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lf Wavelength Loaded Line Antenna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공진 주파수와 입력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는 변형된 반파장 로디드 라인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Modified Half Wavelength Loaded Line Antenna Controllable Resonant Frequency and Input Impedance)

  • 정우재;정병운;강기조;박면주;이병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973-981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합한 변형된 반 파장 로디드 라인 안테나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실험적인 PCB 위에 하나의 반 파장 로디드 라인 구조를 갖는 방사체, 유전체 기판, 급전봉과 두 개의 단락봉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두 개의 단락봉은 방사체의 양쪽 끝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집중형 인덕턴스 소자는 각각의 단락봉과 PCB 그라운드 사이에 놓여져 있다. 인덕터 값의 조절을 통하여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와 입력 임피던스가 각각 조정되어질 수 있다. 제안된 안테나는 최대 12 nH의 인덕터 값의 범위 내에서 $1,470\~2,660\;MHz$의 넓은 동작 영역과 좋은 임피던스 정합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동작 영역내에서 $-0.45\~2.03\;dBi$로 측정되었다.

다중 대역 이동 통신 단말기용 이중 반파장 로디드 라인 안테나 설계 (Design of Dual Half Wavelength Loaded Line Antenna for Multiband Mobile Handsets)

  • 박진우;김덕구;정병운;박면주;정용식;이병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65-27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다중 대역 이동 통신 단말기로의 적용을 위하여 이중 반파장 로디드 라인 구조를 이용한 주파수 가변 안테나가 제안되었다. 제안된 안테나는 추가된 두 개의 인덕턴스 값의 조절을 통하여 두 개의 대역에서 독립적인 주파수 이동이 가능하다. 제작된 안테나의 측정을 통하여 이 안테나는 약 0.54 dB의 적은 최대 이득 변화 내에서 $CELLULAR(824\sim894\;MHz)$, $EGSM(880\sim960\;MHz)$, $DCS1800(1,710\sim1,880\;MHz)$, $PCS1900(1,850\sim1,990\;MHz)$, $WCDMA(1,920\sim2,170\;MHz)$의 대역을 만족할 수 있는 넓은 유효 대역폭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파장 로디드 라인 구조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용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Multi-band Internal Antenna Using Half Wavelength Loaded Line Structure for Mobile Handset Applications)

  • 신후광;정우재;정병운;박면주;이병제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179-1185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3중 대역 이상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위해 주파수 튜닝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내장형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설계된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GSM(880${\~}$960 MHz)/GPS(1,575 $\pm$ 10 MHz)/DCS(1,710${\~}$1,880 MHz)/US-PCS(1,850${\~}$l,990 MHz)/W-CDMA(1,920${\~}$2,170 M/Hz) 대역을 포함한다. 제안된 안테나는 반파장 로디드 라인 구조와 모노폴 구조를 결합한 형태를 띄고 있으며 하나의 단락점과 급전점을 공유한다. 그리고 단락점과 접지면 사이의 집중형 인덕턴스 소자의 값을 조절함으로써 GSM과 GPS대역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각각 DCS, US-PCS, W-CDMA대역을 만족시킬 수 있다. 사용된 인덕터 소자의 값은 주파수 튜닝에 따른 이득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대 3.3 nH로 한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GSM대역에서 -0.58${\~}$-0.30 dBi, GPS 대역에서 -0.57${\~}$0.43 dBi, DCS/US-PCS/W-CDMA 대역에서 0.38${\~}$l.15 dBi로 측정되었다. 시뮬레이션과 측정을 통해 제안된 안테나가 높은 주파수 대역에서 약 0.77 dB의 이득 변화 폭 내에서 약 240 MHz의 공진 주파수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집중형 소자를 이용한 공진 주파수 및 입력 임피던스 선택형 다중 대역 튜너블 안테나 (Frequency and Input Impedance Selective Antenna Using Lumped Element for Multi-band Handhold Terminals)

  • 정병운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50-55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단락점과 접지면 사이에 집중형 소자인 인덕터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와 공진주파수 모두를 선택 가능한 다중 대역 내장형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의 구조는 PIFA (Planar Inverted F Antenna)구조와 반파장 로디드 라인 구조의 합성으로 전체적으로 두 개의 단락점과 하나의 급전점을 가지며 그 중 하나의 단락점을 공유한다. 설계된 안테나의 동작 주파수 대역은 PIFA 구조에서 GSM ($880\;{\sim}\;960MHz$), GPS ($1575{\pm}10MHz$)이며 반파장 로디드 라인 구조에서의 인덕터의 값을 2.2nH, 3.3nH, 4.7nH로 변화시킴에 따라 제안된 안테나는 DCS ($1710{\sim}1880MHz$), US-PCS ($1850{\sim}1990MHz$), 그리고 W-CDMA ($1920{\sim}2170MHz$) 대역에서 동작한다. 공유된 단락점에서의 인덕터 값을 1.2nH, 3.9nH, 6.8nH로 변화시킴으로서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를 변화시켰으며 집중형 소자의 추가로 생기는 안테나의 이득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덕터의 값을 최대 6.8nH로 제한하였다. 제안된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GSM 대역에서 1.60dBi, GPS 대역에서 -1.16dBi DCS/US-PCS/W-CDMA 대역에서 1.41dBi로 측정되었다.

  • PDF

Forced Resonant Type EMI Dipole Antennas for Frequencies Below 80 MHz

  • Kim, Ki-Chai
    •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제2권1호
    • /
    • pp.45-49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a forced resonant type EMI dipole antennas for frequencies below 80 MHz in which two reactance elements are used for the impedance matching at the fined point. The input impedance of the short dipole less than half-wavelength is controlled by the properly determined loading position and the value of loading reactance. The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small-sized EMI dipole antenna with loller antenna factors for frequencies below 80 MHz can be realized by the reactance loading. In case tole proposed center driven forced resonant type EMI dipole antenna with 0.3 λ length is loaded from the center, the input impedance is matched at feed line with 50 $\Omega$, and hence the antenna has lower factors in the frequency range of 30 to 80 MHz.

결합계수 및 주파수 튜너블 다중대역 내장형 안테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upling Coefficient and Resonant Frquency tunable Multi-band Internal Antenna)

  • 이문우;이상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59-66
    • /
    • 2010
  • 본 논문은 안테나 구조체의 물리적 변화없이 안테나의 단락점에 연결되어있는 인덕터 값에 따라 급전점과 단락점 사이의 결합계수 뿐 아니라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이동통신용 안테나를 구현하였다. 설계된 안테나는 3중 대역 이상의 주파수 조절이 가능하고 동작 주파수 대역은 GSM(880~960MHz), GPS(1575MHz), DCS(1710~1800MHz), US-PCS(1850~1990MHz), WCDMA(1920~2170MHz) 대역을 포함한다. 제작된 안테나는 반파장 로디드 라인 안테나와 PIFA 구조를 결합한 형태이고 두 개의 단란점과 하나의 급전점을 공유한다. 두 개의 단락점 각각에 인덕터를 추가하여 하나의 인덕터는 급전점과 단락점 사이의 결합계수를 조절하고 다른 하나의 인덕터는 높은 주파수 대역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한다.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 조절을 위한 인덕턴스의 범위는 0nH ~ 6.8nH 이고 이득의 변화는 GSM 대역에서는 0.15dBi, GPS 대역에서는 0.73dBi, WCDMA 대역에서는 0.29dBi 이내이다. 또한 공진 주파수 조절을 위한 인덕턴스의 범위는 0nH ~ 4.7nH의 범위에서 1640~2500 MHz (VSWR 3:1 기준)이고 이득의 변화는 GSM 대역에서는 0.46dBi, GPS 대역에서는 0.53dBi, DCS/US-PCS/WCDMA 대역에서는 0.59dBi 이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