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6초

Identification of Trichiurus (Pisces: Trichiuridae) Eggs and Larvae from Korea, with a Taxonomic Note

  • Lee, Soo Jeong;Kim, Jin-K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137-143
    • /
    • 2014
  • The hairtail (currently recognized as Trichiurus lepturus in Kore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mercial fish species in Korea, Japan, China, and Taiwan. Because the amount of catches has been steadily declining, we must determine the early life stages of the hairtail from the viewpoint of resource management. Furthermore, the taxonomic status of the hairtail is unclear among ichthyologists, potentially creating management difficul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information on eggs, larvae, and adults of hairtail from Korea with that of T. lepturus from the Atlantic Ocean, and to review the taxonomic status of the hairtail. A total of 510 base pairs of the mitochondrial DNA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sequences of 12 eggs, 2 larvae, and 11 adults of the hairtail from the Korean waters clearly matched those of Trichiurus japonicus adults (d = 0.000-0.014) from the East China Sea rather than those of T. lepturus (d = 0.100-0.110) from the Atlantic Ocean.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larvae of the Korean hairtail are different than those in the Atlantic Ocean in having no melanophores along the ventral edge of the lower jaw. Therefor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hairtail in the Korean waters may not be T. lepturus, but T. japonicus.

제주해협에 출현하는 갈치 (Hairtail, Trichiurus lepturus)의 어업생물학적 특성 (The Study on the Fisheries Biological Feature of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from the Cheju Strait)

  • 김상현;이영돈;노흥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7-25
    • /
    • 1998
  • 1992년 6월부터 12월까지 제주도 제주시, 한림, 성산, 서귀포에서 채집된 갈치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LINNAEUS)를 대상으로 어업생물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요약하였다. 1) 생식소 중량지수 (GSI)는 암수 다같이 $6\~9$월에 높은 값을 유지하다가 10월부터 하강하기 시작하여 12월까지 낮은 값을 유지하고 있다. 2) 생식주기는 $6\~10$월에 완숙 및 산란기이고, 8월이 주산란기로 나타났다. 3) 갈치는 한 산란기 동안에 $2\~3$회 이상 산란하는 다회 산란종으로 나타났다. 4) 성비는 산란기에 암컷의 비율이 높고, 휴지기에는 암수 비율이 1 : 1이였다. 5) 포란수는 크기에 따라 개체당 최소 12,821개에서 최고 125,876개의 난까지 포란하고 있으며, 두동장과 체중이 증가할수록 포란수는 증가했다.

  • PDF

갈치 (Trichiurus leptur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 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91-197
    • /
    • 1999
  • 갈치의 식성을 조사하기 위해 가덕도 동쪽 낙동포 해역에서 채집된 갈치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갈치의 주요 먹이생물은 어류 (Pisces), 난바다곤쟁이류 (Euphausiacea), 새우류 (Caridea) 및 요각류 (Copepoda) 등의 갑각류, 그리고 모악류 (Chaetognatha)로 나타났다. 그 외에 두족류 (Cephalopoda) 등이 소량 섭이되었다. 갈치는 성장하면서 먹이조성이 달라졌는데, 크게 3단계의 섭식 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전장 30cm 이하의 소형 크기 군은 플랑크톤 섭식기 (planktivorous stage)로 주로 요각류를 먹었다. 30~50 cm의 크기군은 혼합 섭식기 (mixed feeding stage)로 난바다곤쟁이류, 곤쟁이류 (Mysidacea), 새우류, 화살벌레류, 어류 둥 다양한 생물을 골고루 먹었다. 50 mm 이상의 크기군은 어류 섭식기 (piscivorous stage)로 어류를 주로 잡아 먹었다. 특히 멸치가 대형 갈치의 위내용물 중 많이 발견되었다.

  • PDF

Genetic Variations between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Populations from Korea and China

  • Yoon, Jong-Ma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7권4호
    • /
    • pp.363-367
    • /
    • 2013
  • PCR analysis generated on the genetic data showed that the geographic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population from Korea in the Yellow Sea was more or less separated from geographic hairtail population from China in the South Sea. The average bandsharing value ($mean{\pm}SD$) within hairtail population from Korea showed $0.859{\pm}0.031$, whereas $0.752{\pm}0.039$ within population from China. Also, bandsharing values between two hairtail populations ranged from 0.470 to 0.611, with an average of $0.542{\pm}0.059$. As compared separately, the bandsharing values of individuals within hairtail population from Korea were comparatively higher than those of individuals within population from China. The hierarchical dendrogram resulted from reliable oligonucleotides primers, indicating two genetic clusters composed of cluster 1 (KOREANHAIR1~KOREANHAIR11) and cluster 2 (CHINESEHAI12~CHINESEHAI22). The genetic distances between two geographic populations ranged from 0.038 to 0.476. Individual No. 11 within hairtail population from Korea was genetically closely related with No. 10 (genetic distance=0.038). The longest genetic distance (0.476) displaying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 was also between individual No. 01 within hairtail population from Korea and No. 22 from Chinese. In the present study, PCR analysis has revealed significant genetic distances between two hairtail population pairs (P<0.05).

연안 유자망에 의한 갈치(Trichiurus lepturus)의 망목 선택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sh selectivity of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caught by coastal drift gill net)

  • 김성훈;김병관;정성재;이경훈;오우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4호
    • /
    • pp.285-293
    • /
    • 2019
  • The mesh selectivity of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caught by coastal drift gill net was examined in field experiments with three different mesh sizes (45, 50 and 55 mm) from October to November, 2013 in the coastal areas of south-west of Jeju province. The mesh selectivity tests were conducted with the experimental net to be set middle part of conventional driftnets. The mesh selectivity tests were carried out the total of four times. The selectivity curve was estimated by the Kitahara's and Fujimori's method. In the results, the catch number of hairtail was 653 (125.8 kg) and occupied 34.8% in total catches weight. The optimal mesh size for 50% selection on the minimum landing size (180 mm, AL) and the first maturity size (260 mm, AL) of hairtail were estimated as 47.2 mm and 64.5 mm by master selectivity curves, respectively.

갈치(Trichiurus lepturus)의 선도 판정을 위한 관능평가 및 화학적 분석에 따른 품질 평가 (Evaluation of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Freshness Using Sensory and Chemical Analyses)

  • 유정완;김현재;설다은;고지윤;김성희;양지영;이양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735-73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pH, trimethylamine (TMA), and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TVB-N) as indicators of freshness during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storage, and to compare these indicators with those obtained by the sensory evaluation of quality index method (QIM) sensory evaluation. Largehead hairtail samples were stored at 4℃ and evaluated every 3 days until decay. The QIM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scores of 0, 8.9, and 20 on storage days 0, 6, and 20, respectively. By day 15, the samples were completely decayed. The pH slowly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reaching a maximum of 7.4. In the day 6, TMA and TVB-N contents were 2.97 and 15.57 mg/100 g, respectively. Thus, at 4℃, the largehead hairtail starts to decay after 6 days and, after 9 days, cannot be consumed safely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갈치(Trichiurus lepturu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in the East China Sea)

  • 김영혜;유준택;이은희;오택윤;이동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95-700
    • /
    • 2011
  • Age, growth, and maturity of Trichiurus lepturus were estimated based on right-handed sagittal otoliths belonging to 1,031 fish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7 in the East China Sea. The outer margins of the otolith were examined and showed that an opaque zone was formed once per year. Marginal increments in otoliths formed as annual rings between June and August, at the beginning of the spawning season. Fish growth was expressed by the von Bertalanffy growth equation, as follows: $L_t=494.0$ ($1-e^{-0.2453(t+-0.4822)}$) for females and $L_t=330.4$ ($1-e^{-0.4292(t+0.7513)}$) for males, where $L_t$ is the total length in mm and t is age in years. The growth rates of males and fema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The age composition ranged mostly between ages 2 and 4, and the oldest individuals were 4 years old in males and 6 years old in females. Finally, the age composition of largehead hairtail was compared with data from the 1970s and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changes.

한국 연근해 갈치의 자원평가 및 관리방안 연구 2. 한국 연근해 갈치의 자원량 변동 (A Study on the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the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Linne in Korean Waters 2. Variations in Population Biomass of the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Linne in Korean Waters)

  • 장창익;손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20-626
    • /
    • 1997
  • 본 연구는 한국 연근해 갈치의 연도별 연령별 어획량 자료를 사용하여 생체량을 기초로한 코호트 분석법 (Zhang, 1987)에 의하여 갈치의 $1970\~1988$년 자원량을 추정하였다. 연도별 자원량은 1975년 약 24만톤으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1980년부터는 14만톤의 수준으로 떨어졌다. 성어자원량에 있어서는 1978년 약 5.5만톤의 최대수준을 보인 이후, 계속 감소되어 1980년 이후 약 9 천톤의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연령별 자원량의 경년 변동에 의하면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연령조성은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1980년대의 연령조성에서는 4세 이상의 대형어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1\~3$세까지의 소형어 수준도 70년대 수준에 크게 못미치고 있다. 또 1973년 연급군이 비교적 탁월연급군으로 나타났다. 코호트 분석에 의해 추정된 1970년대와 80년대의 연도별 순간어획사망계수는 서로 유의성 (P<0.05)을 보여 80년대의 어획사망계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량에 대한 가입량에 있어서는 Ricker curve를 나타내 밀도종속적인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 PDF

갈치 Trichiurus lepturus 난자형성과정의 조직학적 기재 (Histological Description of Oogenesis in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Teleostei: Trichiuridae))

  • 신소령;김현진;오한영;김재원;이정식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5-59
    • /
    • 2022
  • 연구는 갈치 Trichiurus lepturus의 성 성숙과 생식생물학적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난자형성과정 동안 난모세포와 핵의 크기는 증가하였으나 핵에 대한 인의 비율은 감소하였다. H-E 염색 결과, 세포질의 염색성은 호염기성에서 호산성으로 변하였다. 난황형성개시기 난모세포의 난경은 약 63.2 (±12.7) ㎛였다. 세포질에서는 호산성의 난황핵이 관찰되었다. 성숙기 난모세포의 난경은 216.6 (±24.7) ㎛였으며, GVBD (germinal vesicle breakdown)가 관찰되었다. 완숙기 난모세포의 난경은 317.9 (±80.9) ㎛였으며, 방사대의 두께는 4.2 (±1.7) ㎛였다. 난모세포의 발달형태는 난군동기발달형에 속하며, 난황 축적은 대부분의 경골어류와 마찬가지로 외재적 방법과 내재적 방법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RAPD-PCR 분석에 의해 결정된 갈치 (Trichiurus lepturus) 2 집단의 유전적 차이와 변이 (Genetic Differences and Variation in Two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Populations Determined by RAPD-PCR Analysis)

  • 박창이;윤종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3-186
    • /
    • 2005
  • 한국과 대서양산 갈치 (Trichiurus lepturus) 2지리적 집단으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 추출하였다. 선택된 8개의 RAPD primer를 이용하여 common, polymorphic 그리고 specific fragment를 얻어냈다. 2지역으로부터 primer간 banding patterns 의 복잡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DNA fragment 의 분자적 크기는 150 bp에서부터 3,000 bp까지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한국산 갈치 집단에서는 947개의 fragment가 나타났고, 대서양산 갈치 집단에서는 642개의 fragment 가 확인되었다. 또한 한국산 집단에서는 148개의 specific fragment (15.6%) 가 확인되었으며, 대서양산 갈치집단에서는 61개의 specific fragment (9.5%)가 발생되었다. 한국산 갈치집단에서는 638개의 common fragment가 나타났으며, 이는 primer 당 평균적으로 79.8개의 fragment 로 확인되었다. 또한 대서양산 갈치집단에서는 429개의 common fragment 가 확인되었고, 평균해서 primer 당 53.6개의 common fragment 가 나타났다. 한국산 갈치집단과 대서양산 갈치집단의 polymorphic fragment는 각각 76개와 27개로 확인되었다. 모든 갈치시료의 평균적인 bandsharing value를 기초로 해서 한국산 갈치집단의 similarity matrix를 조사해 본 결과 0.784 로부터 0.922까지 나타났고, 대서양산 갈치집단의 값은 0.833로부터 0.990까지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대서양산 갈치집단내 개체의 bandsharing value 평균값은 한국산 갈치집단의 평균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8개의 primer를 사용하여 얻어진 dendrogram은 cluster 1 (KOREAN 01~KOREAN 11) 및cluster 2 (ATLANTIC 12~ATLANTIC 22)와 같이 2개의 유전적 클러스터로 나뉘어졌다. 한국산 갈치집단내의 10번째 개체(KOREAN no. 10)와 11번째 개체(KOREAN no. 11) 사이가 가장 가까운 유전적 관계(genetic distance = 0.038)를 나타내었다. 궁극적으로 볼 때 한국산 갈치집단의 1번째(KOREAN no. 01)와 대서양산 갈치집단의 16번째(ATLANTIC no. 16) 개체 사이가 가장 먼 유전적 거리(genetic distance = 0.708)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