력)에서 생후 28개월과 30개월령 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