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woo loin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38초

Subtraction 기법을 이용한 한우 성장 단계 특이 발현 유전자 탐색 (Identification of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of Hanwoo During the Growth Stage by Subtractive cDNA Hybridization)

  • 장요순;김태헌;윤두학;박응우;정일정;조진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13-22
    • /
    • 2002
  • 한우의 성장단계 특이발현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의 발현 유무 및 발현정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를 분리하는데 있어 가장 강력한 수단으로 알려진 subtractive cDNA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한우 등심조직으로부터 12개월령 및 24개월령 특이적인 subtractive cDNA library를 제작하였다. 성장단계 특이적인 유전자를 탐색하기 위하여, 6, 12 및 24개월령 cDNA를 사용하여 reverse northern blot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6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특이적인 signal을 나타낸 3개의 clone은 EPV 20, Ca2+ ATPase, 및 TCTP 유전자와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12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특이적인 signal을 나타낸 9개의 cDNA clone은 각각 VCP, HSP 70, aldolase A, MSSK1, GM-2 activator protein, ryanodine receptor, acidic ribosomal phosphoprotein p1, ADP/ATP translocase T1 및 UCP 2 유전자와 높은 homology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2개의 clone이 각각 12개월령 및 24개월령 cDNA probe에 대하여 특이적인 signal을 나타내었는데, 12개월령 cDNA probe에 대해서만 signal을 나타낸 clone은 ferrochelatase 유전자와 유사하였으며, 24개월령 probe에 대해서만 signal을 나타낸 clone은 ADRP 유전자와 유사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 제작한 성장단계 특이적인 subtractive cDNA library를 분석하여 14종의 유전자를 한우 성장단계 특이 발현 후보 유전자로 선정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으며, 이외에도 성장단계에 있어 특이적으로 발현될 것으로 추정되는 cDNA 클론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Evaluation of the physicochemical, metabolomic,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kso and Hanwoo beef during wet aging

  • Dongheon Lee;Hye-Jin Kim;Azfar Ismail;Sung-Su Kim;Dong-Gyun Yim;Cheorun Jo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7호
    • /
    • pp.1101-1119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metabolomic, and sensory qualities of Chikso and Hanwoo beef during 28 days of wet aging. Methods: Rump and loins from Hanwoo and Chikso were obtained and wet-aged for 28 days at 4℃.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7-day interval (n = 3 for each period). Physicochemical qualities including pH, meat color, shear force value, and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 metabolomic profiles, and sensory attribut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relative taste intensities) were measured. Results: Chikso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hear force value than Hanwoo on day 0; however, no differences between breeds were found after day 14, regardless of the cuts. Overall, Chikso had more abundant metabolites than Hanwoo, especially L-carnitine and tyrosine. Among the volatiles, the ketone ratio was higher in the Chikso rump than the Hanwoo rump; however, Chikso had fewer alcohols and aldehydes than Hanwoo. Chikso rump showed higher taste intensities than the Hanwoo rump on day 0, and sourness decreased in Chikso, but increased in the Hanwoo rump on day 14. Wet aging for 14 days intensified the taste of Chikso loin but reduced the umami intensity of Hanwoo loin. Conclusion: Chikso had different metabolomic and sensory characteristics compared to Hanwoo cattle, and 14 days of wet aging could improve its tenderness and flavor traits.

건조숙성에 따른 저등급 한우 채끝 등심의 품질 증진 (Quality Improvement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Low Quality Grade by Dry Aging)

  • 이철우;이승호;민예진;이수기;조철훈;정사무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15-421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nge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quality grade 2 produced by dry aging, and compared the quality of dry-aged strip loin with that of strip loin from hanwoo with quality grade $1^+$. Hanwoo strip loins with quality grade $1^+$ (SL1) and 2 (SL2) after a day of slaughter and dry-aged strip loin (DSL2) aged for 21 days at $2^{\circ}C$ with 85% humidity were obtained from local markets. The proximate composition, pH, cooking loss, lipid oxidation, instrumental color (CIE $L^*$, $a^*$ and $b^*$ value)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strip loins were measured. DSL2 contained low moisture and high protein contents compared with SL2, and low fat, high protein, and high ash contents compared with SL1 (p<0.05). The pH and cooking loss were higher and lower, respectively, in DSL2 compared to SL2 (p<0.05). SL1 had a higher pH than DSL2 (p<0.05). However, the cooking loss was not different between SL1 and DSL2. The TBARS value was the highest in DSL2 and the lowest in SL2 (p<0.05). DSL2 had higher $L^*$ and $b^*$ value compared with SL2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L^*$, $a^*$ and $b^*$ values between DSL2 and SL1. Sensory properties such as the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acceptability of DSL2 were higher than those of SL2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all sensory properties between DSL2 and SL1. According to the results, dry aging can improve the nutritional and sensorial quality of strip loin with quality grade 2 to quality comparable to quality grade $1^+$.

사육기간과 등심의 근내지방도가 거세한우 등심 및 우둔의 이화학적 성상 및 연도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enderness of Hanwoo Loin and Round as affected by Raising Period and Marbling Score)

  • 진구복;고미영;이홍철;정슬기;백경훈;최창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42-848
    • /
    • 2012
  • 본 연구는 사육기간과 등심의 근내지방도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및 전단력을 측정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으며, 각 처리구별 한우 5두씩 선별하여 pH, 육색도, 일반성분, 저장 및 가열감량, 보수력 및 전단력을 이원배치에 방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한우 등심의 pH는 사육기간과 근내지방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우둔의 경우 27개월령이 30개월령에 비하여 높았다(p<0.05). 사육기간에 따라 일반성분 함량에 차이를 보였으며, 등심의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수분을 감소하였고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육색도는 등심의 경우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명도와 적색도 및 황색도가 높아져(p<0.05), 27과 30개월령이 33개월령에 비하여 낮았다(p<0.05). 우둔의 경우는 등심의 근내지방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적색도와 황색도의 경우 27개월령이 30 또는 33개월령에 비하여 높았다(p<0.05). 한편 사육기간에 따라 보수력에 영향을 주어 27개월령이 30 또는 33개월령에 비하여 가열감량(%)이나 저장 중 진공감량이 낮아서 사육개월이 낮을수록 수분보유력이 좋은 경향을 보였다. 우둔의 전단력은 사육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사육기간이 짧을수록 우둔의 전단력이 낮게 나타나 육질이 부드러웠고(p<0.05), 근내지방도가 높을수록 등심의 전단력은 낮았으나(p<0.05) 우둔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각 부위(등심, 우둔)에 따라서 서로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어서, 사육개월에 따라서 등심 및 우둔의 pH, 육색, 일반성분, 수분보유력 및 전단력에 영향을 주었으며, 근내지방도에 따라서는 등심의 경우 일반성분, 보수력 및 전단력에 영향을 주었으나 우둔의 경우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Color Determination of Beef Rib Eye Using Near Infrared Spectroscopy

  • Kang, J.O.;Park, J.Y.;Choy, Y.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263-267
    • /
    • 2001
  • Beef samples of loin eye area from New Zealand, USA and three quality grades of Hanwoo were analyzed using near infrared spectrophotometer with reference values from laboratory optical Chromameter to determine effective spectrum range and mathematical treatment for determination of color values. $R^2s$ of prediction models were not improved much by calibrating with whole light range (400~2500 nm) compared to using visible range (400~1100 nm). Standard errors of calibration and prediction were influenced by possible bias due to sampling non-homogeneous sample sources. However, partial differentiation in the first order was more stable against sampling biases than second derivatives of the spectra. Lightness value was little different among the five sample sources of beef. Beef samples from USA were brighter and more reddish than beefs of Hanwoo or from New Zealand (p<0.05). Yellowness of USA beef was the highest followed by beef from New Zealand, which was also higher than Hanwoo beefs of three quality grades (p<0.05).

Comparison of meat quality, fatty acid composition and aroma volatiles of Chikso and Hanwoo beef

  • Utama, Dicky Tri;Lee, Chang Woo;Park, Yeon Soo;Jang, Aera;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9호
    • /
    • pp.1500-1506
    • /
    • 2018
  • Objective: Although Hanwoo has been selected as the superior commercial beef cattle breed in Korea, Chikso (Korean brindle cattle) is still recognized as a valuable breed for beef produc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eat quality, fatty acid composition and aroma volatiles of beef from Chikso and Hanwoo steers maintained under identical feed management, as information regarding these characteristics is still limited. Methods: A total of 19 carcasses with a quality grade of 1 were selected, and strip loin (longissimus lumborum) cuts were collected from 11 Hanwoo carcasses and 8 Chikso carcasses. Meat quality and aroma analyses were performed at day four postmortem. Results: Though Hanwoo strip loin tended to have higher fat content (15.37%) than Chikso (12.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Meat pH, water-holding capacity, cooking loss, shear force value, instrumental surface color (Commi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 $L^{\star}$, $a^{\star}$, $b^{\star}$, chroma, and hue angle) and fatty acid composi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Roasted Chikso beef released more intense aroma than roasted Hanwoo beef based on the total area units of identified volatiles. Among identified volatiles, the amounts of toluene, heptanal, octanal, and nonanal were higher in roasted Chikso beef than in roasted Hanwoo beef. In addition, the aroma pattern of the roasted beef from these breeds was well-discriminated by electronic nose. Conclusion: No distinct differences were found in terms of meat quality between Hanwoo and Chikso beef in this study. However, the aroma pattern and volatiles of roasted Hanwoo and Chikso beef were different according to instrumental analysis.

아마씨앗 첨가 한우사료가 등심 지방의 n-6/n-3 변화 및 이를 섭취한 사람의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nwoo Diets Containing Linseed on Plasma Cholesterol Levels of Humans to Beef Consumption and Change in n-6/n-3 Fatty Acid of Loin Fat)

  • 박상오;박병성;여인서;황보종;방한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65-27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사료 내 아마씨앗의 급여가 등심 내 오메가 6와 3 지방산 비율(n-6/n-3) 감소효과 및 n-6/n-3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사람의 혈액 중 LDL-C 감소효과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단계별로 거세한우 20마리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아마씨앗을 함유하는 n-3 처리구로 각각 10마리씩 나누어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n-3 사료군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혈액 및 등심 내 n-6/n-3가 4:1이하로 감소하였으며 단일불포화지방산으로써 올레인산은 52.79%까지 증가하였다. 임상실험자의 70% 이상에서 나타난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그룹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LDL-C은 각각 25.35, 5.22, 17.59% 감소하였고 수입 쇠고기는 9.05, 8.21, 21.70% 증가하였으나 일반한우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균형 한우고기를 섭취한 그룹의 HDL-C는 6.07% 증가하였으나 수입 쇠고기와 일반한우는 각각 14.46, 11.46% 감소하였다. 혈당은 균형 한우고기와 일반 한우고기가 각각 6.42, 11.82% 감소하였으나 수입 쇠고기는 15.19% 증가하였다.

Effect of birth and slaughter seasons on Hanwoo carcass characteristics

  • Won-Young Lee;Jin-Ki Park;Kwanghyun Cho;Joon-Mo Yeo;Dong-Wook Kim;Hyun-Jung Park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64-168
    • /
    • 2024
  • Background: The climate of Korean peninsula is characterized by four distinct seasons. In recent years, global warming has accelerated, and summers in Korea are typically hot and humid. However, the precise extent of climatic damage caused in Hanwoo farming has not yet been reported, by long raise peri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rth and slaughter season on economical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cattle. Methods: Hanwoo steer carcas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Korean Institute for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database for 2021-2022. Hanwoo birth and slaughter season was classified as spring (March-May), summer (June-August), fall (September-November), and winter (December-February). Results: The carcass mass and loin area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inter- and spring-born Hanwoo than in summer- and fall-born cattle. However, back fat thick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inter- and spring-slaughtered steers than in summer-slaughtered cattle. In addition, the marbling score was highest in summer-slaughtered steers, but meat yield grade differed between Hanwoo steers of different ages. Conclusions: Out results indicate that carcass mass and loin area were correlated with birth season, whereas back 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were related with slaughter season.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meat production quality in the Hanwoo industry.

인진쑥 급여가 한우육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Score of Hanwoo Beef Loin after Feeding with Mugwort)

  • 문윤희;정인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731-737
    • /
    • 2011
  • 본 연구는 인진쑥으로 TMR사료를 개발하여 한우에게 급여한 경우, 인진쑥의 급여가 한우 등심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로 고급화된 기능성 한우의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대조군(control)은 인진쑥을 혼합하지 않은 비육우 사료를 급여하였고, 급여군(treatment)은 인진쑥을 혼합한 비육우 사료를 급여하였다. 총 카테킨 함량은 대조군 및 급여군이 각각 0.307 및 0.516 mg/kg, 에피카테킨은 각각 0.087 및 0.116 mg/kg으로 급여군이 유의하게 높아 인진쑥 급여의 영향이 있었다(p<0.05). 명도 및 적색도는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나 황색도는 대조군과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pH는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TBARS는 대조군이 급여군보다 높았으나 VBN 함량, EDA% 및 총균수는 대조군 및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보수력은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동결감량, 해동 감량 및 가열감량은 대조군 및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경도, 응집성, 뭉침성, 저작성 및 전단력은 대조군 및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탄성은 대조군이 급여군보다 높았다(p<0.05). 생육의 냄새는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우수하였으며, 열탕 가열육의 관능특성은 대조군 및 급여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팬 가열육의 맛,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급여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우수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인진쑥의 급여는 항산화 물질의 축적으로 지방산화를 억제하고 보수력을 개선시키며, 기호성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기능성 고품질 한우육 생산을 위한 사료로서의 가능성이 기대된다.

한우암소고기의 연령이 등심 및 우둔부위 일반성분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ge on Chemical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for Loin and Top Round of Hanwoo Cow Beef)

  • 조수현;성필남;강근호;최순호;장선식;강선문;박경미;김영춘;홍성구;박범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10-81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우 암소(2-15세) 총 126두를 연령그룹별(그룹 1, 5세 이하; 그룹 2, 6-8세; 그룹 3, 9세 이상)로 구분하여 등심(loin) 또는 우둔(top round) 부위의 이화학적 육질특성을 조사하여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등심과 우둔 모두 연령그룹 1이 연령그룹 2 또는 3 보다 근내지방 함량이 높았고(p<0.05) 단백질함량은 등심에서는 연령그룹 1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우둔부위에서는 연령그룹간에 차이가 없었다. 콜라겐 함량은 등심은 연령그룹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우둔은 연령그룹 3이 다른 연령그룹들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색은 등심의 경우 연령그룹 1이 연령그룹 3 보다 $L^*$값(백색도)과 $a^*$값(적색도)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우둔은 $a^*$값만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연령 그룹 1의 등심이 연령그룹 3보다 가열감량(%)이 낮고 보수력은 높았다(p<0.05). 전단력은 등심과 우둔 모두 연령그룹 3이 연령그룹 1과 2보다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총포화지방산(SFA) 함량은 등심은 연령그룹 3이 그룹 1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았고 우둔은 연령그룹 1이 총단일불포화지방산(MUFA) 함량이 연령그룹 3보다 높았고(p<0.05), 다가불포화 지방산(PUFA) 함량은 낮았다(p<0.05). 유리아미노산 함량 비교에서 연령그룹에 관계없이 alanine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glutamine, glycine, isoleucine, proline 등이었다. 한편, threonine, alanine, valine, methionine, phenylalanine, leucine 및 lysine 함량은 연령그룹 1이 가장 높았다(p<0.05). 향기성분은 3-methylbutanal, furfural, octanal, 케톤류의 1-(acetyloxy)-2-propanone, 알코올류의 1-octanol, 피라진류의 2,5-dimethylpyrazine, 2-ethyl-2,5-dimethylpyrazine 성분함량이 연령층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p<0.05). 결론적으로 한우암소고기는 연령대에 따라 고기내 성분조성 및 육질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부위 또는 요리방법에 적합한 활용 또는 가공방법을 결정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