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bitat disturbance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4초

하천구조 개선에 따른 어류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의 상관분석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ysical Disturbance and Fish Habitat Suitability before and after Channel Structure Rehabilitation)

  • 최흥식;이웅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2권1호
    • /
    • pp.33-41
    • /
    • 2015
  • 본 연구는 어류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해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한 하천의 구조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천구조 개선에 의한 수리특성의 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양상과의 상관특성을 분석하였다. 원주천의 하천 환경조사와 어류의 군집특성을 이용하여 수중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복원 목표어종으로 참갈겨니를 선택하였다. 참갈겨니의 서식적합지수를 사용한 서식적합도 분석은 PHABSIM 모형을 이용하였다. HEC-RAS를 이용한 수리특성 분석과 하천교란 평가방법을 이용하여 물리적 교란평가를 수행하였다. 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한 최적의 저수로 폭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하천구조의 개선에 의한 수리특성의 변화에 따른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어류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 평가점수의 향상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식적합도 향상을 위한 하천의 구조 개선은 물리적 교란의 평가점수의 향상을 가져옴을 확인하였다.

물리적 교란 저감을 위한 안정하도의 설계와 서식적합도 분석 (Stable Channel Design for Physical Disturbance Reduction and Analysis of Habitat Suitability)

  • 이웅희;문형근;최흥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3호
    • /
    • pp.169-179
    • /
    • 2017
  • 본 연구는 원주천을 대상으로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하상변동 양상을 분석하여 물리적 교란과 서식적합도 (Habitat suitability, HS)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현재의 원주천 대상구간에 대한 안정하도 평가 결과 총 20개 구간 중 17개 구간이 안정하였으며, 3개 구간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 (Physical disturbance improvement evaluation, PDIE) 결과 구간평균 112.17점으로 현재 양호한 교란개선 상태를 나타냈다. 어류의 물리서식처 분석은 원주천의 최우점종인 참갈겨니의 서식적합지수를 이용하였다. 물리서식처 분석 결과 HS는 0.16, 가중가용면적 (Weighted usable area, WUA)은 $347.68m^2$으로 나타났다. 불안정 하도의 안정하도 설계를 위해서 시설물의 개선 도입 철거와 하도를 준설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하상변동 양상에 따른 PDIE와 서식적합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시설물의 개선 도입 철거 시 19개 구간에서 안정하도 설계가 가능하였으며, PDIE는 117.53점, HS는 0.14, WUA는 $313.37m^2$로 나타났다. 하도의 준설 시 20개 전구간에서 안정하도 설계가 가능하였다. PDIE는 116.50점으로 나타났으며, HS는 0.16, WUA는 $332.14m^2$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주천의 물리적 건전성과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하도설계 방안을 도출하였으며, 그에 따른 물리적 교란과 물리서식처의 변화는 영향이 없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물리적 교란과 물리서식처의 상관 분석을 위해 구간별 유속과 수심 및 여울과 소의 출현 빈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울과 소의 분석은 물리서식처의 평가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안정하도 설계에 따른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와 서식적합도 분석 (Physical Disturbance Improvement Evaluation and Habitat Suitability Analysis by Stable Channel Design)

  • 이웅희;최흥식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3권4호
    • /
    • pp.285-293
    • /
    • 2016
  • 본 연구는 원주천을 대상으로 하천시설물의 최적 설계를 위한 안정하도 평가와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를 수행하였다. 안정하도 설계를 위한 구간별 안정경사를 분석하였으며, 안정경사를 만족하기 위한 하천시설물의 개선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그에 따라 각 시나리오에 대한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를 통해 안정하도 설계와 물리적 교란개선을 위한 최적의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아울러 안정하도 설계와 물리적 교란개선을 위한 하천시설물의 개선 시 물리 서식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원주천의 하천 환경조사와 어류의 군집특성을 이용하여 수중 생태계를 대표할 수 있는 복원 목표어종으로 참갈겨니를 선택하였다. 참갈겨니의 서식적합지수를 사용한 서식적합도 분석은 PHABSIM 모형을 이용하였다. 예측 평가를 수행한 결과 서식적합도와 가중가용면적은 소폭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천시설물의 개선에 따른 영향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주천의 물리적 건전성과 안정성을 제고할 수 있는 하천시설물의 배치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물리 서식처의 변화는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갈하천에서 서식처 교란이 어류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bitat Disturbance on Fish Community Structure in a Gravel-Bed Stream, Korea)

  • 김석현;이완옥;조강현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권2호
    • /
    • pp.49-60
    • /
    • 2014
  • 본 연구는 전형적인 자갈하천인 가평천에서 하천 환경과 서식처 교란이 어류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3개 조사지점에서 미국 환경청의 간편 생물평가법을 적용하여 하천환경을 평가하고 어류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하천환경 평가 자료를 이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상 경사와 관계가 있는 하상 서식환경, 유속/수심 체제, 유사 퇴적이 주요한 평가항목으로 판별되었다. 가평천에서 출현한 어종은 12과 46종이었고, 우점종이 참갈겨니 (Zacco koreanus), 아우점종이 피라미 (Z. platypus)이었다. 종별 개체수 자료를 사용하여 계층적 군집분석의 결과, 조사지는 상류, 중류 및 하류의 세 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비모수다차원척도법 결과에 의하면, 어류는 하천환경 평가 항목 중 하상 서식환경, 하상 매몰, 유속/수심 체제, 유사 퇴적, 하도 개수, 여울 빈도 항목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자갈하천인 가평천에서 어류 군집구조는 일차적으로 하상의 종적 환경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인위적 교란에 의하여 군집구조에 변화가 나타났다.

도시산림 내 침입교란종 출현현황 및 서식특성 연구 (Current Status of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and Its Habitat Characteristics in Urban Forest)

  • 김은영;김지연;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3-102
    • /
    • 2016
  • An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has caused harm to biodiversity and ecosystem. To address the issue,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a habitat for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is considered for forest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a status of plant species by field survey based on belt transect method in the capital areas and established a predictive model for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by logistic regression. As results of the study, the number of herb, vine, and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and a canopy cover of tree would decrease from the forest edge to core areas (p<0.001). The predictive model was derived with variables of altitude, Topographic Wetness Index, distance to forest edge, and canopy cover of tree. It can be useful in estim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es and predicting its spatial distribu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pathway of introduction, spread, and possibility of germination for understanding the status of invasive disturbance species in more depth.

내린천 상류 유역 열목어(Brachymystax lenok tslingensis) 서식지 자연성 평가 (Evaluation on Watershed Natural Habitat Assessment for Conservation of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in Naerin Upstream)

  • 김정은;이황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3호
    • /
    • pp.73-84
    • /
    • 2023
  • 본 연구는 수생태계 생물다양성과 자연 서식지 환경을 유역 수준에서 평가하기 위해 수질과 수생태 분야를 중심으로 통합 지표를 개발하였으며, 지표별 결과 특성을 분석하여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자연성 평가체계는 인간 활동에 의한 교란, 서식지 다양성, 생물다양성, 생태계 구조의 4가지 평가분야와 7개 세부 평가지표로 구성하였다. 하천 생태계의 서식지 보전을 위해 평가 대상 생물군으로 어류를 활용하였으며,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 열목어와 최대 서식지인 계방천과 내린천을 평가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 수역은 대부분 하천차수가 낮은 산간계류 형태로 열목어의 공서어종은 금강모치와 참갈겨니로 분석되었다. 자연성 평가 결과, 교란 현황 분야에서 본류보다 지류에서 제방 식생이 안정적인 환경을 보였으며, 외부 교란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서식지 다양성 분야에서는 서식지 평가 지수가 평균 200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최적의 생물서식 환경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물다양성 분야에서는 민감종의 비율이 높고, 용존산소가 많은 편이며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청정상태로 분석되었다. 생태계 구조 분야에서는 생태지표특성 메트릭과 멸종위기야생생물의 출현에 따른 점수 편차가 큰 특성을 보였으나, 대체로 하천생태계 건강성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열목어의 출현 유무에 따라 서식지 환경에 차이를 보이면서 자연성 평가 결과에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계 변화 관찰 목적에 따라 자연환경 변화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하천생태계보전을 위한 평가체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유역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외래식물의 서식처 유형에 따른 분포특성 - 한국 경상권을 대상으로 -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by Habitat Type of Alien Plants - For Gyeongsang Area in Korea -)

  • 이정민;김의주;이효혜미;조규태
    • 생태와환경
    • /
    • 제54권2호
    • /
    • pp.142-150
    • /
    • 2021
  • To analyze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lien plants in various habitat types, 249 sites were selected from four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he Gyeongsang region of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across nine different habitat types. A total of 115 species of alien plants were collected; comprising 23 families, 73 genera, 112 species, and 3 varieties. Species from the family Compositae were the most common at 33.0%. Raunkiaer's life forms had the highest occurrence rate with 70 species(60.9%) of therophytes(Th) followed by 30 species (26.1%) of hemicryptophytes (H) and 8 species (7.0%) of geophytes (G). The distributions of alien plant species per habitat type were: 81 species on the roadside; 80 species on vacant lots and artificial habitats; 67 species in streams; 53 species in grasslands; 47 species in cultivated lands; and 39 species on the coast. Since 2017, the number of alien plants has increased in Gyeongju-si, Cheongdo-gun, and Pohang-si, and decreased in Ulsan Metropolitan-si. In each region, 614 taxa were observed. The invasive alien species, Sicyos angulatus, Hypocaeris radicata, and Solanum carolinense, were observed for the first time and are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the disturbance of the ecosystem.

GIS를 이용한 경북 봉화군 운곡천 수달(Lutra lutra Linnaeus, 1758)의 서식지 분석 (Analysis about Habitat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L. by Using GIS in the River Ungok of North-Kyongsang Province)

  • 정종철;조영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29-42
    • /
    • 2004
  • 본 연구는 2002년 10월부터 2003년 9월까지 경상북도 봉화군 운곡천을 대상으로 수달의 배설물(Spraint) 및 배설지(Sprainting site)등의 흔적조사를 통해 얻은 GPS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국립지리원에서 발행한 1/25000 수치지도 및 현장조사에서 얻은 정보를 ESRI사의 Arcview를 통하여 수달의 최적 서식지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는 먹이자원인 어류의 종다양도와 풍부도가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며 식생 등의 서식환경이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밀집된 주거지 등의 인간의 간섭은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 교란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수달의 이주(Trans-location)등 보전 및 복원을 위한 시도에서 적합 서식지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간섭으로부터 배제와 풍부한 어족자원, 좋은 식생을 두루 갖춘 서식지를 찾아내는 것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Eurasian Otter (Lutra lutra) Habitat Suitability Modeling Using GIS; A case study on Soraksan National Park

  • Park, Chong-Hwa;Joo, Wooyeong;Seo, Chang-W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501-513
    • /
    • 2002
  • Eurasian otter (Lutra lutra) is one of endangered wildlife species whose population size is declining in Korea. To manage and conserve habitat for Eurasian otter, it is crucial to understand which habitat components affect otter habitat qualiti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habitat suitability model of Eurasian otter in Soraksan National Park, to validate the model in Odaesan National Park.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race data and characters of Eurasian otter habitat were collect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data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receivers between 2000 and 2002. Second, the habitat use factors were identified as habitat characteristics of Eurasian otter and classified with habitat use and availability analyses. Third, significant factors of habitat model were extracted by Chi-square test. The last, Eurasian Otter Habitat Suitability Model (EOHSM) was employed by logistic regression method. Otter habitat us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reeds and shrubs areas adjacent to streams, the size of boulders, and low human disturbance in Soraksan National Park by EOHSM. This model had a classification accuracy of 74.4% at cutoff value of 0.5. Model validation showed a classification accuracy of 86.6 % at cut off value of 0.5 for otter habitat in Odaesan National Park.

  • PDF

An Analysis on Landscape Structure and Biodiversity of the Bokha Stream as a Model to Restore the Degraded Urban Stream

  • Lee, Chang-Seok;Moon, Jeong-Suk;Woo, Hyo-Seop;Ahn, Hong-Gyu;Cho, Gang-Hyun;Bae, Yang-Seop;Byun, Hwa-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2호
    • /
    • pp.113-124
    • /
    • 2006
  • Landscape structure, habitat types, vegetation structure and biodiversity in the Bokha stream chosen as a reference stream were investigated to get ecological information necessary for restoration of urban stream degraded by excessive artificial interference. Landscape structure showed a slight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flooding. Habitat types of nine sorts were identified based on ecological information obtained from field survey such as micro-topography,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disturbance regime, and so on. Each habitat holds specific organisms to each site. Consequently, the number of plant communities, and species of benthos and fish increased as the kinds of habitat type increase. Ordination of habitat types based on vegetation, benthos, and fish data reorganized them into three groups of pool types of two kinds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connected to the water course or not and riffle one. Vegetation showed different stratific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depending on topographical position in relation to disturbance cycle.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heterogeneity and biodiversity was discussed and a restoration plan was suggested in a viewpoint of vegetation.