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nwoo bull beef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초

한우 $1^+$ 등급육의 이화학적 특성과 기호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Hanwoo Beef Loin in $1^+$ Grade)

  • 문윤희;김미숙;김대진;양종범;강세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288-1292
    • /
    • 1999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alatability of Hanwoo(cow, steer, and bull) beef loin(1+ carcass grade) were studied. pH(5.56~5.69), moisture content(67.6~69.0%), crude protein content(17.8~18.7%), and crude fat content(11.9~13.8%) of Hanwoo beef loi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Hanwoo. L(44.5~46.9), a(19.9~20.6), and b(10.3~11.6) color parameters, water holding capacity (69.4~70.5%),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9.86~11.28mg%), thiobarbituric acid value(0.148~0.158 mg malonaldehyde/kg), and cooking loss(26.3~27.9%) of beef loi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Hanwoo either. Hardness, myofibrillar fragmentation index(MFI), and chewiness of beef loin were 6.1~6.9 dyne/cm2, 50.3~54.9, and 39.5~ 52.0g, respectively.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hardness and MFI between the types of Hanwoo, while chewiness of cow was much lower than that of steer and bull(p<0.05). Cow was the best in palatability.

  • PDF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prospects for beef production in South Korea - A review

  • Chung, Ki Yong;Lee, Seung Hwan;Cho, Soo Hyun;Kwon, Eung Gi;Lee, Jun He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7호
    • /
    • pp.951-960
    • /
    • 2018
  • Hanwoo cattle are an important food source in Korea and their supply can have a major impact on meat availability for Korean consumers. The Hanwoo population was 1.8 million head in 2005 and gradually increased to 2.6 million in 2015. Per capita beef consumption has also increased, to 11.6 kg per year in 2015, and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Because intramuscular fat percentage is a critical contributor to meat quality, Hanwoo cattle are fed a high-energy corn-based diet for long fattening periods. Long fed diet causes significant alterations in fat percentage in the loin muscle and other areas of the carcass. However, these long feeding periods increase feeding costs and beef prices.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ed Korean consumer demand for lean beef which has less fat, but is tender and priced more reasonably. These consumer demands on the Korean beef industry are driving differing beef production systems and also changes to the beef grading methodology. Korean government has made a significant investment to select bulls with favorable production traits using progeny testing. Progeny tested bull semen has been disseminated to all Hanwoo farmers. A beef traceability system has been employed for all cattle breeds in Korea since 2009. Hanwoo cattle are ear-marked with a 12-digit identification number from birth to slaughter. This number allows traceability of the management history of individual cattle, and also provides information to consumers. Traceability including management information such as herd, farm, year of birth, and carcass data can determine estimated breeding values of Hanwoo. For a sustainable Hanwoo industry, research scientists in Korea have attempted to develop feeds for efficient fattening periods and precision feeding systems based on genetic information for Hanwoo cattle. These initiatives aim to Korean consumer demands for beef and provide more precision management in beef production in Korea.

사회인구학적 요인이 한우수소고기의 부위 및 요리형태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on Sensory Properties of Korean Hanwoo Bull Beef by Different Cut and Cooking Methods)

  • 조수현;김진형;김재희;성필남;박범영;김경의;서그러운달님;이종문;김동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857-870
    • /
    • 2007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낮은 육질등급으로 유통되는 한우수소고기에 대하여 소비자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한국소비자들의 관능특성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한국소비자들을 위한 요리방법별 부위별 맛 예측 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4개월령 한우수소를 도축한 후 업진, 보섭,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목심, 설깃, 우둔, 양지부위를 분리하여 전국 소비자 650명을 대상으로 탕, 그릴 및 구이형태로 각각 조리하여 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탕형태로 조리된 한우수소고기는 거주지역, 연령, 성별, 직업, 고기섭취습관 및 10개의 부위에 대한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이크 형태인 경우 쇠고기에 대한 기호성향이 거주지역, 연령 및 식습관 등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 가족수, 가계수입 및 부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구이형태인 경우 거주지역, 연령, 직업, 가계수입, 식습관 및 부위에 따라 기호도 성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한우수소고기의 관능평가 결과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리방법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가 부위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가중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소비자들은 동일한 조건의 쇠고기일지라도 요리방법 및 부위에 따라 쇠고기 맛을 평가하는 기호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부위별요리방법별 맛 예측모델을 확립한다면 한우고기를 차별화할 수 있는 유통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우수소의 부위별 영양성분조성 및 이화학적 육질특성 (Nutritional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Meat Quality Properties of Korean Hanwoo Bull Beef)

  • 조수현;박범영;김진형;최연호;성필남;정완태;정명옥;김동훈;안종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871-880
    • /
    • 2007
  •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낮은 육질등급으로 유통되는 한우수소고기에 대하여 소비자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한국소비자들의 관능특성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를 한국소비자들을 위한 요리방법별 부위별 맛 예측 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24개월령 한우수소를 도축한 후 업진, 보섭,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목심, 설깃, 우둔, 양지부위를 분리하여 전국 소비자 650명을 대상으로 탕, 그릴 및 구이형태로 각각 조리하여 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탕형태로 조리된 한우수소고기는 거주지역, 연령, 성별, 직업, 고기섭취습관 및 10개의 부위에 대한 관능특성 4가지 요인(연도, 다즙성, 향미 및 전반적인 기호도)과 모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테이크 형태인 경우 쇠고기에 대한 기호성향이 거주지역, 연령 및 식습관 등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업, 가족수, 가계수입 및 부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구이형태인 경우 거주지역, 연령, 직업, 가계수입, 식습관 및 부위에 따라 기호도 성향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한우수소고기의 관능평가 결과에 대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리방법에 따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기호도가 부위별 관능특성에 미치는 가중치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소비자들은 동일한 조건의 쇠고기일지라도 요리방법 및 부위에 따라 쇠고기 맛을 평가하는 기호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부위별요리방법별 맛 예측모델을 확립한다면 한우고기를 차별화할 수 있는 유통시스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별이 한우 등심의 육질등급요인, 이화학적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x on Quality Grade Factor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Traits of Longissimus Dorsi in Hanwoo)

  • 이종문;최주희;오미화;김용수;천동원;서상철;황규석;장애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21-327
    • /
    • 2010
  • 성별 한우쇠고기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육질등급이 5개로 개전된 후 첫 해인 2005년도에 전국에 출하된 42,113두의 육질등급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2005년부터 2008년도 상반기까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도축된 257두의 쇠고기 품질을 분석하였다. 성별 한우의 육질등급요인(근내지방도, 육색,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한우 거세우가 가장 우수하였다(p<0.05). 근내지방도, 성숙도 및 조직감은 거세우가 각각 5.02, 2.17 및 1.31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에 따라 육질등급 지수도 2.75($1^{++}$ 등급 =1, 3등급= 5)로 가장 높았다(p<0.05). 수분함량은 수소가 73.23%로 가장 높았으며, 조지방 함량은 거세우가 17.27% 가장 높았다(p<0.05). 거세우의 명도($L^*$), 전단력 및 보수력은 각각 39.01, 4.03 kg 및 57.08%로 가장 높았으나(p<0.05), 암소와 수소 간의 차이가 없었다. 전단력에 있어서 암소 및 수소가 각각 7.73 kg 및 8.35 kg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난 것은 연도 증진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관능검사 결과 연도, 다즙성, 향미 및 총 점수에서 거세우가 가장 좋았다(p<0.05). 이와 같은 연구는 시대적으로 변화하는 한우산업의 여건에 따라 단계 별로 수행할 필요가 있으며, 암소의 경우 경산우 비육이 대부분인 우리나라의 실정에 비추어 볼 때 산차별 또는 연령별 품질관련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우보증씨수소 선발지수 개선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Reformation of the Selection Index for Hanwoo Proven Bull)

  • 김효선;황정미;최태정;박병호;조광현;박철진;김시동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83-90
    • /
    • 2010
  • 본 연구를 통하여 도체성적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새로운 한우 보증씨수소 선발지수를 제안하였다. 선발지수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형질에 필요한 만큼의 가중치를 주어 개체를 효과적으로 선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강력한 도구로써 농장에서 일어나는 수입과 지출을 고려하여 선발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선발지수를 농장에서 자기 농장에 알맞게 개발할 수있도록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Lazenby 등. 1998). 그러나 우리나라는 조수입의 산출은 가능하지만 경비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는 농가가 드물기 때문에 아직 농가차원에서 적절한 선발지수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은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한우 보증씨수소를 선발함에 있어 비용부분을 고려하지 못하고 조수익에 의존하여 지수를 만들 수밖에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아울러 선발에서 고려할 수 있는 갈비생산량, 등심생산량, 안심생산량, 정육율 등 도체에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형질의 개발과 측정이 필요하고, 암소선발을 위해서는 농가의 번식기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번식형질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미국과 같이 다양한 선발지수를 개발하고 활용 (Greiner, 2006)하여 다양화로 나가는 소비시장에 적절히 대응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Differences in toughness and aging potential of longissimus lumborum muscles between Hanwoo cow, bull and steer

  • Zhen Song;Inho Hwang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4호
    • /
    • pp.865-877
    • /
    • 2023
  • Thirty Hanwoo cattle including bulls, cows, and steers (n = 10 each) were slaughtered and investigated for carcass traits (weight, meat color, fat color, yield index, maturity, marbling score, back-fat thickness, and firmness) and meat quality. The meat quality such as: pH, color, cooking loss, fatty aci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warner-bratzler shear force, tensile tests, and texture profiles were analyzed on longissimus lumborum (LL) muscles of the carcasses at different aging times (3 d and 21 d). The results showed that steers and cows had higher back-fat thickness and marbling score, and a lower firmness (p < 0.001) than bulls. Bulls exhibited a lower meat quality indicating by higher cooking los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content, warner-bratzler shear force and tensile test values (p < 0.01). Regarding the sensory property, the bull meat also had higher hardness, and lower tenderness, juiciness and flavor scores than the cow or steer meat (p < 0.01). Additionally, the bull meat had a higher polyunsaturated fatty acid and a lower mono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p < 0.01). With increased aging time, the meat tenderness was improved in all the genders.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gender and aging time affected the carcass traits, fatty acid and sensory quality of beef. Postmortem aging could improve the meat tenderness of all genders especially bulls.

한우육의 도체특성, 근절길이 및 품질특성이 연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cass Traits, Sarcomere Length and Meat Quality Properties on Beef Longissimus Tenderness at 24 hr Postmortem)

  • 문성실;강근호;허선진;정진연;양한술;김진성;주선태;박구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9-114
    • /
    • 2003
  • 연도그룹에 따른 도체특성의 차이는 tender 그룹이 tough 그룹에 비해 무거운 도체중과 두꺼운 등지방 두께, 우수한 근내지방도, 밝은 육색, 흰 지방 및 좋은 조직감을 나타내었다(<0.05). 근절길이의 변화는 사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사후 3시간 이후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연도에 따른 그룹간의 비교에서는 사후 3, 6 및 24시간에서 tender 그룹이 tough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긴 근절길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tender 그룹은 tough 그룹에 비해 낮은 IMCT 전단가를 나타내었고(p<0.05), 관능적으로 우수한 연도와 기호성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육의 연도는 다른 도체특성에 비해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 및 조직감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사후초기인 3과 6시간에서의 근절길이를 측정함으로써 사후 24시간째 연도의 추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동일한 나이에서 연도와의 관련성은 총 콜라겐 및 가용성 콜라겐 함량보다는 근육내 결체조직의 강도와 더 높은 관련성 (p<0.0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토 광물질의 급여가 비거세 우육의 저온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Clay Mineral on Meat Quality of Hanwoo (Korean Cattle) Bull Beef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이성기;김용선;양성운;주명규;박연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3-259
    • /
    • 2004
  • 점토 광물질을 비거세 한우에 1.25%첨가 급여시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처리구는 대조구(무첨가구)와 1.25% 점토 광물질 급여구(CT-1.25%)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일반성분과 지방산 조성은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pH는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변화하는 대조구와 달리 1.25% 점토 광물질 급여구의 PH는 저장 기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고 안정적이었다. CIE a*값, chroma값 및 R630-R580값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5), 특히 대조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현저한 감소 현상을 보였다. Metmyoglobin(%)의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으로써 대조구의 menyoglobin 형성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1.25%점토 광물질 급여구에 비해 갈색 축적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지질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TBARS는 1.25% 점토 광물질 급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어 산화 안정성을 보였다. 보수력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5) 1.25% 점토 광물질 급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보수력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1.25% 점토 광물질 급여구(CT-1.25%)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육색, 지질 산화 및 보수력에 대해 안정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Vitamin E와 Selenium의 급여가 비거세우육의 진열저장중 육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Vitamin E and Selenium Supplementation on Meat Color Stability of Hanwoo(Korean Native Cattle) Bull Beef during Retail Display)

  • 김용선;양성운;김주용;박연수;황환섭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8-114
    • /
    • 2002
  • Vitamin E와 selenium의 급여가 거세한우육의 진열저장중 (5$^{\circ}C$, 1,200 lux) 육색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처리구는 대조구(Vit E 27 IU/head/day, Se 0.09 mg/head/day), Vitamin E 급여구(2,500 IU/head/day), Selenium 급여구(20 mg/head/day), Vitamin E와 Selenium 복합 급여구 (Vit E 2,500 IU/head/day, Se 20 mg/head/day)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CIE a*값, chroma값, oxymyoglobin함량(%) 및 R630-R580간은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5), 특히 대조구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현저한 감소현상을 보였다. Metmyoglobin(%)의 함량은 저장 전(0일)에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p>0.05) 저장기간이 경과 함으로써 대조구의 metmyoglobin 형성율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다른 처리구에 비해 변색이 가속화됨을 알 수 있었다. 지질의 산패 정도를 나타내는 TBARS는 Se구와 Vit E+Se구가 대조구와 Vit E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환원력은 저장 전에는 대조구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3일 저장시 대조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selenium 급여구들(Se구, Vit E+Se 구)의 경우 대조구와 vitamin E급여구에 비해 지질산화에 대해 안정성을 가졌으며, 육색이나 육색소에 있어서는 Vit E구, Se구, Vit E+Se구가 대조구보다 저장안정성을 보였으나 이 3가지 처리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